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치료 중 하나인 치내요법에 관해 들어본 적 있는지? 근관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가? 근관 치료 혹은 치내요법은 충치가 너무 심해 의사가 더 이상 치료할 수 없어졌을 때의 치료 방법이다. 충치가 신경 및 치수 가까이 까지 이미 생긴 상태라 긁어내고 떼울 수 없는 것이다.
충치가 너무 깊게 생기면 치아 조각의 괴사 및 신경 염증이 생긴다. 이 상태를 치수염이라고 부른다.
치수는 치아의 신경이다. 가장 안 쪽에 있으며 치아를 혈관화하고, 신경 자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어떤 이유로든 이 부분에 손상이 생기면 통증이 생기는데 통증은 지속되기도 하고, 잠깐 생겼다가 사라지기도 한다.
보통 뭔가를 씹을 때와 차가운 것이나 뜨거운 것을 먹을 때 불편이 심해지는 게 특징이다. 이를 “가역성 치수염” 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통증이 너무 오랫동안 지속되거나 계속되거나 밤에 통증이 더 심해지는 증상은 “비가역성 치수염”이라고 부른다.
치내요법은 치아 외상, 골절, 찰과상, 치아 침식, 이갈이 등이 있을 때에도 적용한다.
치내요법 이전의 기초 치료
근관을 손대기 전에 의사는 보다 덜 자극적인 방법으로 먼저 다음과 같은 치료를 시작한다.
- 펄프 보호: 일시적으로 봉을 박는 것과 비슷한 치료이다. 손상된 펄프를 치료하면서 손상된 부분이 회복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 펄프 코팅: 떼운 것 아래에 충치가 생겼을 때, 그것을 긁어내다가 노출된 펄프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치과 의사는 약용 절연물을 사용할 것이다.
- 치수 절단법: 이 치료는 펄프 표면을 부분적으로 제거해 노출된 부분을 약물로 덮는 방법이다.
더 읽어보기: 충치를 예방하는 순수 천연 요법
근관 절차

문제가 생긴 신경을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이다. 치과 의사는 마취를 한 후, 이 치료를 한다. 손으로 직접 돌리기도 하고 자동으로 돌아가는 치료 기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치료 방법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 치료할 부분을 마취한다.
- 펄프에 도달할 때까지 그 조각을 연다.
- 덕트에서 신경을 제거하고 소독한다.
- 덕트에 레진이나 플라스틱을 채운다.
- 엑스레이로 치료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한다.
- 치아를 다시 만든다.
어린이 치과 진료
의사는 근관을 수행하기 전에 항상 치수 절제술을 먼저 수행한다. 이 치료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치수절단술”이라는 치료를 한다. 치내요법과 동일하지만 환자의 치아가 유치일 때 하는 치료 방법이다.
치수절단술은 펄프를 완전히 제거한 후 소독하고, 치료한 후 근관을 충전하는 방법이다.
환자가 아기인 경우에는 덕트의 모든 펄프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끝에서 약 4 mm 정로를 남겨 두어야 한다. 이렇게 해야 치아 아래에 다시 생길 영구 치아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치통 완화에 좋은 5가지 자연 요법
치내요법의 부작용
다른 방법의 치료와 마찬가지로 이 치료에도 부작용이 따른다.
- 치아 골절 위험이 커지고 치아가 약해질 수 있다.
- 치아 색깔 및 투명도에 변화가 생긴다.
- 뿌리 끝 부분에 사라지지 않는 염증과 비슷한 반투명의 흉터가 생길때도 있다.
치료 후

근관을 한 후에는 통증이 사라져야 한다. 신경을 제거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통 수술 후 2~3일 정도는 불편함이 지속된다.
치내요법으로 치료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입아니 치아, 감염 상태 등 치료를 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가 그렇다. 이런 경우에는 다른 방법으로 치료해야 한다. 덕트의 충전물을 제거하고 소독한 다음 다시 채운다. 이렇게 하면 치아 조각을 추출하지 않아도 된다.
정리하자면 치내요법 치료는 치아가 많이 손상된 경우에도 할 수 있는 치료로 정말 효과적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Abbott PV. Endodontics – Current and future. J Conserv Dent. 2012;15(3):202–205. doi:10.4103/0972-0707.97935
- Tabassum S, Khan FR. Failure of endodontic treatment: The usual suspects. Eur J Dent. 2016;10(1):144–147. doi:10.4103/1305-7456.175682
- Kishen A, Peters OA, Zehnder M, Diogenes AR, Nair MK. Advances in endodontics: Potential applications in clinical practice. J Conserv Dent. 2016;19(3):199–206. doi:10.4103/0972-0707.181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