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급성 감염성 관절염의 특징과 치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급성 감염성 관절염은 섬유 관절낭의 내부를 감싸고 보호하는 얇은 막인 활막이 부어오르는 질환이다. 신체는 특수 물질인 활액을 생성하는데, 이는 부상을 줄일 수 있는 일종의 관절 윤활제다.
마찬가지로 관절염은 진행 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질병의 원인을 치료한 후에도 문제가 사라지지 않고 평생 남아 있다면 만성 관절염이다. 한편 치료 후 문제가 사라진다면 급성 관절염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양쪽에 있는 같은 관절에 대칭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뼈 또는 연골 등과 같은 주변의 다른 내부 구조에 마모를 초래할 수 있다.
급성 감염성 관절염의 증상
통증은 급성 감염성 관절염의 주된 증상 중 하나다.
급성 감염성 관절염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일련의 관련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그중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전반적인 피로감
- 식욕 감퇴
- 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발열
- 간헐적인 오한
- 관절에서 느껴지는 심한 통증이나 불편함
- 해당 부위에 생긴 염증 또는 부종 및 평소보다 붉어진 피부
- 특히 아침에 입이 건조해지는 증상 또는 눈 충혈
- 아침에 더 심해지는 관절의 저린감
더 읽어보기: 관절 통증의 7가지 이유
화농성 관절염의 원인
화농성 관절염을 일으키는 감염원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직접적인 문제의 경우 병원균이 관절에 존재하며, 간접적인 문제라면 해로운 미생물이 특정 부위를 감염시킨 뒤 이러한 구조로 이동한다.
어느 쪽이든 환자의 면역계가 많은 백혈구를 생성하고 해당 부위로 전달하여 감염에 대처할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이 관절 염증의 일반적인 원인이다. 질병을 일으키는 감염원의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임균, 연쇄상 구균, 포도상 구균으로 인한 세균성 관절염. 일반적으로 감염성 관절염이 여기에 속한다.
- 바이러스성 관절염은 파보바이러스 B19, 풍진, B형 또는 C형 간염과 같은 특정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 드물지만 기생충이나 균 감염으로 인해 관절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세계 간염의 날: 간염은 예방할 수 있다
급성 감염성 관절염의 진단
일반적으로 의료진은 급성 감염성 관절염을 확인하고자 일련의 의료 절차를 통해 특징이 비슷한 다른 질병을 배제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 전문가가 환자의 증상을 확인하는 검사.
- 환자의 병력 검토.
- 병원균을 확인하거나 배제하는 실험실 테스트를 위해 소량의 활액을 검사하는 활액 검사.
- 혈액 검사 또는 소변 검사와 같은 일반적인 검사.
급성 감염성 관절염 치료
진단을 받으려면 신속한 진찰이 필요하다.
치료의 목표는 문제를 유발하는 감염을 제거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의사는 세균으로 인한 감염성 관절염에 항생제를 처방한다.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나 통증과 불편함을 완화하는 진통제를 처방할 수 있다.
- 문제가 생긴 관절을 고정하거나 부목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 관절의 힘과 운동 범위를 회복하고자 물리 치료를 권할 수도 있다.
보다시피, 이러한 치료법은 함께 효과를 발휘하여 환자의 차도를 개선할 수 있다.
끝으로 감염성 관절염 환자는 조기 진단과 시기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증상이 있다면 지체 없이 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García P, Irribarra L, Ramírez V, Cervilla V, De La Barra R, Montiel F, et al. (2000). Rendimiento del estudio microbiológico en el diagnóstico de la infección osteoarticular. Revista chilena de infectología, 17(2), 101-108.
-
Matos T, Fernández S, Gómez, M, Sebastián M, Martínez, F, Lozano J. (2011). Osteomielitis y artritis séptica. In Sociedad Española de Infectología Pediátrica (eds). Protocolos de infectología (pp. 205-220). Ergon Madrid.
-
Saavedra-Lozano J, Calvo C, Carol R, Rodrigo C, Núñez E, Obando I, et al. (2015). Documento de consenso SEIP-SERPE-SEOP sobre el tratamiento de la osteomielitis aguda y artritis séptica no complicadas. In Anales de Pediatría (Vol. 82, No. 4, pp. 273-e1). Elsevier Doy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