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약물

아바카비르: HIV 치료 및 부작용

모든 의약품과 마찬가지로, 아바카비르 또한 복용 시 알아 두어야 할 일련의 부작용이 있다. 알레르기 반응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가능한 한 빨리 의사와 상담을 해야 한다.

아바카비르(abacavir 또는 ABC)는 생후 3개월 이상의 아이와 성인의 에이즈 및 HIV 치료에 사용되는 처방약이다. 또한 이 약물은 항상 HIV 감염 치료를 위해 고안된 다른 약물과 함께 투여된다. 아바카비르는 HIV 및 에이즈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처방약이며 역전사 효소 억제제, 뉴클레오시드 유사체 군에 속한다.

이 약물은 역전사 효소로 불리는 에이즈를 초래하는 바이러스의 효소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단백질인 이 효소를 차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약물은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아 체내의 바이러스 농도를 줄일 수 있다.

HIV 및 에이즈 약물은 병을 치유하는 약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각 환자에게 적절한 조합의 약물을 매일 복용하는 것은 HIV에 감염된 사람들이 더 오랫동안 살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따라서 HIV 치료 요법은 환자의 상태가 급성에서 만성으로 바뀌는 데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질병을 치유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매일 약을 복용하면 다른 사람에게 HIV 및 에이즈가 전염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더 읽어보기: 꼭 알아두어야 할 성병 11가지

 HIV와 에이즈는 무엇일까?

아바카비르: HIV 치료 및 부작용

아바카비르의 작용 원리를 이해하려면 HIV 감염 또는 에이즈 치료에 사용되는 몇 가지 기본 사항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HIV와 에이즈라는 용어를 혼동한다. 하지만 이들의 차이점을 아는 것이 필수적이다.

  • HIV 또는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는 증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여부와 관계없이 인체에 존재할 수 있는 미생물이다. 이 바이러스는 면역계를 공격하여 약화시킨다. 그 결과 신체는 감염이나 다른 질병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점차적으로 잃게 된다.
  • 에이즈 또는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은 사람이 수년간 HIV에 감염되었을 때 발생한다.

오늘날 초기에 이 감염 진단을 받아 아바카비르와 같은 HIV 약물을 복용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길고 충만한 삶을 살 수 있다.

에이즈는 어떻게 전염될까?

대체로 혈액이나 감염된 체액이 다른 사람의 몸 안에 들어갈 때 HIV가 전염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콘돔을 사용하지 않은 성행위 또는 성관계 중 차단식 피임법 실패
  • 약물을 주입하거나 문신을 받기 위해 바늘을 함께 사용하는 행위
  • 임신, 분만 또는 모유 수유 중 산모에서 아기로 전이

아바카비르 약물로 인한 부작용

아바카비르: HIV 치료 및 부작용

모든 의약품과 마찬가지로, 아바카비르 또한 복용 시 알아 두어야 할 일련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대체로 다음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증상 중 하나라도 나타난다면 즉시 의사와 상담을 하고 아바카비르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 발열
  • 발진
  • 메스꺼움 및 구토
  • 설사 및 복통
  • 전반적으로 으스스한 느낌
  • 호흡 곤란
  • 기침 및 인후통

아바카비르에 의한 젖산 산증

위에서 언급한 부작용 외에도, 아바카비르는 혈액에 젖산이 축적되는 젖산 산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질환이 수반할 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통증 및 근력 저하
  • 사지의 냉증 및 저림
  • 호흡 곤란
  • 복통, 메스꺼움 및 구토
  • 빠른 심장 박동
  • 현기증
  • 신체 쇠약 및 피로

간 문제

아바카비어, HIV 치료와 부작용에 관하여

이러한 항바이러스성 약물은 간에 심각한 일련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아바카비르 복용 중에 다음과 같은 증상을 경험한다면 의사와 상담을 해야 한다.

  • 위 상반부에서 느껴지는 통증
  • 가려움증
  • 식욕 부진
  • 어두운색의 소변
  • 흙빛의 대변
  • 황달: 누르스름한 점막 및 피부색

더 읽어보기: 대변 색이 알려주는 문제

아바카비르의 기타 부작용

위에서 언급한 부작용 외에도, 아바카비르는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여기에는 면역계의 변화 또는 심장마비 및 심근 경색의 발병 위험 증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면역계의 이러한 특정한 변화는 면역 재구성 염증 증후군 또는 IRIS로 알려져 있다. IRIS는 아바카비르와 같은 HIV 약물 치료를 받은 뒤 면역계가 회복되기 시작할 때 때때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면역계가 강화되면서 감염에 더 격하게 반응하고 맞서 싸워 일련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결론

아바카비르는 HIV 감염 치료에 권장되는 약물이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이나 다른 항바이러스성 약물이 HIV 환자를 완전히 치유하지는 못한다.

HIV 또는 에이즈가 급성 질환이 되어 즉각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대신 관리할 수 있는 만성 질환으로 되게끔 하는 것이 이러한 약물이 하는 일이다. 결과적으로 아바카비르는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며 수명을 상당히 늘릴 수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ameron, P. U., & Trubiano, J. A. (2017). Abacavir. In Kucers the Use of Antibiotics: A Clinical Review of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parasitic, and Antiviral Drugs, Seventh Edition. https://doi.org/10.1201/9781315152110
  • Hughes, C. A., Foisy, M. M., Dewhurst, N., Higgins, N., Robinson, L., Kelly, D. V., & Lechelt, K. E. (2008). Abacavir hypersensitivity reaction: An update. Annals of Pharmacotherapy. https://doi.org/10.1345/aph.1K522
  • Lundgren, J. D. (2008). Use of 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an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in HIV-infected patients. AIDS. https://doi.org/10.1097/QAD.0b013e32830fe35e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