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경우, 설사는 각 개인의 통상적인 패턴에서 벗어나 갑자기 변을 배출하게 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 글에서 우리는 만성 그리고 급성 설사, 두 가지 설사 유형을 살펴볼 것이다. 두 가지 설사의 원인과 치료 방법은 상당히 다르다.
급성 설사는 가장 흔하고 지속 기간이 2주도 채 되지 않는다. 반면 만성 설사는 14일 이상 지속되며 다양한 원인이 있다.
만성 설사
만성 설사는 모두에서 흔한 문제다. 이미 알고 있겠지만, 이 병은 장 흐름에 큰 변화가 발생한 것이다. 증상은 변의 부피, 배변 빈도 또는 일관성의 감소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장 건강과 갑상선의 관계
만성 설사의 원인
더급성 설사와는 달리, 만성 설사는 항상 불편하고 몸에 해롭다. 일반적으로 장의 수분 움직임의 변화가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단 1%의 물 감소는 이러한 유형의 설사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만성 설사는 전염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또한 면역 결핍증 환자들의 만성 증상이나 감염을 일으키는 기생충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만성 설사는 특정 질병의 징후를 보인다. 일부는 다음과 같다.
만성 설사의 치료
만성 설사 치료는 원인의 치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만약 설사가 복강병으로 인한 것이라면, 환자는 글루텐이 없는 식단을 따라야 한다. 전염성 장염일 경우에는 항생제를 투여해야 할 것이다.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상황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설사 치료법을 적용한다.
- 진단을 받을 때까지 초기 치료 또는 임시 치료
- 몇 가지 진단 테스트가 명확한 진단을 받지 못할 때
- 정확한 진단이 있지만 구체적이거나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경우
더 읽어보기: 소아 변비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급성 설사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급성 설사는 24시간 동안 3회 이상 액체나 반액질 배설물을 내보내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아이들의 경우, 이 상태는 식별하기 더 어렵다. 특히 유아는 하루에 여러 번의 설사를 할 수 도 있는데, 실제로는 문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급성 전염성 설사는 장의 염증이나 기능 장애를 포함하며 미생물이나 그 독소가 보통의 원인이다.
일반적으로 급성 설사는 14일 이하로 지속된다. 그러나 하루에 3번 이상 배변을 한다. 이러한 배변은 전형적으로 정상보다 일관성이 떨어지고 구역질, 구토, 복통, 발열과 같은 다른 증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급성 전염성 설사는 대부분의 개발 도상국에서 사망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주요 원인이다. 그것은 주로 탈수의 결과로 아이들에게서 발생한다.
그러나 만성 설사와는 달리 급성 설사는 몸 자체의 방어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설사는 그 자체가 해로운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 목적은 감염을 “치료”하기 때문이다.
급성 설사의 원인
급성 설사의 주된 원인은 감염이다. 사람들은 보통 배설물-구두 경로를 통과하는 오염된 음식이나 물 때문에 감염된다.
이런 경우들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유되기 때문에 따로 치료가 필요없다. 전염성 설사를 일으키는 주요 미생물은 환자의 연령과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다.
가장 흔한 것들 중에는 아래가 있다.
급성 설사의 치료
치료의 기본 목표는 탈수를 예방하거나 교정하고 증상을 개선하며 감염을 조절하는 것이다.
유체 교환은 설사의 모든 상황에 흔히 있는 치료법이다. 의사들은 구강 또는 정맥 주사를 통해 치료제를 투여한다.
또한 유산균의 사용은 좋은 생각이다. 전염성 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줌을 주는 장에 좋은 박테리아의 양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엄격하고 가벼운 식사와 함께 급성 설사증상의 치료의 주계열이다.
반면 로페라미드 등 설사를 예방하는 약물은 대변을 줄이고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이 약들은 운동성을 감소시키고 장 운동을 느리게 한다. 그것들은 또한 장내 분비물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마지막으로 항생제 처방에는 논란이 많다. 급성 전염성 설사의 경우는 대부분 결국 경미하고 자연치유되기 때문에 이런 약은 필요치 않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Fernando Fernández Bañares, María Esteve Comas. Diarrea crónica. Servicio de Aparato Digestivo. Hospital Mutua Terrassa, Terrassa (Barcelona). Disponible en línea: https://docplayer.es/3686447-Diarrea-cronica-introduccion-definicion-diarrea-cronica-malabsorcion-sintomas-gastrointestinales-frecuentes.html
- Riechmann, E., Barrio, J., & López, M. J. (2009). Diarrea aguda. https://doi.org/10.1002/14651858
- Liliana Caldas Arias. (2010). Enfermedad diarreica aguda. Revista de Salud. https://doi.org/10.4067/S0716-10182014000500010
- Spoto, S. (2003). Diarrea cronica. Clinica Terapeutica. https://doi.org/10.1378/chest.128.3.1310
- Organización Mundial de la Salud. Diarrea. https://www.who.int/topics/diarrhoea/es/
-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Síntomas y causas de la diarrea.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informacion-de-la-salud/enfermedades-digestivas/diarrea/sintomas-causas
- Fernando Fernández Bañares, María Esteve ComasServicio de Aparato Digestivo. Hospital Mutua TerrassaTerrassa (Barcelona). Diarrea crónica. https://www.aegastro.es/sites/default/files/archivos/ayudas-practicas/07_Diarrea_cronica.pdf
- Organización Mundial de la Salud. Enfermedades diarreicas. https://www.who.int/es/news-room/fact-sheets/detail/diarrhoeal-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