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 X 증후군은 지적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유전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큰 어려움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유전성 지적 장애 질환 중에 가장 흔한 질환이다. 남성 4,000명 중 한 명, 여성 1,000명 중 한 명에게 출생 당시부터 발생한다.
여성과 남성 사이의 발병률이 다른 점은 유전 정보 때문이다. 여성에게는 X 염색체가 두 개 있는 반면, 남자는 X 염색체 하나와 Y 염색체 하나를 가진다. 그래서 여성에게는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지나갈 수도 있다.
여성의 X 염색체 중 하나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하나가 그 결함을 메꿀 수 있다. 그래서 여성들에게는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거나 증상이 없을 수도 있는 것이다.
취약 X 증후군은 FMR1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이상이 생기면 FMRP을 제대로 생성하지 못하거나 아예 생성하지 못한다. 그럴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한다.
- 지적 장애
- 공격성 또는 사회성 장애
- 언어 장애
취약 X 증후군은 치료할 수 없다. 진단을 받은 후에 재활 치료의 도움을 받을 수는 있지만, 완전한 회복은 어렵다.
취약 X 증후군의 증상
취약 X 증후군이 발병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문제는 주로 지능에 생기지만, 다른 증상들도 나타난다. 다음은 취약 X 증후군의 증상을 몇 가지 추린 것이다.
- 습득 능력 장애: 지적 장애는 심할 수도 경미할 수도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는데, 어린이들의 학교생활에 큰 영향을 끼친다. 언어 장애 역시 흔하게 나타난다.
- 말하기 발달 미숙: 주로 남성에게 발생하며 여성에게 발생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말을 더듬거나 발음을 완전하게 하지 못한다. 같은 나이의 다른 아이들에 비하여 언어 발달이 무척 늦는 경향을 보인다. 말을 못 하게 되지는 않지만, 완전한 언어 발달에 이르지 못하는 환자가 많다.
- 신체 변화: 취약 X 증후군을 의심할 만한 신체적 특징을 보이지 않는 신생아들도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청소년기에 이르면 신체적 특징이 확연해진다. 가령 큰 귀, 튀어나온 이마, 평발 등의 특징이 있다.
- 사회 적응 능력 장애: 취약 X 증후군이 있는 아이들은 불안해하고, 눈을 마주치기를 꺼리고 공격성을 내비칠 수도 있다. 여자아이들에게는 소극적인 성격이라는 특성으로 나타난다.
- 과민증: 감각 기관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흔하지 않지만, 사진 공포증이나 소음에 무척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를 키우는 일
취약 X 증후군의 다른 형태
취약 X 증후군이 늘 완전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FMR1 유전자 이상이 경미하거나 여성에게 발생했다면, 다른 X 염색체가 그 결함을 메꿀 수 있기 때문에 질환이 나타나는 형태가 달라진다. 다음은 취약 X 증후군의 다른 형태 두 가지이다.
- 원발성 난소 기능 장애: 영어 약자로는 ‘FXPOI’라고 불린다. 이 장애가 있는 여성은 불임이거나 40세 이전에 생리가 끊기는 조기 폐경을 겪는다. 임신했을 시에는 질환이 자식에게 유전될 위험이 크다.
- 취약 X 관련 떨림/운동실조 증후군: 영어 약자로는 ‘FXTAS’라고 불린다. 주로 신경계에 발생한다. 환자들은 심하게 몸을 떨고 걷기를 힘들어하며 균형을 잘 잡지 못한다. 감정 질환과도 연관 있다.

더 읽어보기: 신경변성 질환을 예방하는 7가지 팁
치료
앞서 말했듯, 취약 X 증후군은 치료할 수 없다. 유전자 변이로 생기는 질환이라서 태아에게 이미 유전자 변이가 생기고 나면 해결책이 없는 것이다. 아이가 자라는 동안에 증후군이 사라지지도 않는다.
재활 치료로 도움을 받을 수는 있다. 말하기 능력을 자극하여 학교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 행동 장애는 심리 치료를 통하여 사회성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접근한다.
취약 X 증후군이 있는 아이들에게는 조기 자극이 중요하다. 중요한 정도가 아니라, 의료 기관에서는 필히 실시하고 있는 의학적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적어도 3세까지는 자극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취약 X 증후군 환자와 가족들 모임이 전 세계에서 이 병을 알리고 대안을 찾는 데 노력하고 있다. 질환에 관하여 더 잘 아는 것이야말로 차별하지 않기 위한 첫걸음일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offee B, Keith K, Albizua I, Malone T, Mowrey J, Sherman SL, et al. Incidence of fragile X syndrome by newborn screening for methylated FMR1 DNA. Am J Hum Genet. 2009; 85 (4): 503-14.
- Artigas-Pallarés, J., C. Brun, and E. Gabau. “Aspectos médicos y neuropsicológicos del síndrome X frágil.” Rev Neurol 2.1 (2001): 42-54.
- López, Guillermo Glóver, and Encarna Guillén Navarro. “Síndrome X frágil.” Revista de neurología 42.1 (2006): 5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