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내 높은 단핵구 수치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혈액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세포 유형과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바로 혈액 내 순환하는 면역 체계 세포인 단핵구가 그렇다.
골수는 단핵구를 생산하고, 혈액을 통해 다양한 조직에 도달하면 대식세포가 되어 방어 기능을 수행한다. 골수는 몸에서 특정 폐기물과 위험한 요소들을 제거해야 할 책임이 있다. 또한 이 세포들은 염증 작용에도 작용한다.
전체적으로 단핵구는 혈액 내 총 세포의 4~8%를 차지한다. 하지만 단핵구 농도는 나이, 감염 또는 활성 염증 과정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왜 혈액 내 단핵구 수치가 높아지는지 설명할 것이다. 이 사항은 혈액 검사 중이나 사람의 면역 상태를 알 때 고려해야 할 필수적인 요소다.
혈액 내 단핵구 수치가 상승하는 이유
위에서 언급했듯이, 단핵구는 면역체계에 속하는 세포들이다. 염증 및 전염 과정의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의료 전문가들은 단핵구의 양이 모든 혈액 세포의 8%를 초과할 때 수치를 높다고 판단한다.
혈중 단핵구의 높은 수치는 증상을 일으킬 필요가 없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런 증가를 초래하는 상황의 증상과 징후가 두드러진다. 가장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감염: 일시적인 감염이라 하더라도 가장 흔한 원인이다.
-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 가장 흔한 것은 류마티스 관절염이다.
- 혈액 장애
- 백혈병과 림프종과 같은 발암성 과정
더 읽어보기: 혈액 검사로 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도 있다!
감염으로 인한 높은 단핵구 수치
감염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단핵구 수치는 감기와 같은 단순한 감염뿐만 아니라 결핵과 같은 만성적인 감염으로 인해 둘 다 상승한다. 그러나 단핵구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혈액 검사는 비특이성이다.
염증성 질환
이 세포들은 신체에 염증 작용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관절에 영향을 주고 통증과 이동성 상실을 유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가 바로 그렇다.
혈액 종양
혈액 세포는 종양을 경험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유형의 세포가 걷잡을 수 없이 증가해 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따라서, 혈액 내 단핵구의 높은 수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우울증을 진단해주는 혈액 검사
높은 단핵구 수치를 발견하는 방법
완전한 혈구 수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는 혈액 속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의 상황을 보여 주므로 관련 상황을 탐지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일부 데이터는 구체적이지 못하므로 좀 더 깊이 연구해야 한다.
단핵구의 수에 따라 어떤 과정이나 다른 것에 기인할 가능성이 더 높다. 예를 들어, 수치가 약간 올라가면 가벼운 감염 때문일 것이다. 반면 수치가 지나치게 높으면 백혈병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의사는 단핵구의 농도를 분석할 책임이 있다. 필요한 경우 감염이나 염증 과정을 발견하기 위해 다른 검사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이 사실에 수반되는 다른 증상을 가졌는지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고혈압 단핵구에 대한 치료법은 없고, 대신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데 치료의 초점이 맞춰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동이 단핵구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운동은 면역체계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자연적인 항염증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높은 수준의 단핵구는 매우 비특이적인 징후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단을 받으려면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야 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Abarca, A. (2016). Ejercicio como tratamiento anti-inflamatorio. Medicina Legal de Costa Rica, 33(1), 228-233. Disponible en: https://www.scielo.sa.cr/scielo.php?script=sci_abstract&pid=S1409-00152016000100228&lng=en
- de la Calle-Fabregat, C., Rodríguez-Ubreva, J., Ciudad, L., Ramírez, J., Celis, R., Azuaga, A. B., Cuervo, A., Graell, E., Pérez-García, C., Díaz-Torné, C., Salvador, G., Gómez-Puerta, J. A., Haro, I., Sanmartí, R., Cañete, J. D., & Ballestar, E. (2022). The synovial and blood monocyte DNA methylomes mirror prognosis, evolution, and treatment in early arthritis. JCI Insight, 7(9). Disponible en: https://doi.org/10.1172/jci.insight.158783
- García-Casal, M., & Pons-Garcia, H. (2014). Dieta e inflamación. Anales Venezolanos de Nutrición, 27(1), 47-56. Disponible en: http://ve.scielo.org/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798-07522014000100009&lng=es&tlng=es.
