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임신을 하지 않은 사람들의 치료와 동일하다. 그렇지만 임산부의 경우에는 임신 중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추적 검사가 필요하다. 갑상선 호르몬은 임신 중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기의 발달과 산모의 건강 모두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다행히도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는 대체로 임신 중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지 않는다.
데이터에 따르면, 갑상선 질환은 생식 가능 연령대의 여성들에게 가장 자주 진단된다. 그렇지만 임산부의 약 0.25%~2.5만이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앓고 있다. 따라서 임신 중 흔히 발생하는 문제는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갑상선과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은 분비 기관이며 호르몬 화합물을 분비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이는 내분비샘이므로, 호르몬이 혈액으로 직접 분비된다.
갑상선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는 신체가 요오드를 필요로 한다. 갑상선 호르몬에는 여러 기능이 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일부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신체의 성장과 발달
- 산소 흡입량 증가
- 중추 및 말초 신경계 발달
- 체온 조절
갑상선이 충분한 양의 갑상선 호르몬을 생산할 수 없으면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발생한다. 이는 약간의 성가신 증상부터 심각한 건강상 문제에 이르기까지, 모든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갑상선기능저하증은 합병증 없이 쉽게 처치할 수 있지만 치유를 할 수는 없다.
더 읽어보기: 두 번째 임신은 첫 번째와 어떻게 다를까?
임신 중 갑상선 기능의 변화
임신은 신체의 물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갑상선의 적절한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호르몬 변화를 유발한다. 임신 초기에 TSH(갑상선에서 분비되는 자극 호르몬)가 약간 낮아지는 것은 정상이다.
전체 T3(트리요오드티로닌)과 전체 T4(티록신)는 임신 기간 동안 더 높아질 것이다. 또한 갑상선의 크기도 커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갑상샘종이 발생하기도 한다.
임신 첫 10주 또는 12주 동안 갑상선 호르몬 생성을 위해 태아는 산모에게 전적으로 의존한다. 이 시기가 지나고 나면 아기는 스스로 호르몬은 생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아기는 호르몬을 적절하게 생성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요오드를 얻을 수 있도록, 여전히 산모에게 의존한다.
임신 중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
환자가 임신을 한 경우에는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가 필요하다. 산모에게 나타날 수 있는 일부 위험 요소로는 빈혈, 근 질환 또는 울혈성 심부전이 있다.
또한 태반에 이상이 생겨 아기가 체중 미달의 상태로 태어나거나 분만 후 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은 심각하다.
게다가 갑상선 호르몬은 아기의 두뇌 발달에 필수적이다. 의학계와 과학계에서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병 위험이 정확하게 무엇인지를 밝힐 수 없었지만, 기형이 생길 수 있는 것만큼은 분명하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임신 첫 3개월 동안 유산의 위험과 조산의 가능성을 높인다. 또한 혈압을 높여 자간전증을 초래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고무젖꼭지와 젖병을 사용하면 아기에게 해로울까?
치료 방법
임신 중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는 치유법이 아니지만 질병을 완전히 조절할 수는 있다. 기본적으로 이 치료법은 갑상선 호르몬을 합성 레보티록신으로 대체한다. 이는 갑상선이 생성하는 T4와 동일하다.
합성 호르몬의 유일한 위험 요소는 바로 올바른 복용량이 아닐 경우이다. 너무 적은 양을 복용하면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지속된다. 너무 많은 양의 경우에는 환자에게 갑상선기능항진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복용량을 조절하고 자주 추적 검사를 받아야 한다.
임신 중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의 또 다른 요인은 의사가 6~8주마다 갑상선의 수행 능력과 기능을 검사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검사는 레보티록신의 복용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산모의 호르몬 시스템에서 요오드 수치를 조절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산모와 태아의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은 반드시 변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산모는 요오드가 풍부한 식단을 유지해야 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Barranco, M. C., López, A. A., Gallard, F. D., & Fernández, S. G. (2007). Tratamiento del Hipotiroidismo durante el Embarazo. Revista de Posgrado de la VIa Cátedra de Medicina, 171, 24-28.
- Cano, F. D., & Paredes, A. (2009). Hipotiroidismo y embarazo : Diagnóstico y tratamiento. Rev Obs Ginecol – Hosp Santiago Oriente Dr. Luis Tisné Brousse. https://doi.org/10.1051/0004-6361/201014363
- Carolina Barranco, M., Alberto López, A., & Darío Gallard Dra Silvana Griselda Fernández, F. (2007). TRATAMIENTO DEL HIPOTIROIDISMO DURANTE EL EMBARAZO. Revista de Posgrado de La VIa Cátedra de Medicina.
- Enfermedad tiroidea y gestación (actualizado julio 2013). (2015). Progresos de Obstetricia y Ginecologia. https://doi.org/10.1016/j.pog.2014.11.003
- INFARMED. (2014). Levotiroxina. Katalog BPS. https://doi.org/10.1007/s13398-014-0173-7.2
- Pineda, J., Galofré, J. C., Toni, M., & Anda, E. (2016). Hipotiroidismo. Medicine (Spain). https://doi.org/10.1016/j.med.2016.06.002
- Taylor, P. N., Minassian, C., Rehman, A., Iqbal, A., Draman, M. S., Hamilton, W., … Okosieme, O. E. (2014). TSH levels and risk of miscarriage in women on long-term levothyroxine: A community-based study.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https://doi.org/10.1210/jc.2014-1954
- Soledad, H. V. (2013). Trastornos tiroideos en el embarazo. Revista Médica Clínica Las Condes. https://doi.org/10.1016/S0716-8640(13)702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