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이 우리에 대해 무엇을 말해줄까? 서명은 사람마다 특별하고 개인적인 것이다. 지문과 마찬가지로 서명 또한 모두 다르므로 개인의 성격에 대해 많은 것을 이야기한다. 서명을 통해 그 사람의 사고 방식, 행동 방식 및 약점과 강점을 꿰뚫어볼 수 있다.
서명이 발견되고 필적학이 생긴지는 꽤 오래되었다. 필적학은 서명과 그 구조를 분석하는 학문이다. 필적학에 따르면 서명의 형태, 크기, 기타 세부 사항으로 그 사람의 특성을 알 수 있다고 한다. 때로는 서명을 하는 사람들조차도 자신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을 수 있다.
서명이 우리에 대해 말해주는 것
알아볼 수 있는 서명인가?
대부분의 서명은 그 사람의 이름과 성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여기에는 수없이 많은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식별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서 우리에 대해 말해주는 부분이 있다.
- 알아볼 수 있는 서명을 하는 사람들은 진실되고 단순한 사람들에 속한다고 한다.
- 그에 반해 거의 알아보기 힘든 서명은 자신감이 없고 권위에 대한 저항을 보이는 사람들에 속한다.
- 만약 이니셜만을 알아볼 수 있다면 그 사람의 신뢰를 얻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
서명의 각도
미친 소리로 들릴지도 모르지만 서명의 각도는 성격에 관한 중요한 것들을 이야기할 수 있다.
- 올라간 형태의 서명이라면 그 사람은 야심하고 전투적이며 성공의 열망을 가진 사람이다.
- 놀라울 정도로 치우친 서명이라면 그 사람은 인생에서 매우 야심적일 수 있다.
- 내려간 형태의 서명은 심드렁하고 우울한 사람의 상징으로 여길 수 있다. 서명의 각이 더 질수록 기분도 더 내려갈 수 있다.
서명은 정신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안정적인 사람의 표식이 될 수 있다.
서명의 크기
글자가 클수록 더 외향적이고 작을수록 내성적인 사람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작은 크기의 서명은 관심을 원하는 내성적인 사람들의 표현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그들의 서명 크기는 1.27~2.54cm 이다.
서명의 내용
이 글에서 언급하는 내용이란 이름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서명은 우리의 이름을 세계에 알리는 방식이다. 성과 이름 중에서 더 큰 것이 그사람에게 더 중요한 것일 수 있다.
- 이름이 크고 성이 훨씬 작게 보이는 서명은 독립성의 신호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아닌 다른 것들을 대표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굽었거나 곧은 글자
- 매우 굽은 글자를 사용하는 서명은 호감이 가는 사람을 대표한다. 이들은 명랑하고 스타일 감각이 좋다.
- 그에 반해 완전히 각이 진 서명은 매우 확고하고 정당하며 잘 훈련된 사람일 수 있다.
대문자 사용
- 대문자가 소문자보다 3배 정도 더 큰 서명을 쓰는 사람은 자기 중심적인 사람으로 간주될 수 있다.
- 대문자가 나머지 글자보다 2배 정도 큰 경우, 이 사람은 자신을 가치있는 사람으로 여기고 현실적이며 안정된 자존감을 가진 사람이다.
- 대문자가 튀지 않는 경우 이는 겸손하고 다른 사람들을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힘
- 서명을 할 때 힘을 더 많이 줄수록 자신에게 있는 권위와 견고함은 더 클 것이다. 이는 성질이 있는 권위적인 사람의 표식이다.
- 그에 반해 부드럽고 매끄러운 서명은 융통성과 침착함의 상징이다.
장식 및 디테일
서명의 디테일은 자신을 어떻게 세상에 보여주고 싶은지를 알 수 있다. 장식이 없는 서명은 정확하고 투명한 사람을 나타낼 수 있다. 그에 반해 특정한 디테일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 소용돌이 모양: 생각이 많은 사람들의 표식이다. 그들은 진정성을 찾고 있다.
- 밑줄: 자신을 확신하고 결정에 책임을 진다. 이들은 도전을 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는 사람들이다.
- 끝에 공간을 두는 것: 매우 규율적이고 엄격하며 조직적인 사람을 상징한다.
- 역행하는 서명: 특히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안도감을 찾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명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Alicia Martínez – Leticia Perinat. Grafopsicología. Tu escritura eres tú. Manual de autoaprendizaje. Volumen I y II. Edit. Gomylex, 2006.
- Jean-Charles Gille-Maisani. Psicología de la Escritura. Editorial Herder, 2001.
- Fluckiger, Fritz A, Tripp, Clarence A & Weinberg, George H (1991). «A Review of Experimental Research in Graphology: 1933 – 1960».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2: 6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