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인지 정의 및 일상적인 예

메타인지는 자신의 사고 능력을 인식하는 과정들을 말한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일상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메타인지

메타인지는 최근 몇 년 동안 대중화된 개념으로 심리학이나 교육학에 관련한 기사나 매체에서 자주 언급된다. 하지만 실제로 메타인지 정의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번 글에서는  메타인지에 관한 몇 가지 구체적인 사례를 이야기해보겠다.

인간의 배타적 능력이라고 생각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특정 동물에서 유사한 과정의 증거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자신의 사고 능력을 인식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무엇이 진실인지, 메타인지가 왜 중요한지와 일상생활에 어떤 이점이 있는지 궁금하다면 이 글을 계속 읽어보자.

메타인지 정의

메타인지는 현실을 해석하게 해주는 사고 과정을 반영하는 능력이다. 인지에 개입하는 정도까지 통제, 감시, 평가, 조절하는 능력이기도 하다.

더 읽어보기: 인지 기능이란 무엇입니까?

현재 메타인지로 이해하는 것은 존 H. 플라벨의 아이디어에 기원을 둔다. 그 이후로 특정 학교에서 이러한 프로세스의 개발을 설명하려는 여러 이론이 등장했다(구성주의의 기여가 특히 가치가 있다). 이를 더 잘 이해하려면 프로세스를 규제하는 두 가지 아이디어를 지정해야 한다.

  • 메타인지 지식: 자신의 인지 과정에 관해 알고 있는 것을 암시한다. 메타인지 지식은 특정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에 대한 지식이며 그러한 기술과 능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략에 관한 지식을 말한다.
  • 메타인지 조절: 이러한 인지 과정과 전략에 관한 긍정적인 행동을 포함한다. 모니터링과 관련이 있으며 결과에 대한 차별이 수반된다. 예를 들어, 기술 또는 약점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전략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단계

메타인지 메타인지 지식
약간의 성찰만 있다면 누구나 자신의 이익을 위해 메타인지를 개발할 수 있다.

각 이론과 저자는 서로 다른 단계를 설정했지만 일반적으로 계획, 모니터링, 평가 및 성찰의 네 가지 단계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중요하며 서로 결합하여 전문가가 메타인지라고 부르는 것을 통합한다.

수행 중인 작업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인식과 이러한 프로세스를 자발적으로 제어하는 가장 적합한 전략이 포함된다. 플라벨의 초기 이론은 메타인지가 오류에 대처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메커니즘으로 등장했다는 것이다. 메타인지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더 효율적으로 될 수 있다.

더 알아보기: 기억력과 집중력 향상을 위한 보충제

따라서 처음의 정의로 돌아간다. 메타인지는 생각에 관해 생각하는 것이다. 이 단어들은 메타인지 과정과 관련된 전체 체계적 틀을 간단한 방식으로 요약한다. 초기 단계에서 발전하는 과정일 뿐만 아니라 평생 동반하는 과정이다.

학습에 대한 메타인지 의미

메타인지는 현실에서는 설 자리가 없는 매우 추상적인 개념으로 생각된다. 수년 동안 학습 과정에서 메타인지가 적극적으로 사용된 것을 보면 명백히 잘못된 믿음이다. 자신도 모르게 메타인지 전략을 매일 실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다음은 메타인지를 활용하는 학습의 예다.

제2 외국어 학습

지난 10~20년 동안 제2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은 메타인지 패러다임을 통합했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언어 학습의 동화를 강화하는 데 매우 유용한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외국어 학습에 메타인지 과정을 포함하면 지속적 학습의 장벽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자신의 학습 전략을 반성하고 강점과 약점을 인식하며 과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고,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면 눈에 띄는 차이를 만들 수 있다.

음악적 능력 향상

앞선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악은 대개 어려운 학습 영역이다. 관심이 있다고 해도 음악 이론에 동화하는 것은 다소 복잡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메타인지가 음악적 개념 학습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학생, 악기 연주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과 전문적으로 음악에 전념하는 사람은 메타인지를 정기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음악적 학습 속도가 빨라진다.

수학에 대한 더 깊은 이해

공부하는 소년.
수학은 많은 사람에게 골칫거리일 수 있다. 메타인지를 통해 수학을 이해하는 방식을 바꾸면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은 수학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메타인지 사용을 지지한다. 수학은 가장 큰 거부감을 유발하는 연구 분야로 사용되는 접근 방식이나 연구 전략이 원인이다.

