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 장애와 불임의 관련성
식이 장애는 성별과 관계없이 불임을 유발할 수 있다. 직접적인 관련성을 발견하지 못한 일부 연구 결과도 있지만, 식이 장애는 불임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부터 식이 장애와 불임의 관련성을 자세히 알아보자.
식이 장애는 여성에게만 경험하는 문제가 아니며, 남녀 모두의 생식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식이 장애가 생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때가 많다. 즉, 식이 장애를 극복한 후 오랜 시간이 지나고 나서도 임신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불임을 유발할 수 있는 식이 장애
가장 잘 알려진 식이 장애는 신경성 식욕 부진증(거식증)과 신경성 식욕 항진증(폭식증)이다. 하지만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식이 장애가 있다.
신경성 식욕 부진증
신경성 식욕 부진증은 체중 감량이나 저체중 유지를 목표로 정상적인 식사를 중단하고 칼로리 섭취량을 심각하게 제한하는 상태다.
신경성 식욕 부진증은 식이 장애 중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신경성 식욕 항진증: 식이 장애와 불임의 관련성
신경성 식욕 항진증이 있으면 잦은 폭식을 하고 폭식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특정 조치를 따른다. 대부분 먹은 것을 토해내려고 하지만, 설사약을 먹거나, 관장을 하거나, 심하게 운동을 하거나, 아무것도 먹지 않으면서 극단적인 식단을 따르기도 한다.
식이 장애는 체중뿐 아니라, 삶과 전반적인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폭식: 식이 장애와 불임의 관련성
폭식도 식이 장애에 속하는 증상으로, 많은 양의 음식을 빠르게 섭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허기가 느껴지지 않을 때도 음식을 찾는 경향이 있으며, 죄책감과 슬픔을 느끼게 된다.
폭식증 진단을 받으려면 일주일에 2회 이상 폭식 증상이 있어야 한다.
더 읽어보기: 폭식증의 유형
임신 중 거식증: 식이 장애와 불임의 관련성
임신 중 거식증은 임산부가 체중 증가에 관한 두려움으로 식사를 제대로 하지 않는 상태다. 보통 식사를 제한하면서 격한 운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임신 중 거식증이 있는 여성은 과거에 신경성 식욕 부진증을 경험한 적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임신 중 거식증은 불임과 관련이 있다. 실제로 많은 환자가 임신에 어려움을 겪고 임신 중에도 이러한 행동을 반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근육 추형
근육 추형은 남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장 흔한 식이 장애로, 운동 중독과 과도한 단백질로 균형이 깨진 식단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체격과 탄탄한 몸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야식 증후군: 식이 장애와 불임의 관련성
야식 증후군은 폭식과 유사한 증상이지만, 밤에만 폭식을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꺼번에 과식을 하는 것이 아니라 휴식을 취해야 하는 시간에 쉴 새 없이 무언가를 먹는다는 특징이 있다.
메가렉시아
눈에 잘 띄지 않는 식이 장애인 메가렉시아(Megarexia)는 과체중이지만 자신의 신체 상태가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증상이다. 심지어 자기가 날씬하거나 탄탄한 몸매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더 읽어보기: 자꾸만 가공식품을 찾는 감정적 과식을 극복하는 방법
식이 장애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불임을 유발한다
식이 장애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다. 전반적인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생식 능력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체지방
신체가 호르몬 균형을 유지하려면 적당량의 지방이 있어야 한다. 지방 세포는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을 포함한 호르몬 생성과 합성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가 이러한 호르몬을 충분히 생성하지 못하면 생식 기관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영양과 생식 능력
영양과 생식 능력의 관련성이 과학적으로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식단의 질이 생식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과학적 근거가 있다.
식이 장애가 있는 사람은 기본적인 신체 필요를 충족하지 못하므로, 난자와 정자의 질이 떨어진다. 그 외에도, 신체가 호르몬을 제대로 합성하지 못할 수 있다.
월경과 배란
식이 장애가 있는 여성은 대부분 월경 주기가 불규칙하거나 월경을 아예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배란에 문제가 생겨 임신 가능성이 상당히 떨어질 수 있다.
난소 및 자궁 수축
특히 월경 불순을 달고 사는 신경성 식욕 부진증 환자의 경우, 자궁 또는 난소의 크기가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호르몬 불균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자 수와 발기 부전: 식이 장애와 불임의 관련성
관련 연구가 많은 것은 아니지만, 일부 논문에 따르면 체내 지방이 부족한 남성은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은 편이므로 정자 수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발기 부전과 관련된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있다.
식이 장애의 장기적인 불임 영향
식이 장애를 극복한 후에도 생식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크지만, 이를 입증할 만한 장기 연구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의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식이 장애의 병력이 있으면 불임률이 높고 임신이 더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여성 환자도 일반 여성보다 임신 성공에 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향이 있다.
이는 환자가 겪었던 식이 장애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심한 식이 장애를 앓고 나면 생식 기관에 영구적인 손상이 남을 수 있다.
한편 임신에 성공한 후에도 유산, 조산,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이 있거나 임산부에게 심장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산후 우울증을 앓거나 신체상에 관한 왜곡된 생각을 자녀에게 고스란히 전달할 수 있다.
식이 장애는 가벼운 문제가 아니다
신체 및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장애는 불임을 유발할 수 있다. 임신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아이를 낳을 계획이 있다면 적절한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식이 장애는 의사, 심리학자, 영양사를 포함한 종합적인 접근으로 치료해야 한다. 물론 올바른 영양 재활 과정만으로 생식 능력을 회복하는 사람도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Ekeus, C., Lindberg, L., Lindblad, F., & Hjern, A. (2006). Birth outcomes and pregnancy complications in women with a history of anorexia nervosa.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113(8), 925-929.
- Rava, M. F., & Silber, T. J. (2004). Bulimia nerviosa (Parte 1): Historia. Definición, epidemiología, cuadro clínico y complicaciones. Archivos argentinos de pediatría, 102(5), 353-363.
- González Rodríguez, L. G., López Sobaler, A. M., Perea Sánchez, J. M., & Ortega, R. M. (2018). Nutrición y fertilidad. Nutricion hospitalaria, 35(SPE6), 7-10.
- Whittaker, J., & Wu, K. (2021). Low-fat diets and testosterone in me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The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210, 105878.
- Yanes-Rizo, T., Salazar-Alarcón, C. E., Martínez-Cruz, M., Nava-Hernández, J., Porter, M., & Vital-Reyes, S. (2014). Composición corporal y hábitos alimentarios en pacientes con infertilidad. Revista Mexicana de Medicina de la Reproducción, 6(4), 177-184.
- Tuncer, E., GÜMÜŞ, A. B., & Keser, A. (2020). The Importance of Pregorexia Awareness. Clinical and Experimental Health Sciences, 10(3), 186-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