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은 갈색에서 녹색, 검은 색 등 색깔이 다 다르다. 하지만 흰 변을 봤다면 정상 상태가 아니다. 즉시 어떤 조치를 취해야하는 상황이다. 대변 색은 장과 소화기계의 건강 상태를 말해준다. 대변 색이 달라졌다면 감염되었거나 질병에 걸린 것일 수 있다.
창백하거나 흰 변
변이 희거나 창백하면 담즙계(췌장, 간 또는 담낭)에 문제가 있다는 뜻으로 보아야 한다. 변이 갈색인 것은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산염 때문이다.
대변 색이 희다면 간이 감염되어 담즙 생성 속도가 느려지거나 담관이 막힌 것 때문일 수 있다. 소화기가 지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변 색깔이 밝고(노란색이나 회색) 기름이 많은 상태를 “대장염“이라고 말한다.
살다보면 어떤 문제를 겪을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런 문제는 때때로 심각하지 않을 수도 있고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일 수도 있다. 변 색깔 뿐만 아니라 냄새나 질감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변비 완화를 위해 파인애플 활용하는 법
흰 변이 생기는 원인
흰 변을 봤다면, 그 원인은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1. 약
특정한 약물 복용으로 인해 대변 색깔이 변할 수 있다.
결핵과 같은 감염이나 설사 등의 장 문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항생제로 인해 대변 색이 달라질 수 있다. 항염증제 및 경구 피임약으로 인해 흰 변을 볼 수도 있다. 단백동화 스테로이드는 감염을 야기시키고 감염으로 인해 흰 변을 보게되는 것이다.
이런 증상은 약물을 끊으면, 약물을 끊고 보통 몇 주 이내 사라진다.
2. 간염
간에 염증이 생긴 상태가 간염이다. 그리고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어 A, B, C형 간염이 될 수 있다. C형 간염은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치료하지 않으면 정말 위험해질 수 있다.
간염의 증상 중 하나가 간 기능 장애로 인해 흰 변이나 창백한 색깔의 변을 보는 것이다.
3. 알콜성 간염
알콜성 간염은 술을 과하게 많이 마신 것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 질병이다. 술을 얼마나 많이 마셨는지에 따라 나타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달라진다. 이 질병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만성 피로, 부기, 간 뇌증, 황달 등이다.
그리고 알콜성 간염이나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인해 간경화가 생길 수도 있다.
4. 담즙성 간경변증
담즙성 간경변증은 만성적인 질병으로 결코 돌이킬 수 없는 간 질환이다. 간 세포가 파괴되었을때 발생한다.
간장의 담관에 염증을 유발하고, 이 기관을 자극한다. 담즙 흐름이 멈추면 간 세포가 손상된다. 간 경변은 그 결과로 발생하는 흉터로 볼 수 있다.
간경변의 여러 가지 증상 중 하나가 대변 색이 흰 색으로 변하는 것이다.
5. 암
어떤 종류의 암으로 인해 변 색깔이 창백해지거나 희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때 만성 피로가 동반된다.
췌장암, 담즙 종양 및 기타 암은 담관을 막아버린다. 췌장의 효소가 부족해지면서 변 색깔이 밝은 노란색이나 연 황토색으로 변한다.
음식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하고 영양분이 제대로 흡수되지 못해 만성 피로가 생긴다. 영양실조로 이어질 수도 있다.
6. 담석
담석은 쓸개에 있는 노폐물이 단단해진 것으로 담석이 있으면 담즙이 제대로 순환되지 못하게 된다.
이 담석은 콜레스테롤이나 빌리루빈이 단단해진 것일 수도 있다. 담석 크기가 커지면 담관을 막아버린다. 이렇게 되면 변 색깔이 창백해진다. 약을 먹어도 치료되지 않으면 담석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아야만 한다.
7. 원발 경화 쓸개관염
원발 경화 쓸개관염은 담관에 염증이 생겼거나 흉터 조직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이 질병이 생기면 담즙 흐름이 감소되고 색깔도 결핍된다.
이 질병은 약이나 수술로 치료한다.