메타인지를 통해 수학을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 효율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대안 학습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교육 및 학생의 기술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메타인지 활용

메타인지는 현실에 어떤 종류의 함의도 없는 이론적 수준의 아이디어가 아니다.

앞서 설명한 새로운 언어 학습, 음악 이론 학습 또는 수학 문제 해결이 자신에게 적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다음의 일상생활 속 메타인지 적용법은 어떤가?

  • 의사 결정을 향상한다.
  • 비판적 사고를 증진한다.
  • 어떤 결과도 얻지 못하는 패턴의 정체나 반복을 방지한다.
  • 소셜 메타인지로 알려진 것을 통해 공감과 타자성을 연습하게 한다.
  • 기술과 능력을 발견하여 자존감을 높일 수 있다.
  • 성공을 위한 이상적인 전략이다.
  • 성취할 수 있는 것을 제한하는 실패나 실수를 방지한다.
  • 자기감정을 통제하게 한다.

메타인지는 아직 연구할 것이 많다. 메타인지의 유용성은 자기 개념과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만큼 다양한 아이디어를 탐구하도록 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Aguilera, E., Borda, M., Castro, et al. (2017). Programa de formación docente en metacognición para la
    intervención en situaciones-problema de carácter interpersonal entre estudiantes
    [Tesis de maestría, Pontificia Universidad Javeriana]. Repositorio
    Institucional. Disponible en: https://repository.javeriana.edu.co/handle/10554/38096
  • Anderson, N. J. (2002). The Role of Metacognition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ERIC Digest. Disponible en: https://eric.ed.gov/?id=ED463659
  • Benton, C. W. (2013). Promoting metacognition in music classes. Music educators journal100(2), 52-59. Disponible en: https://journals.sagepub.com/doi/abs/10.1177/0027432113500077
  • Concina, E. (2019). The role of metacognitive skills in music learning and performing: theoretical featur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rontiers in Psychology10, 1-11. Disponible en: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psyg.2019.01583/full
  • Figueroa, M. E., Posada, E. L. y Rincón, T. (2016). Metacognición de docentes en situaciónproblema de carácter interpersonal entre estudiantes en el contexto escolar [Tesis de
    maestría, Pontificia Universidad Javeriana]. Repositorio institucional.
    https://repository.javeriana.edu.co/handle/10554/19479
  •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10), 906–911. Disponible en: https://psycnet.apa.org/record/1980-09388-001
  • Hoffman, B. & Spatariu, A. (2008).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metacognitive prompting on math problem-solving efficiency.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33(4), 875-893. Disponible en: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361476X0700029X
  • Jozefowiez, J., Staddon, J. E. R. & Cerutti, D. T. (2009). Metacognition in animals: How do we know that they know? Comparative Cognition & Behavior Reviews, 4, 29-39. Disponible en: https://psycnet.apa.org/record/2010-17027-003
  • Mateos, M. (2001). Metacognición y educación. Aique.
  • Osses, S. (2007). Hacia un aprendizaje autónomo en el ámbito científico. Inserción de la dimensión metacognitiva en el proceso educativo. Disponible en: https://www.adeepra.org.ar/congresos/Congreso%20IBEROAMERICANO/ACCESO/RLE2610_Osses.pdf
  • Öz, H. (2005). Metacognition in foreign/secon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Hacettepe Üniversitesi Eğitim Fakültesi Dergisi29(1), 147-156. Disponible en: https://eric.ed.gov/?id=EJ808063
  • Robson, S. (2010). Self-regulation and metacognition in young children’s self-initiated play and reflective dialogu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18(3), 227-241.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9669760.2010.521298
  • Robson, S. (2016). Self‐regulation and metacognition in young children: Does it matter if adults are present or not?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2(2), 185-206. Disponible en: https://bera-journal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berj.3205
  • Van der Stel, M., Veenman, M., Deelen, K. & Haenen, J. (2010). The increasing role of metacognitive skills in math: A cross-sectional study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ZDM42, 219-229. Disponible en: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1858-009-0224-2
  • Wilson, D., & Conyers, M. (2016). Teaching students to drive their brains: Metacognitive
    strategies, activities, and lesson ideas. ASCD.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