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이 있다는 것은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에게 좋은 소식일 것이다. 그리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몸매를 관리하는 것이 필수다. 노력을 별로 하지 않고도 날씬한 몸매를 갖고 있는 운 좋은 사람들도 많지만, 운동은 항상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유산소 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다.
많은 사람들이 운동이란 헬스장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살을 빼는 유일한 방법이며, 너무나도 싫지만 우리에게 마지막으로 남은 선택권이라 믿는다.
집에서 할 수 있는 6가지 유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은 모든 과다 지방을 연소시키는 운동을 의미한다. 게다가 이런 운동은 심장 및 폐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아주 좋으며, 몸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어떤 운동을 하든 부상을 피하기 위해 먼저 근육과 관절의 워밍업을 해주는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줄넘기
줄넘기를 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자신의 키에 맞는 줄넘기 줄을 찾는 것이다. 그 다음은 줄넘기를 하면 된다!
아주 쉬운 운동이지만, 균형 감각, 힘, 조정력, 그리고 물론 저항력도 필요로 한다.
유산소 운동은 빠르게 할수록 효과가 더 좋다.
- 줄넘기를 할 때는 점프를 아주 빨리 해야 하며 팔이 완전히 균형 잡힌 상태로 움직여야 한다.
- 매일 20분간 줄넘기를 하면, 많은 살을 뺄 수 있고 동시에 근육도 탄탄하게 만든다.
추천 글: 다이어트에 도움이 안 되는 5가지 운동
2. 계단 오르기
계단 오르내리기는 아주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운동이다. 필요한 것은 오직 엄청난 의지력과 몸매를 가꾸려는 열망이다!
- 계단은 빠르게 오르락 내리락 하면 된다.
- 등은 항상 곧은 상태로 유지해야 하고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하자!
- 이 운동을 3분 연속으로 하고 휴식을 취한 다음 물을 약간 마셔라.
3. 버피
버피(Burpee)는 엄청난 노력을 필요로 하는 운동이지만 사실 아주 간단하다. 집 안에서 할 수도 있으며 아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초시계를 켠 다음, 아주 빠르게 최대한 많이 반복을 하려고 노력하라.
- 등은 곧게 편 상태로 시작한다. 그 다음에는 손바닥을 바닥에 완전히 편 상태로 몸을 숙인다.
- 몸을 펴고 팔로 푸시업을 한 다음, 무릎을 가슴 쪽으로 빠르게 당긴다.
- 한번에 뛰면서 빠르게 일어난다.
버피는 멈추지 않고 아주 빠르게 해야 효과가 있는 운동이다. 최소 10회를 반복하고 다음부터 횟수를 조금씩 늘려라.
4. 무릎 점프
무릎 점프는 아주 좋은 유산소 운동이다.
- 무릎 점프를 하려면 등을 곧게 펴고 발은 어깨 넓이로 벌린 상태로 서야 한다.
- 준비가 되면 점프를 하면서 무릎을 가슴에 닿도록 한다.
- 가능한 한 높게, 천천히 10회를 반복하고, 1분간 휴식을 취한 다음 다시 반복한다.
추천 글: 신진대사를 활성화하는 6가지 운동
5. 팔 벌려 높이 뛰기
- 팔 벌려 높이 뛰기를 위해서는 평평한 바닥에 선 다음 등을 곧게 편다.
- 그 다음 팔을 벌려 뛴다.
- 속도, 민첩성, 조정력을 필요로 한다.
- 최소한 20회 반복한다.
6. 회전하기
회전하기는 등을 곧게 펴고 서야 한다. 가볍게 점프를 한 후 바닥에서 몇 cm가량 떨어진 상태로,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집에서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이다.
- 복부 근육은 항상 힘을 준 상태로, 등은 완전히 곧게 편 상태로 유지한다.
- 이 운동은 멈추지 않고 3분간 해야 한다. 그 다음에는 휴식을 취하고 물을 약간 마신다.
이렇게 집에서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은 아주 간단하다. 건강에 도움이 될 운동을 하기 위해 매일 조금씩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 운동을 할 때 수분 보충이 중요하므로, 항상 물 한 병을 옆에 두고 운동을 하는 것을 기억하라.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Ficarra, S., Thomas, E., Pillitteri, G., Migliore, D., Gómez-López, M., Palma, A., & Bianco, A. (2022). Changes in quality of life, strength and heart rate variability after 4-weeks of supervised online burpees training during the covid-19 quarantine in healthy young adults: A pilot study. Kinesiology (Zagreb, Croatia), 54(1), 116–125. https://doi.org/10.26582/k.54.1.13
- Guerra, Jaime. Cada movimiento cuenta para mejorar la salud – dice la OMS. (n.d.). Who.int. Retrieved November 24, 2022, from https://www.who.int/es/news/item/25-11-2020-every-move-counts-towards-better-health-says-who
- Mónaco, Mauricio et al. (2005). Consenso sobre factores de riesgo de enfermedad cardiovascular en pediatría: Sedentarismo. Archivos argentinos de pediatría, 103(5), 450-463. Recuperado en 24 de noviembre de 2022, de http://www.scielo.org.ar/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325-00752005000500013&lng=es&tl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