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버섯은 나이 또는 과도한 햇빛 노출로 인해 피부에 나타나는 작은 반점이다. 이 글에서는 검버섯에 가장 좋은 5가지 가정 요법을 소개한다.
나이 반점이라고도 하는 검버섯은 피부 노화에 대한 멜라닌의 자연적인 반응이다. 일반적으로는 40대가 되면서 팔, 손, 다리 및 얼굴과 같은 부위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작은 크기가 커지지 않는다면 심각한 문제로 보지 않아도 된다.
다행히 정화 크림과 같은 화학 제품이나 가정 요법으로도 치료를 할 수 있다. 검버섯에 가장 좋은 5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검버섯에 좋은 강황
강황은 피부 톤을 균일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브라이트닝 효과가 있는 제품 중 하나이다. 검버섯의 경우, 피부가 늘 부드럽고 균일한 색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매우 유용한 재료이다.
재료
- 강황 가루 1숟갈 (20 g)
- 우유 1/2컵 (125 ml)
방법
- 먼저 덩어리가 사라지고 균일한 반죽이 될 때까지 두 재료를 잘 섞어 준다.
-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모든 부위에 완성된 팩을 도포한다.
- 밤에 사용한 뒤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룻밤 동안 그대로 두고 햇빛 노출을 피할 것을 권장한다.
더 읽어보기: 블랙헤드를 제거하는 젤라틴 우유 팩
2. 양파
양파는 모든 레시피에 풍미를 선사하기 위해 꼭 들어가는 식품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피부를 밝게 만드는 효능도 갖고 있다. 이는 양파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비타민 C 함량 덕분이다. 이로 인해 양파는 모든 피부 유형에 효과가 있는 강력한 천연 브라이트닝 제품이다.
재료
- 양파 1/2개
방법
- 양파를 반으로 자른 뒤 색소 침착이 있는 부위에 둥글게 문지르면서 도포한다.
- 따로 씻어낼 필요는 없다.
- 하루에 두 번씩, 아침과 저녁에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3. 알로에베라
알로에베라의 놀라운 특성이 모든 피부 문제에 유용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함유된 성분으로 인해, 이 식물은 검버섯으로 인한 갈색빛의 피부를 투명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재료
- 알로에 베라 줄기 1개
방법
- 조심스럽게 알로에베라의 젤을 추출한다.
- 과도한 요오드를 제거하여 젤의 가장 순수한 부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물로 충분히 씻어 낸다.
- 덩어리가 있는 상태의 반죽이 될 때까지 갈아준 다음 개선이 필요한 부위에 도포한다.
- 1시간 동안 기다린 뒤 물로 충분히 헹궈 낸다.
- 하루에 두 번씩, 아침과 저녁에 반복해서 사용한다.
4. 오이
오이 또한 미백 및 정화 성분을 갖고 있는 채소이다. 더 좋은 결과를 위해 가급적이면 밤에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재료
- 오이 1/2개
방법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첫 번째 방법은 오이를 피부에 직접적으로 문지르기만 하면 된다. 손과 피부에 사용하면 좋은 방법이다.
- 이 경우, 40분간 기다렸다가 미온수로 헹궈 낸다.
다 읽어보기: 매일 오이를 먹어야 하는 7가지 훌륭한 이유
두 번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라야 한다.
- 균일하고 뻑뻑한 반죽이 완성될 때까지 오이 1/2개를 갈아 준다.
- 검버섯이 있는 부위에 완성된 팩을 올린다.
- 20분간 그대로 둔다.
- 차가운 물로 충분히 씻어 낸다.
5. 레몬, 사과식초
이 요법은 나이로 인한 검버섯을 빠르게 없애는 데 훌륭한 효과를 갖고 있다. 레몬즙과 사과식초를 함께 사용하면 짧은 시간 내로 분명한 차이점을 느낄 수 있다.
재료
- 레몬 1개의 즙
- 사과식초 1숟갈 (15 ml)
방법
- 레몬의 즙을 내고 사과 사이다 한 숟갈과 함께 섞은 뒤 반점이 있는 부위에 도포한다.
- 하루에 두 번씩, 아침과 저녁에 반복해서 사용한다.
검버섯은 조기에 치료하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글에서 소개한 방법을 따르고, 꾸준하게 실시하며, 검버섯이 피부에 해롭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Dermatología geriátrica. Rev. Fac. Med. (Méx.) [Internet]. 2014 Dic [citado 2018 Dic 06] ; 57( 6 ): 48-56. Disponible en: http://www.scielo.org.mx/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026-17422014000600048&lng=es.
- Fiume, M. M., Bergfeld, W. F., Belsito, D. V., Hill, R. A., Klaassen, C. D., Liebler, D. C., … Alan Andersen, F. (2014). Safety Assessment of Cucumis sativus (Cucumber)-Derived Ingredients as Used in Cosme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33(2_suppl), 47S-64S. https://doi.org/10.1177/1091581814526892
- G. Cardinali, D. Kovacs, M. Picardo, Mechanisms underlying 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lessons from solar lentigo, Annales de Dermatologie et de Vénéréologie, Volume 139, Supplement 4, 2012, Pages S148-S152, ISSN 0151-9638,
https://doi.org/10.1016/S0151-9638(12)70127-8.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51963812701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