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같은 질 분비물의 원인

맑은 물 같은 질 분비물은 가임기 여성이나 초기 임산부에게 흔하다.

물 같은 질 분비물의 원인

물 같은 질 분비물의 원인을 알고 있는가? 가임기의 여성이라면 물 같은 질 분비물이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달걀흰자와 같은 질감의 투명한 질 분비물은 한 달 중 임신 가능성이 가장 큰 날에 분비된다.

물 같은 질 분비물은 난자의 수정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분비물이 있으면 정자가 난자를 향해 더 쉽게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다.

난자가 난소에서 빠져나와 나팔관을 향해 이동하면 맑은 물 같은 분비물이 나오면서 하복부가 약간 아플 수 있다.

물 같은 질 분비물의 특징

맑은 물 같은 질 분비물은 한 달 중 임신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신호다. 초반에는 거의 물 같은 질감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농도가 진해질 수 있다. 농도가 진한 질 분비물은 배란이 일어나고 있다는 뜻이다.

물 같은 질 분비물은 수정을 촉진하는 것 외에도,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 정화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질 분비물은 질관의 죽은 세포와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조절 인자다. 질 분비물을 통해 질벽의 수분과 윤활의 균형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 pH를 조절한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질 분비물은 보호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질 pH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렇지만 물처럼 맑은 질 분비물은 언제든지 배출될 수 있다. 실제로 격한 운동을 하고 나서 질 분비물이 나오는 것도 생각보다 흔한 일이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물 같은 질 분비물의 원인

물 같은 질 분비물의 원인

이러한 질 분비물은 호르몬 변화와 관련이 있다. 여성의 성호르몬은 월경 주기를 유발하는 다양한 과정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물질이다.

그중 에스트로겐은 질 분비물의 생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성호르몬이다. 배란이 일어나기 직전에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아지면 맑은 물 같은 질 분비물이 많이 나올 수 있다.

배란이 끝나고 나서 에스트로겐 수치가 낮아지면 분비물의 농도가 진해질 수 있다. 한편 질 분비물은 임신 초기와 후기에 나타날 수 있지만, 임신 중기에 경험하는 것은 흔치 않다.

문제가 있다는 징후

반투명한 질 분비물이 약간 끈적거리지만 이상한 냄새가 나지 않는다면 정상이다. 하지만 분비물의 농도, 색, 질감에 변화가 생기면 어딘가 문제가 있다는 징후일 수 있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질염의 최대 95%가 분비물에 변화를 일으킨다고 한다.

중점적으로 확인해야 할 질 분비물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냄새가 나는 분비물

냄새가 나는 질 분비물은 진균 감염이나 세균 감염의 징후이므로, 의료 전문가에게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임질, 클라미디아, 트리코모나스와 같은 성병이 원인일 수 있다.

또한 생식기 부위를 지나치게 자주 씻으면 질 세균총의 균형이 깨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분비물에 냄새를 유발하는 진균 감염이나 칸디다증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프로바이오틱스가 질내 세균총에 영향을 줄까?

색 변화

질 분비물의 색 변화는 흔히 감염의 지표이기도 하다.

  • 세균성 질염이 발생하면 냄새가 심한 회백색 분비물이 분비된다.
  • 칸디다증이 생기면 농도가 진하고 덩어리가 진 흰색 분비물을 경험할 수 있다.
  • 트리코모나스 질염(질편모충염)의 경우, 거품 같은 누런 분비물이 나올 수 있다.

피가 묻은 분비물

질 분비물에 약간의 핏방울이 비치거나 분비물 자체가 완전히 붉은빛을 띤다면 난자가 수정에 성공하여 아이를 가졌다는 첫 번째 징후 중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임신을 확인하려면 임신 테스트기를 사용하거나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더 읽어보기: 가정용 임신 테스트기의 효용

물 같은 질 분비물의 원인

물 같은 질 분비물의 조치: 좋은 위생 관리가 핵심이다

질 분비물이 평소처럼 맑은 물 같은 모습이라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양의 변화나 농도의 변화는 문제의 징후가 아니다.

하지만 색, 냄새, 질감에 변화가 있다면 어딘가 문제가 있다는 징후일 수 있으니, 산부인과 전문의에게 진찰을 받아야 한다.

생식기 부위의 위생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자. 실제로 질 세척제는 질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질내 세균총에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면 속옷을 입고 팬티 라이너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arvalho N., Eleutério J., Travassos A., Santana L., & Miranda A. (2021). Protocolo Brasileño para Infecciones de Transmisión Sexual 2020: infecciones que causan flujo vaginal. Epidemiologia e Serviços de Saúde30(1). https://dx.doi.org/10.1590/s1679-4974202100007.esp1
  • Curriá M. I. (2010). LH y moco cervical en el reconocimiento de la fertilidad. Tesis Doctoral. Pontificia Universidad Católica Argentina. Recuperado de: https://repositorio.uca.edu.ar/handle/123456789/153
  • López J. (2012). Leucorreas líquidas y cremosas: diferencias clínicas y microbiológicas (estudio prospectivo de 1 año). Clínica e Investigación en Ginecología y Obstetricia39(2), 57-63. Recuperado de: https://doi.org/10.1016/j.gine.2011.11.005
  • Martín R., Soberón N., Vázquez F., & Suárez J. E. (2008). La microbiota vaginal: composición, papel protector, patología asociada y perspectivas terapéuticas. Enfermedades Infecciosas y Microbiología Clínica, 26(3), 160-167. Recuperado de: https://doi.org/10.1157/13116753
  • Orellana N. (2019). Factores Personales Asociados a Síndrome de Flujo Vaginal en Mujeres en Edad Fértil que Acuden al Servicio de Obstetricia del Centro de Salud Aucallama de Mayo Agosto 2018. Universidad Privada Sergio Bernales. Recuperado de: http://repositorio.upsb.edu.pe/handle/UPSB/175
  • Padilha T., Deretti E. A. (2021). Método de Ovulação Billings: entre eficácia e desconhecimento. Revista Bioética29(1), 208-219. Recuperado de: https://doi.org/10.1590/1983-80422021291460
  • Serrano, S. C. (2018, diciembre). Comportamiento del síndrome de flujo vaginal en mujeres atendidas en un Centro Médico de Diagnóstico Integral. SciELO. Recuperado 23 de diciembre de 2021, de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138-600X2018000400004.
  • Sociedad Española de Ginecología y Obstetricia. (2018). Control prenatal del embarazo normal. Program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61(05):510-527. Recuperado de: https://medes.com/publication/140883
  • Vidal E., Ugarte C. (2010). Síndrome de flujo vaginal. Revista Cuba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Recuperado e. 23 de diciembre 2021 de: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138-600X2010000400013.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