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쑥은 신맛이 나는 약초로 소화, 항염증 및 토닝 성분 등 건강에 좋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맛 보다는 건강에 좋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 글에서 약쑥의 놀라운 건강 효능에 대해 알아보자.
약쑥이란?
약쑥은 라틴어로 Artemisia absinthium라는 약초이다. ‘에바산타’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래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 온화한 곳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이 식물로 압생트라는 독주를 만드는 곳이 있기 때문에 이 식물에 익숙한 나라도 많다. 압생트는 원래 스위스에서 처음 만들어 졌는데, 19세기 말 프랑스 예술가들의 인기를 얻었다.
약쑥은 데이지군에 속하며 고대부터 의약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실제로 벨라돈나 중독은 약쑥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더 읽어보기: 숙면을 도와주는 천연 음료 6가지
약쑥의 건강 효능
소화
약쑥은 소화에 관해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 우선 여러 종류의 문제를 해결한다. 통증, 헛배부름, 설사 및 구토에는 효과적이지만 난소 탈장 치료나 속쓰림에는 적합하지 않다.
- 소화 세정제 역할을 한다. 식욕을 자극하고, 위액 분비를 증가시킨다. 식욕이 없거나 소화가 잘 안되는 사람들에게 좋다. 요양을 하는 동안에 마시기도 좋다.
간
간 기능이 약해지면 피로해지고 지방 대사가 어려워지며 시력 문제나 탈모, 조기에 눈가 잔주름이 생길 수 있다.
- 쑥은 간 및 담낭 기능을 자극한다.
- 일반적으로 볼도나 아티초크 같은 약초는 간 기능을 자극한다고 알려져 있다.
정화 효과
약쑥은 몸을 해독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혈액을 정화하고, 체내 독성 물질을 제거해준다.
따라서 3-6 개월에 한 번씩은 약쑥 차를 한 잔씩 마시는 게 좋다.
장 기생충
약쑥은 벌레나 기생충을 제거해준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 속에 기생충이 있지만, 기생충이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사는 사람들이 많다.
- 이런 이유로 적어도 일년에 한 번은 약쑥으로 몸을 청소해주는 게 좋다. 집에서 애완 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특히 더 그렇다.
최음제
이 약초는 남성 및 여성의 성욕을 증가시키는 최음제 효과가 있다.
생리 문제
약쑥은 생리 기간이 불규칙적이고, 다른 생리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도 좋다. 약쑥은 생리 주기를 조절하고, 무월경인 경우 생리를 시작하게 해준다.
더 읽어보기: 불규칙한 생리 주기의 일반적인 특징
통증
약쑥을 국부적으로 사용하면 복통, 관절통, 치통 완화에 도움이 된다.
약쑥 섭취법
약쑥은 차로 만들어 마시는 게 가장 효과적이며 저렴한 방법이다. 준비하는 데 시간도 많이 걸리지 않는다.
- 통증이 일회성으로 있는 거라면, 하루 중에 약쑥 차를 두 잔 마신다.
- 만성 통증이거나 해독의 목적으로 마실 때에는 1주일간 매일 두 잔씩 마신다. 1주일 마신 후, 1주일 쉬었다가 다시 6일 동안 마신다.
이렇게 하면 간 기능을 촉진하고, 장내 기생충을 제거할 수 있다.
- 국부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수건에 약쑥 차를 적셔 복부 위나 통증이 있는 부위에 올려둔다. 아이들이 아플 때 이렇게 해주면 좋다.
쑥은 절대 끓이면 안 된다. 뜨거운 물에 넣어 우려야 한다.
주의 사항
- 약초는 너무 많이 섭취하거나 아무런 지식 없이 섭취하면 몸에 해로울 수 있다. 따라서 의사나 한의사에게 먼저 조언을 구한 후 섭취하는 게 좋다.
- 임신부와 위궤양 환자들은 쑥을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
- 위에서 언급했듯이, 쑥은 너무 많이 복용하지 않아야 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Lachenmeier, D. W. (2010). Wormwood (Artemisia absinthium L.)-A curious plant with both neurotoxic and neuroprotective properti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https://doi.org/10.1016/j.jep.2010.05.062
- Krishna, S., Bustamante, L., Haynes, R. K., & Staines, H. M. (2008). Artemisinins: their growing importance in medicine.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https://doi.org/10.1016/j.tips.2008.07.004
- Patocka, J., & Plucar, B. (2003).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absinthe. Journal of Applied Biomedicine.
- Alvarez, L., & Quispe, A. (2010). Efecto Antiparasitario de la Infusion de Ajenjo (Artemisia absinthium L.) en Niños de Edad Escolar. Uceb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