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자궁선근증의 증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자궁선근증은 자궁벽이 두꺼워지는 질병이다. 이 질병이 있으면 통증, 출혈, 심한 경련 등이 생긴다. 자궁 내막 조직이 정상 위치를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질환이다.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조직으로 인해 자궁 크기가 커지며, 자궁벽이 두꺼워지며 악화된다. 생리 기간 동안 출혈이 심하게 나기도 한다.
자궁선근증은 35세에서 50세 사이의 여성 중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양성 장애이다. 그리고 이 질환은 문제가 되는 조직의 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 자궁선근증이 전체적으로 퍼져있는 경우: 자궁선근증이 자궁 전체나 자궁의 대부분에 퍼진 상태다.
- 자궁선근증이 한쪽 부위에 제한적으로 있는 경우: 선근종이라고도 부르며, 자궁 근육내부에 자궁 내막 조직이 들어가 두 가지 조직이 같이 증식하는 상태다.
자궁선근증의 원인
자궁선근증이 생기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몇몇의 연구는 자궁선근증 원인은 다음과 같다고 설명한다.
- 자궁이나 부인과 수술 병력, 임신, 제왕절개로 인한 자궁 외상
- 침습성 조직 성장: 의사는 자궁 내막의 자궁 내막 세포가 자궁벽을 형성하는 근육쪽으로 직접 침범한 결과라고 여김
- 선천적인 이유: 태아일 때 자궁이 처음 형성되는 과정에서 자궁 내막 조직에서 생성됨
- 줄기 세포 기원: 최근 연구는 골수 줄기 세포가 자궁 근육을 침범해서 자궁선근증이 생긴다고 설명함
하지만 자궁선근증이 생긴 원인에 상관없이 여성의 에스트로겐 수준에 따라 자궁선근증이 성장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자궁선근증의 증상
자궁선근증이 있는 여성 중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1/3 정도이다. 나머지는 주로 생리양이 많고 경련이 심하게 나타난다.
성관계를 가진 후에 출혈이 생기는 것도 자궁선근증 증상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보기 : 임신 중 질 출혈의 원인 및 대처 방안
그리고 그 외에 자궁선근증이 있을 때 나타나는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골반 통증
- 심한 경련
- 심한 출혈로 인한 빈혈(자궁선근증의 합병증이다).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빈혈이 생길 수 있다. 빈혈이 생기면 피곤해지는 등 다른 건강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불임 문제
생명을 위협할만큼 위험한 질병은 아니지만 통증과 출혈은 일상 생활을 불편하게 만든다. 그래서 이 질병이 있는 여성들은 출혈이나 통증때문에 예전에는 즐겁게 했던 활동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자궁선근증의 진단
자궁은 초음파나 자기 공명 화상법을 통해 시각화할 수 있다. 초음파가 가장 효과적이고 간편하다. 초음파로 의사는 자궁 안에 이상한게 생긴 것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자기 공명 화상법, MRI는 화상도가 더 높다. 특히 선종과 자궁 섬유양을 더 세밀하게 볼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자궁이 커지지 않았고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여성은 자궁 절제술을 받아야지만 확실하게 진단할 수 있다.
치료
자궁선근증 치료는 자궁을 들어내는 수술이나 자궁 절제술을 받는게 가장 효과적이다. 40~45세 이후에는 증상이 악화 되다가 폐경 이후에는 증상이 사라지기 때문에 서둘러 치료를 받으려고 할 필요가 없다.
경련을 완화하는 항염증제나 생리 중에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피임약을 복용하면 증상이 쉽게 완화된다.
더 읽어보기: 외음부 통증에 대해 알아야 할 정보
하지만 나이가 젊어 폐경이 될 때까지 시간이 많이 남았거나 더 이상 출산할 계획이 없는 경우에는 증상 완화나 치료를 위해서 수술하는 것을 고려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Blanco, I., & Barberà, J. A. (2008). Diagnóstico y tratamiento. Gastroenterologia y Hepatologia Continuada. https://doi.org/10.1016/S1578-1550(08)73022-5
- Brun, J.-L., Botolahy, Z. A., Benjoar, M., Marty, M., & Bazot, M. (2014). Diagnóstico de la adenomiosis. EMC – Ginecología-Obstetricia. https://doi.org/10.1016/S1283-081X(14)69283-3
- Britton, R. M. (2006). Adenomiosis: Diagnóstico y Tratamiento. Rev Med Panamá.
- Gunther, R., & Walker, C. (2021). Adenomyosis. StatPearls.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9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