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 심장병의 특징
선천성 심장병은 신생아의 약 1%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아기의 심장이 발달함에 따라 임신 중에 발생한다. 이미 알고 있겠지만, ‘선천성’이라는 단어는 이러한 병이 이미 태어났을 때부터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선천성 심장병의 특징을 소개한다.
통계에 따르면 선천성 심장병은 가장 일반적인 선천적 장애이다. 과학의 발전 덕분에, 현재는 선천성 심장병을 앓고 있는 성인의 수가 이 질환을 갖고 태어난 아기보다 더 많다.
즉, 선천성 심장병으로 죽는 사람보다 살아남은 사람이 더 많다. 물론 성인이 된 환자들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선천성 심장병이란?
선천성 심장병이 하나의 질환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는 많은 변형이 있다. 이는 실제로 심장에 구조적 변화가 있는 공통적 특징을 가진 질병군이다.
이러한 변화는 배아기 동안의 장기 형성 실패로 인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태아의 심장은 난소의 수정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지만, 임신 8주가 지나야 발달이 완료된다.
일반적으로 심장이 형성되려면 일련의 연속적인 단계가 충족되어야 한다. 대체로 선천성 심장병은 이러한 단계 중 일부가 적시에 완료되지 않아 발생하며, 그 결과 비정상적인 심장을 갖게 된다.
더 읽어보기: 임신 중에 울면 태아에게 영향을 줄까?
선천성 심장병의 원인
대부분의 경우 선천성 심장병의 특정한 원인을 밝히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보건기구(WHO)는 다음과 같은 일부 요인이 이러한 병리를 앓게 될 위험을 높인다고 지적한다.
- 유전적 요인: 가족력은 선천성 심장병이 발생할 위험을 높인다. 또한 선천성 심장병은 일반적으로 다운 증후군, 디조지 증후군 등과 같은 염색체 또는 유전 증후군의 일부이다.
- 감염: 산모가 매독이나 풍진과 같은 감염을 앓게 되면 배아에 기형이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
- 영양 상태: 이는 산모가 과체중이거나 비타민 A가 과도하게 있거나 요오드 또는 엽산이 부족한 경우에 해당된다. 또한 산모가 비정상적인 태아 발달의 가능성을 높이는 당뇨병과 같은 질환을 앓고 있을 수도 있다.
- 환경적 요인: 특정 화학 물질에 노출되거나 음주 또는 흡연을 하거나 일부 약물을 복용하면 선천성 심장병의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선천성 심장병의 증상과 유형
심장병의 증상은 분만 직후 또는 몇 개월 후에 나타난다. 신생아의 주된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음식을 먹는 데 어려움을 겪음
- 빠른 호흡
- 자줏빛 또는 푸르스름한 입술색
- 성장 부진
선천성 심장병의 각기 다른 유형은 3가지 그룹으로 나뉜다.
- 폐를 통한 과도한 혈류로 인한 문제. 이러한 유형의 병리에서는 폐의 압력과 노력이 증가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포함된다.
- 지속적인 동맥관
- 관절간 또는 심실간 소통
- 심방 심실관
- 폐를 통한 부실한 혈액 순환 문제. 이로 인해 신체는 충분한 산소를 얻지 못한다. 따라서 입술색이 자줏빛 또는 푸르스름하게 변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 삼첨판 폐쇄
- 폐동맥판 폐쇄
- 대혈관 자리 바뀜증
- 팔로의 네 징후
- 양대혈관 우심실 기심증
- 동맥간
- 신체의 부실한 혈류로 인한 문제. 기형화된 심장 구멍 또는 혈관 막힘은 체내에 혈액이 통과하는 것을 막는다. 여기에는 대동맥 협착과 대동맥판 협착이 포함된다.
더 읽어보기: 건강한 심장을 위한 중요한 음식 8가지
기타 정보
선천성 심장병을 예방하려면 임산부는 정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받아야 한다. 또한 주치의가 승인한 약물만 사용해야 하며 해로운 화학 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임산부가 당뇨병을 앓고 있다면 혈당치를 다스려야 한다. 하지만 아무리 스스로 관리한다고 해도, 때로는 선천성 심장병을 예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유전적 요인이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선천성 심장병은 중증도가 다양하다. 이는 모두 기형의 특성과 심각성에 달려 있다. 때로는 아기가 태어나자마자 병리를 해결해야 하며, 또 다른 경우에는 아이가 자라는 동안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Granado, F. M., & de Cardiología Pediátrica, S. (2008). Epidemiología de las cardiopatías congénitas. Servicio de Cardiología Pediátrica, Hospital Infantil Universitario La Paz, Madrid.[Consultado el 10 de junio de 2013]. Disponible en www.secardioped/protocolos.es
- Friesen, R. H. (2010). Cardiopatía congénita. In Anestesia. Secretos. https://doi.org/10.1016/b978-84-8174-941-0.50061-6
- Born, D. (2009). 8. Cardiopatia congênita. Arquivos Brasileiros de Cardiologia. https://doi.org/10.1590/s0066-782×200900130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