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뎅기열 바이러스 백신에 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의 4가지 변종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완전한 예방이 어렵다. 다행히 2015년부터 백신 사용이 승인되었다.

뎅기열 바이러스 모기

뎅기열 바이러스 백신의 발견은 의학에서 가장 큰 발전이다. 뎅기열 영향을 통제하는 방법에 관한 60년 이상의 연구 끝에 2015년에 최초의 인공 면역이 달성되었다.

뎅기열 바이러스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퍼진 감염이다. 매년 약 5천만 건의 인간 감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이에 따라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 및 남미에서 연간 약 25,000명이 사망한다.

뎅기열 백신은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큰 지역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 지역을 여행하는 사람들에게도 사용한다.

뎅기열 바이러스 감염이란?

뎅기열은 플라비바이러스 계통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 계열에는 4가지 종류가 있지만 모두 구조적 수준에서 서로 유사하다.

이 바이러스에 부여된 학명은 DEN-1, DEN-2, DEN-3 및 DEN-4이며 바이러스 매개체인 모기 물림을 통해 전염된다.

대부분 이집트 모기 종이 질환을 퍼뜨리며 또 다른 위험 종은 호랑이 모기다. 뎅기열 감염은 주로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및 아프리카에서 발생한다.

이 질병은 본질적으로 풍토병이며 전염병으로 주어진 장소에 있는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이 모기는 황열병 같은 다른 질병을 옮길 수 있다. 이것은 이러한 영역의 보건 사역에 대한 위험 증가와 심각한 공중 보건 상황을 나타낸다.

뎅기열 바이러스 백신
뎅기열은 감염된 모기에 물려 전염된다.

더 읽어보기: 모기에 관해 알아야 할 점 9가지

뎅기열 바이러스 감염 증상

뎅기열 바이러스 감염자 25%가 증상을 보인다.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을 동반한 전반적인 불쾌감이다. 근육과 뼈 통증 및 눈 주위에 심한 두통이 있을 수 있다.

그 외에도 메스꺼움, 구토, 점상출혈이나 혈종과 같은 피부 발진이나 작은 출혈이 일반적이며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감염된 사람 20명 중 약 1명이 심각한 뎅기열에 걸려 충격 상태에 빠진다는 것이다. 심한 출혈, 간부전과 같은 장기 부전 또는 호흡 곤란이 특징이다.

사망 위험이 매우 크므로 신속한 조처는 필수다. 또한 중증 뎅기열은 나이, 성별 또는 이전 상태와 관계없이 감염된 모든 사람에게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천연 모기 퇴치제인 바질

뎅기열 바이러스 백신이 중요한 이유

뎅기열 바이러스는 모기에 물려야만 전염되며 구강, 성 또는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지 않는다.

회복되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생긴다. 그러나 앞서 지적했듯이 4가지 다른 변종이 있으니 이 면역은 감염을 일으킨 특정 바이러스에만 적용된다.

그러므로 뎅기열 백신이 중요하다. 2015년, 12월에 승인된 예방접종은 4가지 다른 유형의 바이러스에 효과적이다.

뎅기열 바이러스 출혈

뎅기열 백신 구성

이 백신은 생 약독화 바이러스로 만들어지며 면역 체계를 자극하여 입자에 관해 활성화한다.

이 백신은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지역에서 권장되기 시작했다. 9세~ 45세는 총 3회 백신을 6개월, 12개월 간격으로 맞아야 한다.

하지만 뎅기열 백신 부작용과 장기적인 대응 능력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량 활용 가능성은 아직 연구 중이다. 질병이 유행하는 국가에 거주하고 있거나 여행을 갈 예정이라면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항상 가장 좋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Dengue y dengue grave. (n.d.). Retrieved July 2, 2020, from https://www.who.int/es/news-room/fact-sheets/detail/dengue-and-severe-dengue
  • Dos Santos, Taissa Pereira, et al. “Dengue serotype circulation in natural populations of Aedes aegypti.” Acta tropica 176 (2017): 140-143.
  • Kantor, Isabel N. “Dengue, zika, chikungunya y el desarrollo de vacunas.” Revista Medicina 78.1 (2018).
  • Hombach, J. (2007). Vaccines against dengue: A review of current candidate vaccines at advanced development stages. Revista Panamericana de Salud Publica/Pa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https://doi.org/10.1590/S1020-49892007000300011
  • Malagon, Jeadran N., Julio C. Padilla, and Diana P. Rojas Alvarez. “Guía de Atención Clínica Integral del paciente con Dengue.” Infectio 15.4 (2012).
  • Martínez Torres, E. (2008). Dengue. Estudos Avançados, 22(64), 33–52. https://doi.org/10.1590/S0103-40142008000300004
  • Brady, O. J., Gething, P. W., Bhatt, S., Messina, J. P., Brownstein, J. S., Hoen, A. G., … Hay, S. I. (2012). Refining the Global Spatial
  • Reyes-Cadena, Armando. “Dengue Vaccine.” Acta Pediátrica de México 41.2 (2020): 99-104.
  • Limits of Dengue Virus Transmission by Evidence-Based Consensus.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6(8). https://doi.org/10.1371/journal.pntd.0001760
  • Salles, Tiago Souza, et al. “History, epidemiology and diagnostics of dengue in the American and Brazilian contexts: a review.” Parasites & vectors 11.1 (2018): 264.
  • AK, Rama Krishna, S. Patil, and A. Kumar. “Dengue fever presenting with acute colitis.” Ind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Official Journal of the Indi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25.2 (2006): 97-98.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