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가 좋다는 얼룩 제거제를 수없이 써봤는데 별 효과를 보지 못한 사람들이 늘면서 집에서 얼룩 제거제를 만들어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옷은 언제나 얼룩에 취약하며, 심지어 빨래를 하는 동안에도 얼룩이 생길 수 있다. 얼룩의 원인이 어떤 것이든지 간에, 이런 얼룩을 완전히 없애기는 어렵다. 그리고 거의 항상 옷감을 상하게 할 수도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세제에 의존해야 한다. 요즘은 얼룩 제거제가 다양하게 나오지만, 보통 그런 제품들에는 우리의 건강과 환경을 해칠 수 있는 화학 물질이 가득 들어있다.
요즘 많은 사람들은 옷을 세탁하고 얼룩을 제거할 환경 친화적인 대안을 찾고 있다. 이런 것들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저렴하고 구하기가 쉽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따라 집에서 얼룩 제거제를 만들어 사용해 보자. 지구와 건강에 안 좋은 제품을 대신할 수 있다!
집에서 얼룩 제거제를 만들 수 있을까?
베이킹 소다 얼룩 제거제
베이킹 소다는 항상 집에 구비되어 있는 재료이다. 하얀 이 가루는 저렴하기도 하다. 집안을 청소할 때 뿐만 아니라 옷의 얼룩을 제거할 때 사용해도 효과적이다.
- 땀 혹은 토사물 얼룩: 옷에 땀이나 토사물 얼룩이 묻어있다면, 베이킹 소다 6큰술을 따뜻한 물 반 컵에 섞어서 얼룩진 부분에 바로 바르면 된다. 약 15분 동안 놔둔 후 따뜻한 물에 헹군다. 만약 얼룩이 한번에 모두 빠지지 않았다면 얼룩이 모두 빠질 때까지 이 작업을 반복한다.
- 기름 얼룩: 기름은 섬유나 옷감에 달라붙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런 얼룩은 골치가 아플 수 있다. 베이킹 소다는 기름을 빨아들이는 특성이 있어 베이킹 소다를 사용하면 이런 얼룩도 비교적 쉽게 제거 할 수 있다. 베이킹 소다를 얼룩이 있는 부위에 직접 뿌리고 30분이 지난 후 부드럽게 문지른 후 헹군다.
더 읽어보기 : 베이킹 소다의 독특한 사용법 6가지
식초 얼룩 제거제
식초는 가장 훌륭한 천연 세척제 중 하나이다. 부엌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재료인 식초는 강력한 얼룩 제거제로 옷부터 카페트나 마루바닥이나 심지어는 가구에도 사용할 수 있다.
- 일반 얼룩: 옷이나 다른 표면의 얼룩을 빼기 위해서는 식초 반 컵과 따뜻한 물 1리터 가량과 베이킹 소다 1/4컵을 섞는다. 이 혼합물을 얼룩에 바로 뭍힌 후 15분간 놔둔 다음 헹군다.
- 곰팡이 얼룩: 식초는 곰팡이로 생긴 얼룩을 빼는 데에 아주 좋다. 이 경우, 식초와 소금을 같은 분량으로 섞어서 얼룩에 바른다.
레몬 소금 얼룩 제거제
레몬 즙은 천연 얼룩 제거제로 소금과 섞으면 커피나 차나 잉크 같은 잘 빠지지 않는 얼룩을 제거할 수 있다.
- 어두운 얼룩: 레몬 즙 약 1/4 컵과 소금 몇큰 술과 따뜻한 물 반 컵을 그릇에 넣고 섞는다. 이 혼합물을 얼룩에 직접 바르고 10분 동안 놔둔 후 따뜻한 물로 헹군다.
더 읽어보기 : 레몬의 효능과 레몬을 이용한 자연 요법
콘스타치와 활석 얼룩 제거제
콘스타치와 활석을 같이 사용하면 효과적인 얼룩 제거제가 된다. 이 얼룩 제거제는 옷에 묻은 와인 자국 같이 어두운 얼룩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 레드 와인 얼룩: 이런 잘 빠지지 않는 얼룩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콘스타치와 활석을 1:1 비율로 섞은 후 그 반죽을 얼룩에 바른다. 약 15분간 놔둔 후 따뜻한 물로 헹군다. 필요하다면 위 과정을 반복한다.
계란 노른자 얼룩 제거제
계란 노른자를 사용한 이 얼룩 제거제는 커피 얼룩을 제거하는 데 특히 뛰어나다.
- 커피 얼룩: 계란 노른자 한개와 따뜻한 물 반 컵을 섞어서 옷에 묻은 커피 얼룩에 직접 바른다. 20분간 놔둔 후 옷을 미지근한 물로 헹군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leaning Supplies and Household Chemicals. (2022). American Lung Association. Recuperado el 29 de marzo del 2023 en: https://www.lung.org/clean-air/at-home/indoor-air-pollutants/cleaning-supplies-household
- Gerster F., Vernez D., Wild PP., Hopf NB. (2014). Hazardous substances in frequently used professional cleaning products. Int J Occup Environ Health, 20(1):46-60. Recuperado d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096065/
- Turner P. (2017) Cleaning Healthy. Cleaning Green. (2017). University of Georgia. Recuperado el 29 de marzo del 2023 en: https://extension.uga.edu/publications/detail.html?number=C1114&title=Cleaning%20Healthy,%20Cleaning%20Green
- Washburn C. (2009). Home Cleaning Chemistry. Utah State University. Recuperado el 29 de marzo del 2023 en: https://extension.usu.edu/archive/home-cleaning-chemic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