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농증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

축농증이 생기면 아프고, 숨쉬는게 불편해지는 등 여러 가지 불편이 야기된다. 하지만 축농증은 완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이며, 특히 조기에 발견했을 때는 더욱 그렇다.

축농증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

축농증은 부비강에 염증이 생긴 상태이다. 부비강은 공기가 코뼈 사이를 통과하는 아주 좁고 작은 구멍이다. 축농증이 생기면 몇 가지 증상이 동반된다. 오늘은 축농증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까지 축농증의 모든 것을 자세히 살펴보자.

부비강은 전두엽, 사골동, 상악동, 이렇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모든 것이 정상일 때에는 공기가 이 구멍을 통해 자유롭게 흘러 들어가고 나온다.

하지만 염증이 생기면 호흡이 어려워지고 통증 등 다른 증상도 동반된다.

부비강 상태가 건강하며 박테리아나 다른 미생물이 없다면 콧물이 쉽게 코 밖으로 흐를 수 있다. 콧물이 너무 많이 쌓여있거나 부비강 입구가 막히면 미생물이 번식한다. 결국 축농증이 되는 것이다. 

축농증의 원인

여러 가지 이유로 콧물이 너무 많거나 부비강 입구가 막히면 축농증 증상이 생긴다.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알레르기와 감기 (콧물이 많이 생김)
  • 코에 뼈가 비정상적으로 돌출됨 
  • 비중격 만곡증
  • 비강 용종이 생김
  • 콧물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 섬모(비강 입구의 털)의 상태
축농증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

축농증의 원인 혹은 가벼운 증상을 더욱 악화하는 요인들이 있다. 축농증의 원인 중 대부분은 낭포성 섬유증, 꽃가루 알레르기, 알레르기성 비염, 면역 체계가 약해진 것, 편도가 붓는 것, 흡연이다.

축농증 증상과 유형

축농증이 얼마나 오래 계속되었는지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 급성: 4주 이하
  • 아급성 : 4주 이상 12주 이하
  • 만성 : 12주 이상
  • 재발 : 일 년에 여러 번 재발하는 경우

축농증은 유형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있다.

  • 냄새를 맡지 못하거나 입냄새가 남
  • 밤에 더 심해지는 기침 
  • 만성피로
  • 통증
  • 두통
  • 코 주변의 압력
  • 귀 뒤쪽의 통증
  • 치통
  • 얼굴 민감성
  • 코 막힘
  • 콧물
  • 목 통증

급성 축농증의 경우, 감기에 걸린 지 약 1주일이 지났을 때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만성 축농증의 경우도 비슷하다. 하지만 좀 더 증상이 약하고 더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축농증의 진단

보통 코 검사로 축농증을 진단한다. 의사가 빛을 비춰 폴립이나 염증이 있는지 볼 것이다. 그리고 압력을 가해 통증이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통증이 있는지 아닌지로 축농증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것이다. 

축농증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 다음 중 하나, 혹은 몇 가지 검사를 추가로 할 것이다. 비경 검사, CT, MRI. X-ray만으로는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

세포 검사, 면역 시스템 상태를 보기 위한 혈액 검사, 알레르기 검사, 낭포성 섬유증 검사 등 추가로 다른 검사를 할 수도 있다.

축농증의 예후 및 합병증

축농증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게다가 제대로 치료하고, 잘 관리하면 완전히 치료할 수 있다. 반면, 계속 재발한다면 제대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뜻이다.

축농증으로 인해 합병증이 생기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합병증이 생기면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가장 많이 생기는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 만성 축농증으로 인한 천식
  • 눈에 염증이 생겨 시력에 문제가 생기고 실명이 될 위험
  • 어혈이나 동맥 경화. 축농증은 부비동 주위의 정맥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결국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뇌졸중 발생 가능
  • 뇌 주변이나 뇌 가까이 염증 발생

또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골수염 혹은 눈 주변 피부 감염이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떤 합병증이든 최대한 빨리 치료해야 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Brook, I. (2011). Microbiology of Sinusiti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https://doi.org/10.1513/pats.201006-038RN
  • Kaur R, Adlowitz DG, Casey JR, Zeng M, Pichichero ME. Simultaneous assay for four
    bacterial species including Alloiococcus otitidis using multiplex-PCR in children with
    culture negative acute otitis media. Pediatr Infect Dis J 2010; 29:741–5
  • Meltzer EO, Hamilos DL, Hadley JA, Lanza DC, Marple BF, Nicklas RA, et al. Rhinosinusitis: developing guidance for clinical trials. J Allergy Clin Immunol. 2006; 118 (5 Suppl): S17-61.
  • Jacobs MR, Felmingham D, Appelbaum PC, et al. The Alexander Project 1998- 2010: susceptibility of pathogens isolated from 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tract infection to commonly used antimicrobial
    agents. J Antimicrob Chemother. 2013; 52: 229-46.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