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수술 후 출혈의 위험성

외과 수술을 받으면 정맥 및 동맥 혈전 색전증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일시적으로 항혈전제가 제 기능을 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혈전증 및 색전증에 걸릴 위험이 커지는 것이다.

오늘은 수술 후 출혈의 위험성에 관해 좀 더 알아보자. 부상이나 외상으로 인해 수술 후 출혈이 생길 수 있으며, 혈액 응고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각 혈관은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혈관이 손상되면 출혈이 생길 수 있다. 혈관에서 피가 나는 것을 멈추게 하는 과정이 지혈이다.

혈액이 응고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 혈소판: 혈소판은 골수가 생성하는 세포로 크기가 정말 작은 세포이다. 정상 혈소판 수는 150,000~400,000이다.
  • 응고 인자: 이것은 혈액에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간에서 생성된다.

수술을 받으면 정맥 및 동맥 혈전 색전증 위험이 커진다. 일시적으로 항혈전제가 제 기능을 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혈전증 및 색전증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고 알려져 있다.

경구 항응고제에 의해 수술 전 출혈이 생길 위험은 낮다. 수술 절차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수술 후 출혈이나 수술 중 출혈이 생길 위험은 높다.

수술 후 출혈의 위험 요인

수술 후 출혈의 위험

수술을 할 때 수술 절차에 따라 위험할 수 있는지를 잘 알아보아야 한다. 그래서 항혈전 치료 유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의사는 수술 절차에 따른 혈전 및 출혈의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 항응고제/혈소판 치료를 중단하면 혈전증이 생길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의사는 수술 과정에서 혈전이 생길 위험을 염두에 두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게 중요하다.의

혈전 방지 치료를 계속하거나 중단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중단하기로 결정한 경우 헤파린을 처방한 후 항응고제 치료를 다시 시작한다. 수술 후 부동성 뿐만 아니라 수술 자체의 혈전 효과에도 도움 되기 때문이다.

더 읽어보기: 동맥 벽을 청소하는 6가지 자연 치유법

수술 후 출혈

대출혈은 심각한 상황으로 두 번 이상의 수혈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두개내, 흉부내 또는 복막 출혈일 수 있다.

출혈로 인해 합병증이 생기면 출혈의 정도와 피가 나는 부위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항응고 정도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생명을 위협할만큼 출혈이 심한 경우는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잘 대처해야 한다.

출혈이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면 수술 후 항혈전 요법을 해야한다. 출혈 위험이 높은 경우 항응고 과정이 진행되는지의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항응고 과정이 하루 이상 진행되지 않으면 의사는 헤파린을 투여하는 것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더 읽어보기: 놀라운 마늘의 항응고 특성과 건강상 이점

수술 후 항응고 치료 재개하기

수술 후 출혈의 위험

항응고 치료는 수술 2~3일 후에 재개해야 한다. 어떤 경우든 의사와 상담을 한 후 결정해야 한다.

수술 2~3일 후에 항응고 치료를 재개할 때는 저용량으로 시작해야한다. 수술 후 출혈이 없는 경우에는 48~72시간 후에 치료를 시작한다.

와파린과 아세노쿠마롤로 약물 치료를 받은 환자는 출혈 합병증이 없는 한 수술을 받은 날 밤에 항응고 치료를 재개할 수 있다. 

항응고 치료를 시작한 후 4~5일까지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항응고 요법을 한 환자는 최대한 빨리 혈전 상태를 회복하는 것임을 기억하자. 의사는 수술 후 지혈과 수술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은 수술 후 24시간 이내에 출혈 문제가 해결된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상 상태가 되기 전 까지는 항응고 치료를 시작하지 않아야 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Vivancos, J., Gilo, F., Frutos, R., Maestre, J., García-Pastor, A., Quintana, F., & Ximénez-Carrillo. (2016). Guía de actuación clínica en la hemorragia subaracnoidea. Sistemática diagnóstica y tratamiento. Neurologia. https://doi.org/10.1016/j.nrl.2014.10.002
  • Tortora, G. J., & Derrickson, B. (2006). Hemostasia. In Principios de Anatomía y Fisiología.
  • García, M. C. L., & Ramos, J. A. (2018). Hemorragia posparto. In Ejercer la medicina. https://doi.org/10.2307/j.ctt21kk0w3.24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