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 이형 장애인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 원인과 치료법
늙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또한 영원히 젊고 아름다워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에 끊임없이 시달리는 것도 사실이다. 불완전하지만 자기 모습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사랑하는 사람도 있지만 일부는 변하는 자기 모습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외적 젊음에 집착하여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 증상을 보인다.
주요 심리학 및 정신 의학 진단 매뉴얼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은 전체 인구의 약 3%가 앓고 있다. 이 증후군은 신체 이미지에 대한 지나친 집착과 늙어가는 것을 강하게 거부하는 것이 특징이다. 보통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을 여성과 연관시키지만 남성 환자도 흔하다.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은 젊고 매력적인 외모를 유지해야 한다는 압박감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심리적 현상으로 2000년, 정신과 의사인 브로지그가 자신의 에세이인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에서 처음 설명했다.
주인공이 영원한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영혼을 판 오스카 와일드의 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에서 이름을 딴 증후군으로 허영심, 미성숙, 미적 추구의 틀 속에서 장애가 생긴다.
따라서 신체적 외모에 초점을 맞춘 사회문화적 기준으로 성장하는 후천성 장애로 자존감이 낮은 사람, 외모에 지나치게 신경 쓰는 사람이 취약하다.
주요 특징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을 이해하려면 세 가지 주요 측면을 살펴봐야 한다.
신체 인식 변화
이 증후군이 있으면 자기 외모와 이미지에 지나친 관심을 보인다. 추한 외모나 신체 기형을 두려워하며 자신이 생각하는 외적 단점을 고치려고 애쓴다.
오직 자신의 눈에만 극도로 불쾌하고 불균형하다고 보이는 신체 부위에 과도하게 집착하고 인식을 왜곡하는 신체 이형 장애 증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아름다움과 젊은 외모를 유지하기 위해 온갖 보조제와 치료법을 과도하게 사용하기도 한다.
- 모발 성장 회복제
- 발기 부전 치료제
- 항비만 약물 및 피부 개선이나 근육량 증가 등 기타 미용 목적을 위한 약물
- 미용 피부 시술
- 성형 수술
- 과도한 식단 관리와 운동
더 읽어보기: 노화를 촉진시키는 6가지 나쁜 습관
자기애적 성격
영원한 젊음과 매력적이고 완벽한 외모를 추구하는 나르시시즘 경향이 있다. 또한, 다양한 측면에서 타인보다 우월하다고 느끼거나 허영심이 많고 거만한 편이다. 즉, 쾌락주의와 과도한 자존감과 관련된 문제일 수 있다.
늙고 성숙해지기를 거부
세 번째 구성 요소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노화를 거부하는 것이다.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 환자는 늙어 보이는 것을 두려워하여 신체 노화 를 피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일을 한다.
그러면서 성숙하기를 꺼리며 계속 유치하고 나이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한다. 한마디로 성숙하게 여겨질 수 있는 어떠한 모습도 거부한다.
더 읽어보기: 피부 조기 노화를 예방하기 위한 6가지 습관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 치료법
자신의 신체적 이미지를 왜곡하고 비현실적일 만큼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외모에 관한 관심이 지대하면서 노화를 거부하는 도리언 그레이 증후군은 생각보다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도하고 무분별한 약물 사용과 미용 시술은 정신적 고통은 물론 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다. 사실, 노화를 피해 평생 완벽한 외모를 유지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로 인한 공허함과 좌절감은 지속적인 불안 장애, 자기 파괴적인 행동, 우울증 증상과 자살 위기를 유발하기 쉽다.
이 증후군이 의심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약리학적 옵션이 있지만 신체 왜곡, 낮은 자존감, 성숙에 대한 거부감은 집중적인 심리 치료부터 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rosig, B., Kupfer, J., Niemeier, V., & Gieler, U. (2001). The” Dorian Gray Syndrome”: psychodynamic need for hair growth restorers and other “fountains of youth.”.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39(7), 279-283.
- Osorno, D. A. (2006). El síndrome de Dorian Gray (DGS). Revista de la Asociación Colombiana de Gerontología y Geriatría, 20(4), 971-973. http://acgg.org.co/pdf/pdf_revista_06/20-4-articulo2.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