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꺼풀이 착색되는 이유
눈꺼풀이 착색되는 데에는 알레르기 반응이나 대사 질환과 같은 다양한 원인이 있다. 이러한 착색 선은 색과 두께가 저마다 다른 경향이 있으므로, 여러 요인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눈꺼풀 착색은 호르몬 변화, 약물, 과도한 자외선 노출과 관련이 있다.
그렇다면 어떤 특징이 있을까? 또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자!
눈꺼풀 착색
눈꺼풀 착색은 수면 부족이나 다크서클과 관련이 없다. 그중 일부는 치료가 필요한 질병의 증상이다.
안검 황색종
안검 황색종은 지방질 침착물의 축적으로 인한 노란 종기 또는 종양이다. 안검 황색종은 일반적으로 눈꺼풀에 생기며, 약 50%의 환자에게 나타나는 혈장 지질 장애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근본적인 원인이 고지질 혈증이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합병증과 관련이 없으므로, 증상을 보이지 않는 양성 병변이다.
안검 황색종이 생기면 미관상 이유로 제거술을 받을 수 있다.
눈꺼풀이 착색되는 이유: 임신 중 호르몬 변화
임신 중 신체가 생성하는 호르몬 변화는 피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기미가 발생하여 얼굴, 목, 상체에 대칭적으로 갈색 점이 생길 수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위험 요인으로는 자외선(UV), 호르몬 변화, 갑상샘 질환, 피임약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눈꺼풀이 착색되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 국소 색소 침착 치료제
- 화학 박피술
- 레이저 요법
- 표면 미세 박피술
녹내장 치료를 위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라타노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와 같이 녹내장 치료에 사용되는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약 3~6개월간 사용하고 나면 눈꺼풀 색이 어두워질 수 있다.
<American Journal of Dermatology>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비마토프로스트 사용을 중단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크서클이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더 읽어보기: 개방각 녹내장은 무엇일까
피부 멜라닌 세포증
피부 멜라닌 세포증은 반점이 특징인 일련의 피부 병변을 의미하는 포괄적인 용어다. 피부 멜라닌 세포증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눈꺼풀에 잿빛 또는 푸르스름한 잿빛을 띠는 반점이 있다.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학술지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피부 멜라닌 세포증은 자외선 노출, 임신 중 호르몬 변화, 만성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이 있다.
눈꺼풀이 착색되는 이유: 백반증
백반증은 멜라닌 세포가 선택적으로 파괴되는 상태로, 피부에 백색 반점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치료가 복잡할 수 있다.
인도의학협회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백반증과 눈 질환에는 깊은 연관성이 있다. 백반증은 피메크롤리무스와 같은 면역 조절제로 치료할 수 있다.
염증 후 과색소 침착
알레르기로 인한 눈 염증과 만성 습진은 눈꺼풀의 과색소 침착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눈꺼풀을 계속 비비고 긁으면 알레르기로 인한 체액 축적으로 눈꺼풀 색이 어두워질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어린이의 다크서클을 걱정해야 할까
눈꺼풀이 착색되는 이유: 아밀로이드성 자색반병
아밀로이드증은 신체 기관에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발견되는 상태다. 이는 완치법이 없는 드문 질환이지만, 일부 치료법은 증상을 조절하고 아밀로이드 생성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주로 눈꺼풀과 같은 얼굴과 목에 나타나는 비외상성 보라색 반점은 아밀로이드증의 징후일 수 있으니, 병원에 방문하여 적절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주황색 안검 반점
주황색 안검 반점은 안검 황색종과 달리 윗눈꺼풀의 안쪽에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리포푸신이 침착하면서 착색이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눈꺼풀 착색이 눈에 거슬린다면 치료를 받아 보자
눈꺼풀 착색은 생각보다 흔히 발생하며, 대개 심각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하지만 착색 부위가 자꾸 신경 쓰인다면 치료를 받아 보자.
다행히 착색을 줄여 피부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크림과 미용 시술이 있으니, 피부과 전문의에게 문의해 보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Hori Y, Kawashima M, Oohara K, Kukita A. Acquired, bilateral nevus of Ota-like macules. J Am Acad Dermatol. 1984;10(6):961-964. doi:10.1016/s0190-9622(84)80313-8
- Sodhi PK, Verma L, Ratan SK. Increased periocular pigmentation with ocular hypotensive lipid use in African Americans. Am J Ophthalmol. 2004;137(4):783. doi:10.1016/j.ajo.2003.11.073
- Ing EB, Buncic JR, Weiser BA, de Nanassy J, Boxall L. Periorbital hyperpigmentation and erythema dyschromicum perstans. Can J Ophthalmol. 1992;27(7):353-355.
- Cho S, Lee SJ, Chung WS, Kang JM, Kim YK, Cho SB. Acquired bilateral nevus of Ota-like macules mimicking dark circles under the eyes. J Cosmet Laser Ther. 2010;12(3):143-144. doi:10.3109/14764172.2010.487912
- Lee HY, Jin US, Minn KW, Park YO. Outcomes of surgical management of xanthelasma palpebrarum. Arch Plast Surg. 2013;40(4):380-386. doi:10.5999/aps.2013.40.4.380
- Biswas G, Barbhuiya JN, Biswas MC, Islam MN, Dutta S. Clinical pattern of ocular manifestations in vitiligo. J Indian Med Assoc. 2003;101(8):478-480.
- Assouly P, Cavelier-Balloy B, Dupré T. Orange palpebral spots. Dermatology. 2008;216(2):166-170. doi:10.1159/00011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