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산 역류를 예방하는 8가지 팁

위산 역류를 막기 위해서는 위를 압박하지 않는 느슨한 옷을 입어야 한다. 너무 타이트한 옷을 입으면 위에 압력이 더 가해질 수밖에 없다.

위산 역류를 예방하는 8가지 팁

이 글에서는 위산 역류를 예방하는 8가지 팁을 공유한다. 위산이 식도와 입으로 올라오는 증상을 외산 역류라고 한다. 상복부에 쓰린 느낌이 드는 게 특징이다. 이런 느낌이 들면서 가슴에 통증이 생기고, 속이 쓰리며 뭔가를 삼키기 어려워진다.

음식과 액체가 위장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근육질의 밸브인 식도 괄약근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거나 약해졌을 때 이 증상이 생긴다. 

물론 심각한 질병은 아니지만, 산발적으로 이 증상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합병증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리 예방하는 게 좋다. 

지금부터 위산 역류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팁을 소개해보려고 한다. 잘 읽고 기억해두자!

위산 역류를 예방하는 8가지 팁

1. 자극적인 음식 먹지 않기

자극적인 음식 먹지 않기

나쁜 음식을 먹는 습관은 위산 역류가 생기는 주원인이다. 이런 음식을 너무 많이 먹거나 궁합이 안 좋은 음식을 같이 먹으면 속이 쓰리고 위에 자극이 생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품을 먹는 양은 제한하는 게 좋다.

  • 가공육
  • 정제 밀가루
  • 과자 및 파이
  • 향신료
  • 통조림 음식
  • 나트륨 함량이 높은 식품

더 읽어보기: 가공식품을 피해야 하는 8가지 이유

2. 다이어트하기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사람들에게 위산 역류가 더 자주 생기는 경향이 있다. 체중이 많이 나가면 위에 압력이 가해져 위산이 다시 식도로 역류하게 된다. 위산이 식도로 다시 올라간다는 뜻이다. 

  • 건강 체중을 유지해야 소화에 도움이 되고 위산 역류가 생길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금연하기

금연하기

담배를 피우는데 위와 식도에 산이 과도하게 생기는 증상을 조절하고자 한다면, 담배를 끊어야 한다. 담배의 독소는 위산을 감소시켜 속 쓰림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타액 생성을 감소시킨다.

담배를 피우면 입과 인후가 건조해져 위산 역류가 있을 때 더 심각한 문제가 생길 위험도 있다.

4. 편안한 옷 입기

많은 사람이 크게 신경 쓰지 않긴 하지만 타이트한 옷을 입는 것도 위산 역류가 생기는 원인이다. 꽉 끼는 청바지, 벨트, 스커트는 복부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식사 후에 위액이 빠져나가게 된다. 

  • 느슨한 옷을 입도록 하고, 식사 후에는 잠시 단추를 풀고 있으면 위산 역류가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5. 바른 자세 유지하기

바른 자세 유지하기

식사할 때의 자세는 식사 후 소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음식이 입에서 위로 잘 내려갈 수 있다.

그리고 중력이 위산이 원래 있어야 할 위치에 있도록 도와준다. 

  • 식사 후에 눕거나 바르지 않은 자세로 있으면 복부가 수축하고 위산이 위에서 빠져나가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6. 차 마시기

여러 가지 천연 재료에 함유된 소화 성분과 항산화 성분은 위산 역류가 생기는 것을 예방하고, 위산 역류로 인한 증상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다.

pH 상태를 조절해주고 식도 괄약근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차로 만들어 마시면 좋은 재료는 다음과 같다.

  • 민트
  • 카르다몬
  • 회향
  • 시나몬
  • 생강
  • 레몬
  • 겨자씨
  • 아마 씨

더 읽어보기: 민트의 건강상 효능

7. 스트레스받지 않기

스트레스받지 않기

많은 사람이 간과하긴 하지만 사실 스트레스를 자주 받아도 위산 역류가 생길 수 있다.

스트레스와 위산 역류가 무슨 상관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사실 스트레스와 위산 역류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스트레스를 받으면 소화관에서 일어나는 신체적인 과정에 변화를 주는 신경 반응으로 인해 소화가 잘 안 될 수 있다.
  • 위산이 더 많이 분비되는 것과 관련된 호르몬인 아드레날린 같은 각정제의 분비가 증가한다. 

8. 술 많이 마시지 않기

술을 너무 많이 마시면 위 벽에 자극이 생길 수 있고 위산 역류 등의 불편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술의 독성 물질은 소화가 잘 안 된다. 그리고 이 독성분은 위산이 입안으로 올라오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하는 밸브가 잘 기능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복부와 이 쓰린가? 이런 증상이 있다면, 이 글에서 소개한 팁을 따라 해보자.

증상이 지속하거나 별 이유가 없는데도 이런 증상이 생긴다면, 다른 심각한 문제가 있는 건 아닌지 병원에 가서 제대로 진단받아 보도록 하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Sethi S, Richter JE. Diet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role in pathogenesis and management. Curr Opin Gastroenterol. 2017 Mar;33(2):107-111. doi: 10.1097/MOG.0000000000000337. PMID: 28146448.
  • Richter JE, Rubenstein JH. Presentation and Epidemiology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astroenterology. 2018 Jan;154(2):267-276. doi: 10.1053/j.gastro.2017.07.045. Epub 2017 Aug 3. PMID: 28780072; PMCID: PMC5797499.
  • Ness-Jensen E, Lagergren J. Tobacco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2017 Oct;31(5):501-508. doi: 10.1016/j.bpg.2017.09.004. Epub 2017 Sep 7. PMID: 29195669.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