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면증의 유형 및 정도
젤리노 증후군으로도 알려진 기면증은 다양한 유형과 정도로 나타나는 흔하지 않은 장애이다. 기면증이 있으면 갑자기 잠이 들며, 전 세계 인구의 약 0.1%에 영향을 미친다. 지금부터 기면증의 유형 및 정도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기면증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 진 벱티스트 에두아르 젤리노에 의해 탄생했다. 이 연구원은 1880년에 처음으로 기면증을 설명했다. 그는 그리스 단어인 ‘narke’와 ‘lepsis’를 바탕으로 무감각 발작을 뜻하는 용어를 만들었다.
기면증이란?
기면증은 수면 리듬 장애를 유발하는 만성 신경 장애이다. 주된 증상은 낮 동안 강하게 느껴지는 졸음과 멈출 수 없는 갑작스러운 졸음 발작이다.
어떤 유형이나 정도의 기면증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 처한 상황과 관계없이 몇 시간 동안 자지 않고 깨어 있는 데 큰 문제를 겪는다. 따라서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일부 사례에서 기면증은 의학 용어로 탈력 발작으로 정의되는 갑작스러운 근육 긴장 손실과 함께 나타난다. 이는 격한 감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결국 탈력 발작의 출현이 기면증의 유형과 정도를 규정한다.
기면증은 병을 완전히 낫게 하는 방법이나 특수한 치료법이 없다. 하지만 일부 약은 갑작스러운 수면 발작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마찬가지로 생활 방식의 변화와 사회적 및 심리적 지지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한 5가지 팁
기면증은 환자가 감당할 수 없는 심각한 수면 발작을 일으키는 흔하지 않은 장애이다.
기면증의 특징
기면증의 주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극심한 주간 졸림증: 각성도와 집중력이 줄어든다. 대개 가장 첫 번째로 나타나는 증상이며, 그 후 갑작스러운 수면 욕구가 발생한다.
- 탈력 발작: 앞서 언급했듯이, 모든 사례에서 나타나거나 같은 강도로 발생하지는 않는다.
- 수면 마비: 일시적으로 움직이거나 말을 할 수 없다. 특히 잠이 들거나 깨어날 때 발생한다. 수면 마비는 일반적으로 짧게 나타난다.
- REM 수면의 변화: REM 수면은 가장 깊은 단계의 수면이다. 이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급속 안구 운동이 있다. 기면증이 있는 사람은 언제든지 REM 수면 단계에 들어갈 수 있다.
- 환각: 잠이 들기 전에 나타나면 입면 환각이라고 하며, 깨어 있을 때 나타나면 각성 시 환각이라고 한다. 매우 생생하며 무서울 수 있다.
기면증이 있는 사람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수면 분절, 하지 불안 증후군(RLS)과 같은 다른 수면 장애를 경험할 수 있다. 역설적이지만, 불면증을 앓게 될 수도 있다.
기면증의 유형 및 정도
정신 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의 제5판(DSM-5)의 기준에 따라, 기면증에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유형과 정도가 있다.
- 탈력 발작이 없는 히포크레틴 결핍: 이러한 유형에서는 오렉신이나 히포크레틴 호르몬이 부족하다. 이는 뉴런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의 주된 기능은 수면 각성 주기 조절이다. 이 유형은 탈력 발작을 일으키지 않는다.
- 탈력 발작이 있지만 히포크레틴 결핍은 없는 유형: 이 경우 히포크레틴 결핍은 없지만 탈력 발작은 있다. 탈력 발작은 신체 양쪽의 갑작스러운 근육 약화이다. 기면증의 가장 알려지지 않은 증상이며, 전체 사례의 5%에 영향을 미친다.
- 척수 소뇌 변성증(ADCA), 난청 및 기면증: 이러한 정도의 기면증은 DNA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한다. 운동 실조증은 자발적인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고 삼키기, 말하기, 시각과 같은 기능을 방해하는 운동 조정력 부족이다. 늦게 발생하며, 종종 병이 진행됨에 따라 치매로 이어질 수 있다.
- 척수 소뇌 변성증-난청-기면증,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미엘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 종류인 희돌기 교세포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한다. 미엘린은 신경 전달 속도를 높이는 물질이며, 이 물질의 결핍은 운동성에 영향을 미친다.
- 다른 질병의 2차 증상: 기면증의 한 가지 유형은 다른 질병의 결과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유육종증이나 휘플병이 있다. 두 질병 모두 히포크레틴 생성 세포를 파괴한다.
더 읽어보기: 당뇨와 수면 장애의 깊은 연관성
기면증은 업무나 교육과 같은 삶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모든 정도의 기면증은 의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기면증을 낫게 하는 방법은 없지만, 현재 치료를 받을 수는 있다. 대부분 증상을 완화하여 환자가 거의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면증 환자는 갑작스러운 졸음을 완화하기 위해, 계획대로 낮잠을 자는 것과 같이 생활 방식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수면 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기면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심리적 및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Peraita-Adrados, R., del Río-Villegas, R., & Vela-Bueno, A. (2015). Factores ambientales en la etiología de la narcolepsia-cataplejía. Estudio de casos y controles de una serie. Rev Neurol, 60(12), 529-534.
- Roballo Ros, F. (2016). Parálisis del sueño: desenmascarando el fantasma, exploración holística y psicológica.
- Merino-Andreu, M., & Martinez-Bermejo, A. (2009, December). Narcolepsia con y sin cataplejia: una enfermedad rara, limitante e infradiagnosticada. In Anales de Pediatría (Vol. 71, No. 6, pp. 524-534). Elsevier Doyma.
- Medrano-Martínez, Pablo, M. José Ramos-Platón, and Rosa Peraita-Adrados. “Alteraciones neuropsicológicas en la narcolepsia con cataplejía: una revisión.” Revista de Neurologia 66.3 (2018): 89-96.
- Santamaría-Cano, Joan. “Actualización diagnóstica y terapéutica en narcolepsia.” Revista de Neurología 54.Supl 3 (2012): S25-30.
- Sarrais, F., and P. de Castro Manglano. “El insomnio.” Anales del sistema sanitario de Navarra. Vol. 30. Gobierno de Navarra. Departamento de Salud, 2007.
- Ruoff, Chad, and David Rye. “The ICSD-3 and DSM-5 guidelines for diagnosing narcolepsy: clinical relevance and practicality.”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32.10 (2016): 1611-1622.
- Torterolo, Pablo, and Giancarlo Vanini. “Importancia de las hipocretinas en la patogenia de la narcolepsia (breve revisión).” Revista Médica del Uruguay 19.1 (2003): 27-33.
- Pabón, R. M., et al. “Narcolepsia: actualización en etiología, manifestaciones clínicas y tratamiento.” Anales del Sistema Sanitario de Navarra. Vol. 33. No. 2. Gobierno de Navarra. Departamento de Salud, 2010.
- Arias-Carrión, Oscar. “Sistema hipocretinérgico y narcolepsia.” Revista médica de Chile 137.9 (2009): 1209-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