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임약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피임약은 잘 알려져 있지만, 여전히 이 약에 대한 몇 가지 질문이 있다. 어떤 부작용이 있을까? 언제 복용을 중단해야 할까? 지금부터 이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자.

피임약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피임약은 호르몬이 함유된 약물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은 복합 피임약으로 알려져 있다. 복합 피임약에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모두 함유되어 있다. 하지만 여러 유형이 있다. 그렇다면 피임약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은 무엇일까?

이러한 두 호르몬은 월경 주기 동안 난소에서 난자가 배출되지 못하게 막는다. 이 과정을 배란이라고 한다. 배란을 막기 위해, 자연적인 호르몬 수치가 알약의 호르몬과 결합된다.

또한 프로게스틴은 자궁 경부에서 점액의 농도를 진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자가 자궁으로 들어가기가 더 어려워진다.

피임약을 사용하는 것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 약에 대한 많은 질문이 있다. 그렇기에 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장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해 함께 살펴보려고 한다.

피임약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피임약 부작용은 무엇일까?

피임약은 매우 안전하며 부작용이 많지 않다. 하지만 모든 약물과 마찬가지로, 원치 않는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월경 주기의 변화 (월경 주기가 없거나 출혈이 추가로 발생함)
  •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인한 심한 편두통
  • 메스꺼움
  • 유방 압통
  • 체중 증가

또한 혈전과 심근 경색이 발생할 가능성도 함께 알아둘 필요가 있다. 혈압 또는 심장 문제와 관련된 위험이 높아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들은 매우 드물고 예외적인 상황에서만 나타난다.

더 읽어보기: 여성의 심장 건강에 좋은 식품 7가지

피임약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언제 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할까?

많은 사람이 만 35세부터는 피임약을 복용하는 것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것은 생활 습관에 달려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활동적으로 생활하고 흡연을 하지 않으며 균형 잡힌 식단을 따르는 만 35세 이상의 여성은 걱정 없이 약을 계속해서 복용할 수 있다.

하지만 흡연을 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따르지 않는 여성은 35세 정도에 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실제로 이러한 습관은 부작용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임신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피임약 복용을 중단한 뒤 여성의 신체가 배란을 하려면 평균적으로 약 2주가 소요된다. 따라서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고 신체가 다시 배란을 하면 임신을 시도해 볼 수 있다.

피임을 중단한 후 첫 번째 주기 동안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생리를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 읽어보기: 45세에도 자연 임신이 가능할까?

피임약은 임신 방지에 어떻게 작용할까?

앞서 언급했듯이, 피임약은 수정 과정을 막는다. 즉, 정자가 난자에 도달하여 수정하는 것을 막는다.

이를 위해, 피임약은 난소에서 자궁으로 난자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되면 정자는 수정 과정을 위한 난자를 찾지 못해 임신을 시작할 수 없게 된다.

피임약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피임약으로 성병을 예방할 수 있을까?

이는 명확히 해야 할 매우 중요한 질문이다. 피임약으로 성병을 막을 수는 없다. 임신 방지에만 효과가 있을 뿐 다른 것을 예방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성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여전히 중요하다. 또한 콘돔과 피임약을 함께 사용하면 임신 가능성이 더 낮아진다.

임신 중 피임약을 복용하는 것이 잘못된 걸까?

임신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면 약 복용을 중단하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생리를 하지 않아 임신 테스트기를 사용할 때까지 임신 사실을 모른 채 약을 복용한다.

호르몬 노출이 태아에게 문제가 된다는 증거는 많지 않지만, 임신 사실을 알게 되었다면 약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결론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약사, 의사 또는 산부인과 의사와 상담을 할 것을 권장한다. 마지막으로 피임약이 성병을 막는 것은 아니므로, 항상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Dhont, M., & Verhaeghe, V. (2013). Hormonal anticonception anno 2013: a clinician’s view. Facts, Views & Vision in ObGyn.
  • østergaard, E. (1969). Oral Anticonception: Side Effects and Risks.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https://doi.org/10.3109/00016346909156678
  • Herrera, S. T., Garza, E. A. G., Reyes, C. H., & Alvarado, D. A. (1992). GnRH-agonists in gynecology I. Ginecologia y Obstetricia de Mexico.
  • Hee, L., Kettner, L. O., & Vejtorp, M. (2013, February). Continuous use of oral contraceptives: An overview of effects and side-effects.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https://doi.org/10.1111/aogs.12036
  • Oesterheld, J. R., Cozza, K., & Sandson, N. B. (2008). Oral contraceptives. Psychosomatics49(2), 168–175. https://doi.org/10.1176/appi.psy.49.2.168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