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뢰는 혀에 있는 감각 수용체로 특정 음식에 노출되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부은 미뢰 발생 원인을 설명한다.
미뢰는 신경 신호를 뇌로 보내는 수용체 세포로 구성된다. 미뢰 덕분에 단맛, 짠맛, 신맛, 쓴맛과 감칠맛을 구별할 수 있다.
미뢰에 염증이 생기면 크기가 작아지고 희끄무레해지며 약간의 접촉에도 아플 수 있다. 미뢰를 자극하는 원인이 궁금하다면 이번 글을 읽어보자.
부은 미뢰
이 상태는 설유두염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혀 표면에 붉으스름하거나 희끄무레한 작은 융기를 생성한다. 위치에 따라 영향을 받는 미뢰가 달라진다. 고블릿형, 곰팡이형, 사상형 및 잎형 등 다양한 유형이 매우 특정한 방식으로 분포되기 때문이다.
1. 과잉 자극
맵거나 짠 음식을 먹은 후에 더 자주 발생한다. 과다 자극은 이러한 유형의 음식에서 발견되는 물질이 미뢰에 자극제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차가운 액체나 아이스크림을 먹으면 염증을 상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알아보기: 혀가 하얗게 되었을 때 치료하는 자연 요법
2. 혀의 독소
술이나 담배 연기와 같은 독소에 혀를 자주 노출하면 미뢰에 자극과 염증이 생긴다. 독소는 이러한 구조를 구성하는 세포가 지방과 체액을 모두 유지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독소의 잔류물이 혀에 남는다. 보통 아침에 혀가 희끄무레해진 것처럼 보이는데 일종의 신체 거부 반응이다. 이를 예방하려면 술과 담배를 자제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3. 스트레스
잘 알다시피 스트레스는 미뢰를 포함하여 많은 신체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서적 스트레스는 종종 호르몬 장애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중 하나가 입안의 작은 궤양인 아프타성 궤양이다. 또 다른 가능한 결과는 면역 체계의 기능 장애로 인한 미뢰 염증이다.
이에 따라 혀와 신체의 다른 부위가 많은 양의 박테리아를 흡수하여 미뢰를 부풀게 만들며 사라지는 데 훨씬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정서적 스트레스는 이완 기술을 연습하는 것 외에도 심리학자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4. 부은 미뢰 발생 원인: 트라우마
혀의 외상은 일반적으로 치과 시술 중 우발적인 물림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그 결과, 혀가 즉시 팽창하여 치유하는 데 오래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외상은 혀 조직을 변경한다. 이 기관은 근육의 집합체이며 다른 근육과 마찬가지로 손상될 수 있다.
미뢰가 부은 경우에는 해당 부위에 글리세린을 바르는 것이 좋다. 부상이 심각하거나 통증이 지속되면 즉시 진찰받고 전문가의 조처를 따른다.
5. 구강 칸디다증
구강 칸디다증뿐만 아니라 혀의 다른 진균 감염은 미뢰 염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경우 가능한 한 빨리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하자.
더 알아보기: 혓바닥 닦기가 중요한 이유
6. 부은 미뢰 발생 원인: 화상
혀 화상은 빈번한 유형의 사고다. 예를 들어, 매우 뜨거운 커피나 음식을 먹을 때 발생한다.
더 심각한 화상은 미뢰를 손상할 수 있으며 미뢰 기능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유하는 데 생각보다 오래 걸리므로 의사의 지시를 따르고 집에서 조심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상을 입었다면 차가운 액체를 마신다. 이 간단한 조처는 통증을 완화하고 화상이 퍼지는 것을 방지한다. 섭취한 액체의 낮은 온도는 미뢰의 신경 섬유가 더 빨리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고 다시 먹고 싶은 모든 음식을 즐길 수 있다.
7. 면역 억제
모든 면역 억제 상태는 혀의 피부를 포함하여 감염 및 염증이 더 빈번히 생긴다. HIV/AIDS 환자, 조절되지 않는 진성 당뇨병 환자, 노인 또는 유아, 이식 수혜자, 어떤 이유로든 만성적으로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 사람들이 포함된다.
요컨대 미뢰 염증은 빈번하고 불편한 상황이지만 해결책이 있다. 적합한 지침을 따른다면 곧 음식의 모든 맛을 다시 즐길 수 있고 구강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Beidler, L.M. (ed.) (1971). Handbook of Sensory Physiology, IV. Chemical Senses 2: Taste. New York: Springer.
- Mann, M.D. (2013). “Gustatory and Olfactory Senses” (Chap. 10), in The Nervous System In Action. London: Oxford UP, pp. 101-111.
- Yamaguchi, S. (1998). “Propiedades básicas de umami y sus efectos en el sabor de los alimentos”, Críticas internacionales de alimentos 14 (2&3): 139-176.
- Brigham and Woman´s Health. Candidiasis oral. Disponible en: https://www.brighamandwomens.org/assets/BWH/surgery/oral-medicine-and-dentistry/pdfs/candidiasis-oral-spanish-bwh.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