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AD)은 전 세계적으로 신경 퇴행성 질환인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다. 또한 신경 퇴행성 질환 중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많이 연구된 질병이기도 하지만 알츠하이머병에 관한 여러 가지 오해가 있다.
환자 주변 사람들에 이러한 잘못된 정보가 전달되어 알츠하이머병(AD) 환자를 돌보는 일이 더 어려워질 때가 많다.
이번 글에서는 알츠하이머병과 그 진행을 좀 더 정직하고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려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하는 퇴행성 질환이므로 증상을 잘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지만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로 환자는 혼자 일상생활에 대처할 수 없게 된다.
1. 알츠하이머병에 관한 오해: 유전
알츠하이머병에 유전적 요소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다인성 질환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질환이 발전하려면 여러 요인이 상호 작용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은 나이다. 65세 이상, 남성보다는 여성, 그리고 다운증후군이 있을 때 더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다중 기원 때문에 부모가 알츠하이머병 환자라고 해서 자녀에게 반드시 유전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유전적 요소를 과소평가하는 것도 옳지 않다.
알츠하이머병 환자 약 40%가 65세 이후에 치매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2. 알츠하이머병에 관한 오해: 노화
또 다른 일반적인 통념은 알츠하이머병이 노인에게만 나타난다는 것인데 대개 노인 환자만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젊은 사람들에게서 시작되는 변종 치매가 있다. 65세 미만 환자가 포함되지만 임상 증상은 빠르면 30세부터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조기 발병 알츠하이머병의 임상 경과는 일반적으로 둔하고 파괴적인 경과를 따른다. 후기 발병형보다 예후가 좋지 않으며 명백한 유전적 구성 요소가 입증되었다.
더 읽어보기: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의 차이점
3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와 동의어인가?
알츠하이머병은 퇴행성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로 동일한 질병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모든 유형의 치매가 알츠하이머병은 아니다.
알츠하이머병 외에도 치매라는 용어로 알려진 주요 신경 인지 장애 유발 질환은 다음과 같다.
- 루이소체를 동반한 치매
- 전두측두엽 치매
-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
이러한 조건에서 임상 증상은 영향을 받는 신경 영역에 따라 달라진다. 마찬가지로 위험 요인, 특성 및 병태 생리학도 각각 다르다.
그러나 환자의 일상 활동 수행을 방해하고 간병인의 지원이 필요한 진행성 신경 인지 장애로 이어지기 때문에 치매로 분류된다.
더 읽어보기: 수면 부족으로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률이 높아질까
4. 알츠하이머병 치료가 효과적인가?
환자와 친척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현재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치료법이 없다는 것이다. 인지 증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처방되는 약물이 있지만 결정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한다.
질병 진행이 불가피하다는 숙명론적 가정 때문에 조기 치료를 연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진단 후에는 시기적절한 치료법 수립이 필수다. 이를 위해서는 징후 관리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된 약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직 치료 혜택이 미미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지만 치료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5.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할 수 있을까?
알츠하이머병 예방은 해결해야 할 복잡한 문제로 여러 의견이 있다.
수많은 간행물이 알츠하이머병 발달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기적의 식단, 운동 및 마법의 대체 요법을 공유한다. 그러나 알츠하이머병의 기원이 다인자이기 때문에 어느 것도 실질적인 기여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관련된 개별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는 어려웠지만 적어도 발병 연령을 늦추기 위한 예방 조치를 확립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증상은 수십 년에 걸쳐 발생하는 신경 연결의 결과다. 갑자기 발병하지 않는다.
관련 위험 요소
각 요인 연구의 복잡성에 관계없이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더 건강한 생활 방식을 통합할 것을 제안하는 학자들도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예방을 보장하는 합의는 아직 없다.
가장 널리 수용되는 권장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자극적인 지적 발달 유지
- 규칙적인 신체 운동 루틴 포함
- 과일, 야채, 생선 및 식물 단백질이 풍부한 균형 잡힌 식단
- 삶의 다양한 단계에서 사회 및 문화 행사에 참여
- 혈압, 비만, 당뇨병 조절
- 흡연과 음주 절제
6. 알츠하이머병의 확실한 진단은 가능한가?
환자와 그 가족이 우려하는 또 다른 측면은 진단의 정확성이다. 그 이유는 질병을 정의하는 조직학적 뇌 변화가 부검에서만 분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더 나은 이해로 진단 오류를 줄이는 유효한 기준이 만들어졌다.
또한, 사후 확인에 의존하지 않고 보완 검사에서 검출된 바이오마커로 이러한 조직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 중에는 요추 천자 및 자기 공명 영상(MRI) 및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이 있다.
7. 알츠하이머병은 사람을 정의하지 않는다
자신의 질병에 대한 개인 인식도 고려해야 한다. 알츠하이머 협회(Alzheimer’s Association)의 기사에서 질병의 신비를 밝히고 진단에 붙은 낙인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진단 자체만큼 부담스러운 것은 종종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더 이상 독립적이지 않게 될 것임을 가까운 사람들이 가정하게 만든다. 이러한 반응이 처음에는 합리적일 수 있지만 피해야 한다. 인지 상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나므로 환자의 성격이 진단과 함께 단순히 증발하지 않는다.
8. 알츠하이머병의 증상 최소화
매일 증상을 겪는 환자의 건강이 항상 중요하므로 특정 언급은 피해야 한다. 일부 환자는 많은 사람이 진단을 과소평가하고 종종 환자의 나이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질병에 대한 자신의 개념이 정확하지 않다고 가정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나쁜 의도가 없을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환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확한 정보는 항상 최고의 도구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Domarus, A.; Farreras, P.; Rozman, C.; Cardelach, F.; Nicolás, J; Cervera, R.; Farreras Rozman. Medicina Interna; 19na Edición; Elsevier; 2020.
- Sacristán, P.; Aspectos Genéticos de la Enfermedad de Alzheimer; Universidad de León – Facultad de Ciencias Biológicas y Ambientales; 2021.
- Tellechea, P.; Pujol, N.; Steve, P.; Echeveste, B.; García, M.; Arbizú, J.; Riverol, M.; Enfermedad de Alzheimer de Inicio Precoz y de Inicio Tardío: ¿Son la Misma Entidad?; Sociedad Española de Neurología; 2015.
- López, Ó.; Tratamiento Farmacológico de la Enfermedad de Alzheimer y otras Demencias; Archivos de Medicina Interna; 37 (2); 2015.
- Orueta Sánchez, Ramón. “Los medicamentos para la enfermedad de Alzheimer a debate. El papel del médico de familia.” Revista Clínica de Medicina de Familia 12.3 (2019): 113-114.
- Bermejo, F.; Llamas, S.; Villarejo, A.; Prevención de la Enfermedad de Alzheimer: un Camino a Seguir; Sociedad Española de Medicina Interna;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