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당과 글루텐이 없는 씨앗 크래커를 만드는 방법

씨앗 크래커는 마트에서 항상 살 수 있지만 집에서 만들면 해로운 첨가물이 없는 좋은 재료를 쓸 수 있다. 이 건강한 레시피를 꼭 한번 시도해 보자.

씨앗 크래커를 글루텐 프리

빵이나 탄수화물 때문에 체중이 늘거나 몸이 붓는다고 느껴져서 줄이려고 하는가? 그렇다면 가볍게 먹을 수 있고 영양가도 높은 건강한 대안이 바로 씨앗 크래커다. 이번 글에서는 집에서 씨앗 크래커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 크래커는 무글루텐 밀가루를 쓰며 버터나 기타 유제품이 들어가지 않는다.

빵이나 페이스트리를 더 건강한 식품으로 대체하는데 안성맞춤인 이 맛있는 레시피를 시도해 보자.

빵을 먹는 것이 나쁠까?

씨앗 크래커를 빵

빵은 에너지를 공급하고 포만감을 주는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품이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다.

  • 흰 밀가루로 만든 빵은 과하게 정제된 식품으로 혈류 pH를 변화시키고 변비나 기타 장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 이스트는 부종과 소화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 빵에는 밀 단백질인 글루텐이 많고 많은 사람이 글루텐 불내증이 갖고 있다.
  • 과체중 및 뱃살에도 영향을 미친다.
  • 혈당 수치를 변화한다.

빵을 대체할 식품

씨앗 크래커를 건강식

다음과 같은 건강한 식품으로 식단을 구성하면 흰 빵을 줄이거나 끊을 수 있다. 

  • 통곡물빵: 호밀, 귀리, 보리, 쌀, 스펠트, 옥수수 등
  • 쌀 혹은 옥수수 토스트
  • 씨앗 크래커
  • 멕시코 토르티야나 인도 빵

더 읽어보기: 글루텐 프리 빵 레시피 3가지

그중 수제 씨앗 크래커는 다음의 다양한 효능을 제공한다.

  • 영양가가 아주 많다.
  • 포만감을 주고 식사 사이에 간식을 먹고 싶은 욕구를 줄인다.
  • 소화를 조절하며 변비에도 좋다.
  • 다량의 섬유질 및 필수 지방산을 공급한다.
  • 먹고 나서 더부룩한 느낌이 없다.
  • 글루텐이 없으므로 소화가 더 쉽고 글루텐 불내증이 있는 사람에게도 적합하다.
  • 게다가 이 씨앗 크래커들은 아침 식사, 간식 혹은 애피타이저로 완벽하다.
  • 시판 제품과는 달리 수제 크래커에는 첨가물, 인공 조미료, 해로운 지방, 혹은 과도한 나트륨이 없다.

씨앗 크래커를 집에서 만드는 방법

씨앗 크래커를 글루텐 불내증

재료

  • 달걀 2개
  •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1/2컵(100g)
  • 천일염 1티스푼(7g)
  • 양념: 오레가노, 후추, 강황, 바질, 타임, 마늘 가루 등
  • 물 1컵(200mL)
  • 쌀 가루 1컵(120g)
  • 옥수수 가루 1컵(130g)
  • 병아리콩 가루 1컵(130g)
  • 여러 가지 씨앗류 1컵(치아 씨, 깨, 아마 씨, 해바라기씨, 호박씨, 양귀비씨 등 총 120g)

이 크래커는 얇고 바삭하게 만들어야 하므로 어떤 종류의 이스트도 사용하지 않는다.

더 읽어보기: 밀가루빵과 통곡물빵, 어느 쪽이 더 좋을까?

만드는 방법

  • 이 레시피의 가장 좋은 점은 반죽을 주무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반죽이 아주 묽어서 모든 재료를 블렌더에 넣기만 하면 된다.
  • 먼저 달걀을 블렌더에 넣어 잘 섞는다.
  • 그 다음에 오일, 소금, 양념과 물을 넣는다.
  • 다른 그릇에 세 가지 가루를 섞은 다음 블렌더에 넣는다.
  • 반죽에 씨앗을 넣거나 크래커 위에 올릴 분량을 남겨 놓아도 된다. 크래커 위에 올리면 더 맛있고 독특한 식감을 낸다.
  • 투명 비닐로 반죽을 덮은 다음 약 한 시간 동안 냉장고에 보관해 휴지한다.
  • 반죽이 붙지 않도록 넓고 평평한 베이킹 팬에 오일을 약간 뿌리고 펴서 올린다.
  • 씨앗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잘 뿌린다.
  • 오븐을 190도로 예열한 후 20~30분간 굽는다.
  • 오븐에서 꺼내 식힌 다음 크래커를 작은 조각으로 자른다.
  • 씨앗이 표면에 잘 붙지 않으면 굽기 전에 크래커 위에 달걀칠을 한다.

씨앗 크래커를 활용한 레시피

이 크래커에 잘 어울리는 건강한 토핑들은 다음과 같다.

  • 토마토, 아보카도, 신선한 치즈
  • 채소
  • 버터 및 잼

이 레시피를 달콤하게도 만들 수 있다. 소금 대신 설탕을 쓰고 계피나 생강 같은 향신료를 넣으면 사탕이나 치즈류에 곁들이기 좋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Gallagher, E., Gormley, T. R., & Arendt, E. K. (2004). Recent advances in the formulation of gluten-free cereal-based products.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https://doi.org/10.1016/j.tifs.2003.09.012 Vazquez-Roque, M., & Oxentenko, A. S. (2015).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Mayo Clinic Proceedings. https://doi.org/10.1016/j.mayocp.2015.07.009 Caio, G., Volta, U., Tovoli, F., & De Giorgio, R. (2014). Effect of gluten free diet on immune response to gliadin in patients with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BMC Gastroenterology. https://doi.org/10.1186/1471-230X-14-26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