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 교환은 설사의 모든 상황에 흔히 있는 치료법이다. 의사들은 구강 또는 정맥 주사를 통해 치료제를 투여한다.
또한 유산균의 사용은 좋은 생각이다. 전염성 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줌을 주는 장에 좋은 박테리아의 양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엄격하고 가벼운 식사와 함께 급성 설사증상의 치료의 주계열이다.
반면 로페라미드 등 설사를 예방하는 약물은 대변을 줄이고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이 약들은 운동성을 감소시키고 장 운동을 느리게 한다. 그것들은 또한 장내 분비물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마지막으로 항생제 처방에는 논란이 많다. 급성 전염성 설사의 경우는 대부분 결국 경미하고 자연치유되기 때문에 이런 약은 필요치 않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Organización Mundial de la Salud. Diarrea. https://www.who.int/topics/diarrhoea/es/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Síntomas y causas de la diarrea.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informacion-de-la-salud/enfermedades-digestivas/diarrea/sintomas-causas
Fernando Fernández Bañares, María Esteve ComasServicio de Aparato Digestivo. Hospital Mutua TerrassaTerrassa (Barcelona). Diarrea crónica. https://www.aegastro.es/sites/default/files/archivos/ayudas-practicas/07_Diarrea_cronica.pdf
Organización Mundial de la Salud. Enfermedades diarreicas. https://www.who.int/es/news-room/fact-sheets/detail/diarrhoeal-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