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적 성분 채집술은 치료 목적으로 장치를 통해 혈액을 여과하는 체외 순환 치료로, 나머지 혈액 성분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병을 유발하는 요소만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금부터 치료적 성분 채집술에 관해 알아야 할 점을 살펴보자.
정화 치료의 일부인 치료적 성분 채집술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기존의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다.
이는 여과 또는 원심 분리를 통해 혈장을 혈액 세포에서 분리하는 방식이므로, 혈장 교환술이라고도 한다.
혈장 단백질에 결합된 독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혈액 투석과 유사하다.
요구 사항
치료적 성분 채집술을 진행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항이 필요하다.
- 강한 혈류를 제공하는 혈관 접근. 동정맥루나 중심 카테터와 같이 혈액 투석과 유사한 방식으로 혈관에 접근한다.
- 항응고제. 주로 헤파린 또는 구연산염을 사용한다.
- 지속적인 관찰. 치료적 성분 채집술을 진행하는 동안에는 환자의 활력 징후를 꾸준히 관찰해야 한다.
치료적 성분 채집술에 관해 알아야 할 점: 진행 방식
치료적 성분 채집술에서는 2가지 혈관 접근 방식을 통해 혈액을 몸 밖으로 내보냈다가 다시 투여한다. 이렇게 하면 무균 회로가 생성되어 혈액을 몸 밖에서 순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로는 혈액 성분을 여과하는 특수 장치와 연결해야 한다.
해로운 성분을 걸러낸 후 남은 혈액은 혈관을 통해 다시 체내로 투여된다. 치료적 성분 채집술을 받으면 면역 복합체, 자가 항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중금속, 독소, 해로운 단백질, 과도한 콜레스테롤을 제거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혈장 수혈은 무엇일까
치료적 성분 채집술에 관해 알아야 할 점: 위험성
치료적 성분 채집술의 위험성은 혈관 접근, 항응고, 추출된 혈장을 대체하는 성분과 관련이 있다. 정맥을 통해 접근해야 할 때는 직경이 큰 카테터를 사용해야 하며, 때때로 출혈, 주사 부위 감염, 혈전증, 기흉과 같은 합병증을 경험할 수 있다.
항응고제는 출혈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구연산염을 사용하면 혈청 이온화 칼슘 농도가 떨어진다. 이렇게 되면 감각 이상, 메스꺼움, 구토, 추위, 저칼륨 혈증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추출된 혈장을 대체 용액으로 교체해야 한다면 용량과 삼투압을 유지하기 위해 신선 냉동 혈장이나 5% 알부민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면역 글로불린을 대체하지 않으므로, 감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발열 및 알레르기를 수반한 수혈 반응도 경험할 수 있다.
혈장 교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순환 혈장이 제거되는 것을 고려하면 저혈량증과 관련된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어지럼증, 손발 추위, 심박 급속증 등 관류 저하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권장 사항
치료적 성분 채집술은 다음과 같은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 혈액에서 발견되는 병원성 성분으로 인한 질환의 경우, 병원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 병원성 성분이 생기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제거할 수 있다.
- 혈액에 있는 병원성 성분의 수를 줄이거나 완전히 제거하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만약 다음과 같은 상황이라면 치료적 성분 채집술을 주기적으로 받아야 한다.
-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 한랭 글로불린 혈증
- 다발성 골수증
- 원발성 고분자글로불린혈증
- 길렝-바레 증후군
- 레이노병
- 약물 중독
- 다발성 경화증
- 라임병
- 항체 매개 장기 이식 거부 반응
-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다양한 유형
치료적 성분 채집술의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혈장 분리 교환술과 세포 성분 교환술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유형도 사용된다.
- 면역 흡착술: 항체 또는 항원이 다른 항체와 결합하여 혈장에서 제거된다.
- 이중 여과술
- 플라즈마 흡착술
- 혈액 흡착술
- 체외 광선 치료: 단핵 세포를 광활성화 약물로 처리한 후 자외선으로 활성화하는 면역 조절 요법이다.
- 혈액 분리 반출법
- 체외 저밀도 지질 단백 성분 채집술: 저밀도 지질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 DALI: 리간드를 통해 혈액에서 지질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흡수한다.
- MARS: 알부민 결합 물질을 제거한다.
- 프로메테우스: 알부민 결합 독소를 제거한다.
그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혈액 세포에서 혈장 성분을 분리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이다. 한편 세포 채집술은 백혈구, 혈소판, 적혈구를 제거하여 특정 혈구 수치를 낮출 수 있다.
더 읽어보기: 혈액 내 높은 단핵구 수치 및 치료
치료적 성분 채집술에 관해 알아야 할 점: 좋은 대안
치료적 성분 채집술은 기존의 치료법으로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가 선택할 수 있는 치료적 대안이다. 해로운 성분이 신체에서 생성되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Anaya F. Por qué la aféresis terapéutica debe pertenecer a la especialidad de nefrología. Nefrología (Madr.) 2011; 31(4):379-381. Disponible en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211-69952011000400001&lng=es
- Medina M. Aféresis terapéutica. Recambio plasmático terapéutico. Citaféresis. Rev Med Inst Mex Seguro Soc 2005;43(1):47-52. Disponible en https://www.redalyc.org/pdf/4577/457745546013.pdf.
- Rodríguez E, et al. Aféresis Terapéutica en Patología Renal. Nefrología al día 2020. Disponible en https://www.nefrologiaaldia.org/es-articulo-aferesis-terapeutica-patologia-renal-219.
- Schwartz J, et al. Guías sobre el uso de la Aféresis Terapéutica en la práctica clínica – enfoque basado en la evidencia del Comité de Redacción de la Sociedad Americana de Aféresis: Sexta Edición Especial. Revista de Aféresis Clínica 2013;28. Disponible en https://www.ammtac.org/docs/articulos/Guia%20ASFA%202013%20Espanol.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