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약물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

다수의 제약 회사들이 현재 코로나19 치료제(아마도 백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은 최초의 긴급 백신이 2020년 4월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현재 개발 중인 COVID-19 치료제

세계 최대의 제약 연합회 중 4곳은 이미 코로나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30가지 항바이러스 약물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지금은 해당 약물의 효능을 평가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곧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 방법을 찾을지도 모른다.

국제제약산업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FPMA), 유럽제약산업연맹(European Federation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EFPIA), 미국 제약연구 및 제조연합(Pharmaceutical Research and Manufacturers of America: PhRMA) 및 대한제약산업협회(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Association)에서 이러한 발표를 했으며, 제약 산업 전체를 아우르는 협력을 달성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치료제 혹은 백신 개발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보건 당국, 보건 기구, 학자 및 연구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지원도 절실하다. 공동 연구 및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그 목표를 달성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

처음에 연구원들은 HIV 및 에볼라와 같은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입증된 항바이러스 약물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현재 몇 가지 임상 시험이 이미 진행 중이며 이러한 약물과 관련하여 도움이 될 만한 문헌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졌다.

그리고 두 번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ACE 억제제의 작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억제제는 코로나바이러스 질환을 다루는 데 있어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현재 미국의 실험실인 애브비(AbbVie)는 로피나비르(Lopinavir)와 리토나비르(Ritonavir)라는 두 가지 항바이러스 약물의 조합을 통해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로슈(Roche), 머크(Merck) 그리고 바이엘(Bayer) 등 회사들은 인터페론(interferon)을 연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GSK)은 자나미비르(Zanamivir)의 잠재력에 관해 연구하고 있으며, 길리어드(Gilead)는 렘데시비르(Remdesivir)를 연구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인 COVID-19 치료제
제약 업계는 코로나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를 테스트하고 있다.

더 읽어보기: 독감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치료제

일본 제약 회사인 다케다(Takeda)도 신약을 테스트하는 중이다. 그중 하나는 혈장에서 추출한 약물로 전문가에 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복용할 수 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화이자(Pfizer)도 그것이 이 전염병이 나타나기 전에 이미 개발된 일부 항바이러스 화합물의 예비적 평가를 가속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약물이 코로나19와는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의 복제 억제제로 이미 평가되었다고 분명히 말했다. 따라서 최종 결과가 가까운 시일 내에 발표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Regeneron Pharmaceuticals)는 미국 보건복지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HS)와 협력하여 현재 이 유행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약물 및 치료법을 찾고 있다고 보고했다.

더 읽어보기: 감기에 걸리는 이유

코로나19 백신

약물 이외에도 연구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사노피파스퇴르(Sanofi Pasteur)로 알려져 있고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의 제약 부문이기도 한 얀센사(Janssen company)는 가능한 백신의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GSK)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제약 회사들은 여러 유형의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동시에 노력하고 있다. 백신 중 일부는 일시적인 효과를 목표로 하며, 다른 일부는 더욱 지속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부 북미 신문은 미국 국립 보건원(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이 백신 개발 목표의 최전선에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이들은 쥐 실험에서 나타난 성공적인 결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또한, 젊고 건강한 자원봉자자들에 대한 실험이 곧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한편, 중국의 정보에 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 응급 상황에 대한 첫 백신은 중국에서 4월 중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COVID-19 치료제 - 백신
현재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제약 업계와 국립 보건원의 최우선순위가 되었다.

우려 사항

질병 생태학자이자 과학 단체 ‘에코헬스 얼라이언스(EcoHealth Alliance)’의 멤버인 피터 다작(Peter Daszak) 박사는 전 세계가 전염병의 출현에 잘못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발견한다고 해도 곧 나타날 새로운 전염병의 출현을 막을 수는 없을 거라고 말하면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의 사례를 예로 들었다. 이 질병에 대한 백신을 개발하는 건 단순히 많은 전염 가능성 중 하나를 처리하는 것일 뿐이라고 말이다.

또한 다작 박사는 에이즈(HIV)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바이러스가 출현한 지 여러 해가 지난 지금까지도 의사들은 여전히 그 바이러스를 약물로 치료하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따라서 아직 에이즈에 사용할 수 있는 백신은 없다.

다작 박사는 올바른 대응은 바로 인간이 세상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야생 동물과의 접촉을 규제해야 한다고 말이다. 이러한 바이러스의 대부분은 삼림 정리, 도로 건설 및 밀렵 중에 인간이 접촉한 동물로부터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결론

코로나19 치료법은 현재 개발 중이다. 하지만 제약 업계가 항바이러스 약품 또는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아주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긴 하지만 아직은 실험 단계에 있을 뿐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Lissardy, G., & BBC. (2020, 9 marzo). “Estamos encarando epidemias como el covid-19 de forma equivocada”: entrevista con el ecólogo de enfermedades Peter Daszak. Recuperado 10 marzo, 2020, de https://www.bbc.com/mundo/noticias-internacional-51796442
  • Ahmed, Syed Faraz, Ahmed A. Quadeer, and Matthew R. McKay. “Preliminary identification of potential vaccine targets for the COVID-19 coronavirus (SARS-CoV-2) based on SARS-CoV immunological studies.” Viruses 12.3 (2020): 254.
  • Dhama, Kuldeep, et al.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 (2020).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