코피를 멈추게 하는 5가지 자연요법
코피가 나면 깜짝 놀라게 되지만 대부분 심각한 문제는 아니다. 코피는 코를 너무 세게 풀거나 코안 점막이 너무 건조할 때 혈관이 터지면서 발생한다. 혈액의 응고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와 노인이 주로 코피를 멈추게 하는 데 불편함을 겪는다.
이 글에서는 코피를 멈추게 하는 5가지 자연요법을 소개한다.
코피를 멈추게 하는 5가지 자연요법
1.쐐기풀 차
쐐기풀 차를 코에 바르면 바로 코피가 멈추고 상처 난 혈관이 빨리 치유된다. 쐐기풀에는 소염 성분이 있어서 코 점막의 자극을 완화한다.
재료
- 말린 쐐기풀 3 테이블스푼
- 물 1컵
준비 방법
- 말린 쐐기풀을 끓는 물에 넣고 10분간 우린다.
사용 방법
- 탈지면을 쐐기풀 차에 적셔 코피가 나는 콧구멍 안에 넣는다.
- 15분 후에 뺀다.
- 필요하다면 하루에 2번 반복한다.
더 읽어보기: 코피가 날 때 해야 할 일
2. 쇠뜨기 차
쇠뜨기의 소염 성분과 항산화 물질은 손상된 코 혈관의 소작을 돕는다. 쇠뜨기 차는 코피를 멈추게 하며 코점막 속이 마르는 것을 예방한다.
재료
- 쇠뜨기 1 테이블스푼
- 물 1/2컵
준비 방법
- 쇠뜨기를 끓는 물에 넣고 10분간 우린다.
- 쇠뜨기를 건져낸다.
사용 방법
- 쇠뜨기 차로 코 안을 씻는다.
3. 사과 식초
사과 식초에는 비염을 예방하는 성분이 있어서 점막 표면의 상처 회복을 돕는다. 또한 손상된 혈관 상처를 치료하여 출혈의 재발을 막는다.
재료
- 사과 식초 3 테이블스푼
- 물 2 테이블스푼
준비 방법
- 사과 식초를 물에 희석한다.
사용 방법
- 탈지면을 희석한 식초에 적셔 코안에 넣는다.
- 10분 후에 뺀다.
더 읽어보기: 비타민 K 결핍증의 징후 4가지
4. 박하 차
혈액이 응고되지 않아 코피가 자주 발생한다면 박하 차를 마시는 것이 도움 될 수 있다.
박하 차는 약물이나 영양 부족으로 인해 저하된 혈액의 건강을 회복한다.
재료
- 물 1컵
- 박하 잎 1 테이블스푼
준비 방법
- 물이 끓으면 박하 잎을 넣는다.
- 불을 낮추고 3분간 우린다.
- 실온으로 식힌 뒤 박하 잎을 건져내고 마시자.
마시는 법
- 코피가 나면 즉시 박하 차를 마시자.
- 코피가 멈춰도 하루에 2~3번 마시자.
5. 소금물
소금물로 코안을 씻으면 벽에 굳은 피딱지를 깨끗이 제거해서 피딱지로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재료
- 소금 1티스푼
- 물 1컵
준비 방법
- 따뜻한 물에 소금을 잘 풀어서 녹인다.
- 물이 적당하게 식으면 주사기에 넣는다.
사용 방법
- 주사기로 코안에 소금물을 뿌린다.
- 부드러운 천으로 잔여물을 닦아내자.
자연 치유법으로 코피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자. 그러나 코피가 자주 난다면 병원에 가야 한다. 흔치 않은 경우로 혈액 질환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Wright, C. I., Van-Buren, L., Kroner, C. I., & Koning, M. M. G. (2007). Herbal medicines as diuretics: A review of the scientific eviden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https://doi.org/10.1016/j.jep.2007.07.023
- Balubaid, S. O. (2012). The curial effect of vinegar in reducing the serious damages of lead on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some organs of embryos and mature female albino mice. Life Science Journal.
- M.S., I., & A.Z., B. (2011). Efficiency of “Nettle oil” use for prevention of hemorrhagic complications in the pregnants with iron deficiency anemia. Journal of Thrombosis and Haemostasis. https://doi.org/http://dx.doi.org/10.1111/j.1538-7836.2011.04380_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