흰 변의 진단과 치료
흰 변을 봤다면 바로 병원에 가서 제대로 진단받고, 빨리 치료해야 한다. 심각한 증상이기 때문이다. 다음의 검사를 통해 제대로 진단받을 수 있다.
- 구체적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혈액 검사
- 신체 내부 이미지를 보기 위한 CT 검사
- 담즙 시스템을 상세하게 보기 위한 특수 유형의 MRI 인 내시경 역행 담췌관 조영술 (ERCP)
- 모든 장기가 제대로 위치해있는지 보기위한 복부 초음파
- 간 기능 검사
- 담관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보기 위한 수술
흰 변을 보게된 원인을 치료하고나면 다시 원래 색깔의 변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원인을 치료하지 못하면 평생 흰 변을 보게될 수도 있다.
어린이의 흰 변- 원인과 치료
아이들의 배변 습관을 알아두어야 한다. 아이들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우유나 몸에 맞지 않은 음식 때문에 종종 흰 변을 보거나 설사할 수 있다.
흰 변을 보게 되는 이유와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 그 방법을 알아두는 게 좋다.
더 읽어보기: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진정시키는 5가지 차
아이들이 흰 변을 보는 원인
- 아이들이 먹는 음식의 질, 양과 종류
- 차가운 음식 섭취
- 장을 손상시키는 기생충 때문에 음식이 잘 흡수되지 않는 문제
- 간이 제대로 담즙 생성을 하지 못해 발생하는 간염
아이들이 흰 변이나 창백한 색깔의 변을 볼 때 치료
제일 먼저 병원에 가봐야 한다. 의사가 대변 검사를 할 것이다. 탈수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물을 많이 마시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물과 무기염을 필요로 한다. 가끔은 세균으로 인해 흰 변을 보게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항생제로 치료해야한다.
아무런 처방전 없이 아이에게 페라미드가 함유된 설사 방지약을 먹여서는 절대 안 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Almanza-Hurtado, A. J., Rodríguez-Yánez, T., Martínez-Ávila, M. C., Rodríguez-Blanco, J. D., & Imbeth-Acosta, P. L. (2021). Colangitis esclerosante primaria. Hepatología, 2(2), 325-340. https://revistahepatologia.org/index.php/hepa/article/view/38
- Artavia, A. L. E., León, M. V., & Webb, K. W. (2019). Colestasis intrahepática del embarazo. Revista Medica Sinergia, 4(6), 14-23. http://revistamedicasinergia.com/index.php/rms/article/view/196
- Carvajal, B. F. V., Iles, J. M. V., Pereira, M. G. R., & Rodriguez, L. J. V. (2021). Enfermedad de Caroli: revisión sistemática de la literatura. Revista colombiana de Gastroenterología, 36(2), 180-190. https://www.revistagastrocol.com/index.php/rcg/article/view/612
- García, D. S., Carbonell, M. J., Gracia, P. S., García, E. M., Juste, C. S., & Padilla, B. R. (2023). Fototerapia como tratamiento a la ictericia neonatal. Revista Sanitaria de Investigación, 4(1), 9.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8806627
- Miño Bernal, J., López Morales, E., Jazmín Sandíno, N., & Molano Franco, D. (2022). Cirrosis hepática o falla hepática crónica agudizada: definición y clasificación. Repertorio de Medicina y Cirugía, 31(2). https://openurl.ebsco.com/EPDB%3Agcd%3A12%3A2388108/detailv2?sid=ebsco%3Aplink%3Ascholar&id=ebsco%3Agcd%3A158237419&crl=c
- Paucar, A. T., Alvarado, A. T., & Coronel, G. M. (2022). Ictericia Neonatal a Nivel de América Latina. FACSalud UNEMI, 6(10), 76-84.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8920209
- Seoane, L. M., Salvador, J. O., Alba, A. B., & Fentes, D. P. (2024). Innovaciones tecnológicas en la litotricia de ondas de choque. Actas Urológicas Españolas, 48(1), 105-110.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210480623001419
- Varela, C. Á., Cardona, J. L., de la Villa, J. V., & Guerrero, A. (2024). Colangiocarcinoma. Medicine-Programa de Formación Médica Continuada Acreditado, 14(9), 496-505.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454122400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