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상적인 점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신호다. 만약 정상적인 점의 모양이 바뀐다면 이를 무시하면 안 된다. 어떤 점은 흑색종이나 피부암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점은 색소 세포의 한 그룹이다. 대부분 경우 이는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양성이다. 청소년의 경우 15~20개 정도 점이 있는 게 정상이다. 성인의 경우에는 20개에서 40개까지 다양하다.
대부분 피부암 사례는 40세 이후에 나타난다. 이 때문에 비정상적인 점이 나타나면 전문의의 진료를 꼭 받아야 한다. 삶과 죽음의 문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비정상적인 점 식별하기
비정상적인 점을 식별하고 일반적인 점과 구별하려면 4가지 주요 측면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한 측면은 다음과 같다.
- 비대칭: 비정상적인 점은 비대칭이다. 점의 절반은 다른 절반과 다르다는 뜻이다. 이는 악성 점의 징후일 수 있다.
- 가장자리 주변의 불규칙성: 일반 점은 모서리가 원형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고 가장자리가 불규칙하다면 의사와 확인해 보아야 한다.
- 색깔: 매우 어둡거나 붉은색을 띠는 점은 검사해 보아야 한다.
- 직경: 직경이 6mm 이상일 때는 비정상적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암이 될 수 있는 작은 점도 있다.
이전의 양상 외에도 비정상적인 점의 변화를 관찰하는 게 중요하다. 따라서 매월 검사하여 변경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는 게 좋다. 흑색종이 종종 등 아래쪽에 나타나므로 등도 확인해 보아야 한다.
비정상적인 점의 다른 징후
이전에 설명한 징후는 비정상적인 점의 가장 큰 특징이지만, 그것이 유일한 징후인 건 아니다. 때에 따라 증상이 다를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음 징후에 주의해야 한다.
- 번식: 점 또는 반점이 있고 주변 피부로 퍼지기 시작한다면 꼭 검사를 받아보아야 한다.
- 발적과 염증: 주변이 붉어지거나 염증이 생기면 전문가를 만나보아야 한다.
- 추가적인 감각: 정상적인 점은 비정상적인 감각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려움증, 화상 또는 통증이 있는 경우 문제가 있다는 뜻일 수 있다.
- 표면의 변화: 혈액, 삼출물 또는 각질이 있다면 조심해야 한다. 또한, 작은 결절이나 융기가 같은 점 내부에 형성되는지 잘 살펴보자.
이 경우 다음 단계는 피부과 의사를 찾아가는 것이다. 이 분야의 전문가만이 그것이 악성 문제인지 판단할 수 있으니 가능한 한 빨리 전문가와 상담해야 한다.
점과 흑색종
흑색종은 악성 종양이다
흑색종의 초기 모습은 점과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유형의 암은 모든 나이대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제때 감지되면 완전히 치료가 가능하지만, 다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흑색종으로 고통받을 위험이 가장 높은 사람들은 밝은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다. 햇빛에 노출되거나 보호 조처 없이 UV 램프를 사용하는 것도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10%의 사례는 유전적인 이유로 발생한다. 흑색종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이 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
그러므로 가장 좋은 예방 조처는 자외선을 차단하고 UV 램프를 피하는 것이다. 바깥에서 걸을 때 태양이 매우 강하다면 모자를 쓰도록 하자. 그뿐만 아니라 매일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 한다.
진단
피부과 전문의가 하는 첫 번째 일은 피부를 자세히 검사하는 것이다. 그들은 점과 그 주변을 검사한다. 또한, 흑색종의 징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신체의 다른 부위들도 검사한다.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점이 있으면 의사는 피부 생검을 지시한다. 그리고 가능하면 생검을 하면서 그 점을 완전히 제거하며, 그 부분은 실험실에서 현미경을 통해 분석된다. 바로 그곳에서 암세포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생검의 결과에는 종양 병변의 깊이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 등급 또는 정도는 밀리미터로 표시되며, 이 데이터는 치료를 결정하고 예후를 확립하는 데 있어 결정적이다.
일부 유형의 흑색종은 빠르게 전파된다. 이 경우 병변이 있는 림프절의 생검을 받아야 한다. 또 뇌, 목, 흉부, 복부, 골반 및 뼈에 대한 방사선 검사를 지시할 수도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Schadendorf, D., van Akkooi, A. C. J., Berking, C., Griewank, K. G., Gutzmer, R., Hauschild, A., … Ugurel, S. (2018). Melanoma. The Lancet. https://doi.org/10.1016/S0140-6736(18)31559-9.
- Castañeda, Paola Eljure, J. (2016). El cáncer de piel, un problema actual. Revista de La Facultad de Medicina de La UNAM.
- Navarrete Franco, G. (2003). Histología de la piel. Rev Fac Med UNAM. https://doi.org/10.1177/0267659111426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