- García Díaz, M. F., Iglesias Fernández, N., Menéndez Ordás, R. E., Pardo Vega, R., García González, V., & Sánchez Fontecha, M. C. (2014). Utilidad de la serie blanca en el diagnóstico diferencial de la mononucleosis infecciosa. Pediatría Atención Primaria, 16(64), e127-e131. Recuperado de: https://dx.doi.org/10.4321/S1139-76322014000500002
- Hirose, S., Lin, Q., Ohtsuji, M., Nishimura, H., & Verbeek, J. S. (2019). Monocyte subset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d rheumatoid arthritis. International immunology, 31(11), 687–696. Recuperado de: https://doi.org/10.1093/intimm/dxz036
- Huerta Aragonés, J., Cela de Julián, E. (2018). Hematología práctica: interpretación del hemograma y de las pruebas de coagulación. En: AEPap (ed.). Curso de Actualización Pediatría 2018. Madrid: Lúa Ediciones 3.0, 507-526. Recuperado de: https://www.aepap.org/sites/default/files/507-526_hematologia_practica.pdf
- Jordan, S., Tung, N., Casanova-Acebes, M., Chang, C., Cantoni, C., Zhang, D., Wirtz, T. H., Naik, S., Rose, S. A., Brocker, C. N., Gainullina, A., Hornburg, D., Horng, S., Maier, B. B., Cravedi, P., LeRoith, D., Gonzalez, F. J., Meissner, F., Ochando, J., Rahman, A., … Merad, M. (2019). Dietary Intake Regulates the Circulating Inflammatory Monocyte Pool. Cell, 178(5), 1102–1114.e17. Disponible en: https://doi.org/10.1016/j.cell.2019.07.050
- León, B., López-Bravo, M., & Ardavín, C. (2005).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Seminars in immunology, 17(4), 313–318. Recuperado de: https://doi.org/10.1016/j.smim.2005.05.013
- Mangaonkar, A. A., Tande, A. J., & Bekele, D. I. (2021). Differential Diagnosis and Workup of Monocytosis: A Systematic Approach to a Common Hematologic Finding. Current hematologic malignancy reports, 16(3), 267–275. Recuperado de: https://doi.org/10.1007/s11899-021-00618-4
- Ochoa-Carrillo, F. J. (2013). Los macrófagos, ángeles o demonios. Gaceta Mexicana de Oncología, 12(1), 1-3. Disponible en: https://www.elsevier.es/es-revista-gaceta-mexicana-oncologia-305-articulo-los-macrofagos-angeles-o-demonios-X1665920113933087
- Pinto, T., Rossoni, A., Rodrigues, C., Rossoni, M., & Tahan, T. (2017). Diagnosis of tuberculosis in children: the role of hemogram and inflammatory markers. Residência Pediátrica, 7(Supl), 17-19. Disponible en: https://doi.org/10.25060/residpediatr-2017.v7s1-05
- ¿Qué significan los Monocitos altos? | ClinicPoint. (n.d.). Retrieved January 5, 2020. Recuperado de: https://www.clinicpoint.com/blog/316/que-son-monocitos-altos
- Territo, M. (2020). Trastornos de los Monocitos. Manual MSD. Consultado en: https://www.msdmanuals.com/es-es/hogar/trastornos-de-la-sangre/trastornos-de-los-gl%C3%B3bulos-blancos-leucocitos/trastornos-de-los-monocitos
- Torrens, M. (2015). INTERPRETACIÓN CLÍNICA DEL HEMOGRAMA. Revista Médica Clínica Las Condes, 26(6), 713-725. Recuperado de: https://doi.org/10.1016/j.rmclc.2015.1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