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질환

부정맥에 대해 몰랐던 사실

부정맥은 상당히 흔하다. 오늘은 놀라울 수 있는 몇 가지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부정맥에 대해 몰랐던 사실

부정맥은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서 이미 우리는 부정맥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공유했다. 하지만 아직도 제대로 부정맥에 대해 몰랐던 몇 가지 측면이 있다.

스페인 심장 재단(Spanish Heart Foundation) 재단이 지적했듯이 부정맥은 심장 리듬의 변화다. 심장이 너무 빠르거나 느리거나 불규칙한 리듬이 있는 경우, 그 문제를 경고하는 신호다.

꼭 기억해야 할 부정맥의 몇 가지 측면을 알아보도록 하자.

부정맥에 대해 몰랐던 사실

전기 생리학

부정맥에 관한 모든 것

전기 생리학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과 수축성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전기 생리학은 의료 전문가가 부정맥 환자를 진단하기 위해 요청하는 검사다. 이를 통해 환자가 겪고 있는 부정맥의 유형, 심각도, 발생 위치, 원인 장애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검사는 의료 전문가가 환자의 문제를 개선하지 못하는 옵션을 시도하면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고, 치료를 조정할 수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이 기술은 많은 성공을 거두고 훌륭한 결과를 낳고 있다. 

부정맥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사망 위험은 크다

갑작스러운 사망은 대부분은 부정맥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심실세동 부정맥 및 심실빈맥 부정맥으로 인해 말이다.

이러한 유형의 부정맥은 갑작스러운 심장 마비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종종 “악성”이라고 불린다. 이 경우 가능한 한 빨리 심실 제세동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

더 읽어보기: 기증자 없는 환자를 돕는 인공 심장

모든 부정맥이 똑같이 위험한 건 아니다

부정맥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사망 위험은 높다

심한 부정맥도 있지만, 많은 경우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부정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유형의 부정맥이 갑작스러운 사망의 위험이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모두 똑같이 위험한 건 아니다. 이것이 바로 전기 생리학이 중요한 이유다. 이 검사를 통해 의료 전문가는 환자가 겪고 있는 부정맥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 조기 심장 박동: 이는 환자의 심박수보다 앞선 시간외 박동이다. 일반적으로 이 상태는 심각하지 않다. 그렇지만 의료 후속 조처는 필요하다. 보통 식이 요법과 생활 방식 변화로 치료하게 된다.
  • 동성서맥: 심박수가 느려지고 불규칙하며 때로는 멈출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악화하면 환자는 심박 조율기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 심실세동: 이것은 일종의 심장병이다. 이 상태는 환자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으며 갑작스러운 심장 마비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심장 장애 또는 발작성심실위빠른맥과 같은 다른 유형의 부정맥도 많다. 중요한 것은 각 상태가 똑같이 심각하거나 똑같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실제로 일부 경우 모니터링과 제어만으로도 충분하다.

더 읽어보기: 심장마비 예방에 도움이 되는 5가지 습관

치료법은 다양하다

모든 부정맥이 똑같이 심각한 건 아니며 치료법도 마찬가지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때에 따라 유일한 치료법은 적절한 후속 조처와 관리뿐이다. 그렇지만 다른 환자들은 흡연이나 알코올과 같은 해로운 습관을 끊고 식단을 개선해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부정맥은 종종 약물로 치료해야 하는 게 사실이다. 물론 때에 따라 처방되는 약물은 다르다. 모든 것은 환자, 환자가 겪고 있는 부정맥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기 생리학 테스트 후에 적용되는 ‘무선 주파수 제거’라는 치료법이 있다. 이 치료의 목표는 부정맥을 일으키는 심장 조직을 파괴하는 작은 화상으로 부정맥을 근절하는 것이다. 이는 현재 훌륭한 결과를 얻고 있다.

부정맥에 대한 이 모든 사실을 알고 있었는가? 일부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 너무 많이 모르고 있었는가? 이 주제를 여러 번 다루었지만, 언제든지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그리고 연구자들은 이 상태를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계속 조사하고 있음을 기억하자. 따라서 몇 가지 치료법을 언급했지만, 나중에는 새로운 치료법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의심할 여지 없이 그때는 새 치료법에 대해서도 공유할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2007). BRADICARDIA SINTOMÁTICA Y USO DE MARCAPASOS EN EL SERVICIO DE URGENCIAS. Revista de la Facultad de Medicina55(3), 191-208. Retrieved January 22, 2019, from http://www.scielo.org.co/scielo.php?script=sci_arttext&;amp;pid=S0120-00112007000300007&lng=en&tlng=es.
  • Gómez Flores, Jorge. (2009). Arritmias cardiacas. Archivos de cardiología de México79(Supl. 2), 2. Recuperado en 22 de enero de 2019, de http://www.scielo.org.mx/scielo.php?script=sci_arttext&;amp;pid=S1405-99402009000600002&lng=es&tlng=es.
  • Pérez, Gerardo, & Alonso Bao, Juan. (2014). Cuando el motivo de consulta son las palpitaciones, ¿cómo continuar?. Archivos de Medicina Interna36(2), 68-74. Recuperado en 22 de enero de 2019, de http://www.scielo.edu.uy/scielo.php?script=sci_arttext&;amp;pid=S1688-423X2014000200005&lng=es&tlng=es.
  • Rodríguez-Reyes, Humberto, Muñoz Gutiérrez, Mayela, Márquez, Manlio F., Pozas Garza, Gerardo, Asensio Lafuente, Enrique, Ortíz Galván, Fernando, Lara Vaca, Susano, & Mariona Montero, Vitelio August. (2015). Muerte súbita cardiaca. Estratificación de riesgo, prevención y tratamiento. Archivos de cardiología de México85(4), 329-336. https://dx.doi.org/10.1016/j.acmx.2015.06.002
  • Ventura, Alejandro, Soriano, Lisandro, López, Marisa, & Enciso, Elizabeth. (2012). Ablación por radiofrecuencia de una taquicardia ventricular tras la cirugía reparadora de la tetralogía de Fallot. Revista argentina de cardiología80(1), 60-64. Recuperado en 22 de enero de 2019, de http://www.scielo.org.ar/scielo.php?script=sci_arttext&;amp;pid=S1850-37482012000100012&lng=es&tlng=es.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