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만 5세까지 이불에 실수를 하는 일이 흔하며 이 문제는 낮과 밤 모두에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아이들이 커가면서도 문제가 계속 발생하게 되면 야뇨증 또는 비자발적 배뇨라고 부른다.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매우 불편한 문제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야뇨증 또는 비자발적 배뇨의 치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보려고 한다. 끝까지 읽어보길 바란다!
야간 야뇨증이란?
야뇨증은 비자발적 배뇨를 의미하는 의학 용어다. 이는 낮 동안 혹은 가장 흔하게는 밤에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어린아이들에게 매우 흔하며, 실제로 6세의 12%와 10세의 7%에 영향을 미친다. 또 남자에게 더 많이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 사라진다. 하지만 소수의 경우 이 문제가 계속되어 20세 이상인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그런 다음 이는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문제를 일으킨다.
비자발적 배뇨는 아동 발달의 특정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상적인 현상이다. 대부분 어린이는 만 3세 이전에 방광과 괄약근을 제어할 수 없다. 이 단계에서 야간 야뇨증은 어린아이들에게 정상이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 나이부터 아이들은 방광 조절 방법을 배운다. 그런 다음 방광이 차는 순간을 알고 화장실에 가야 하는 때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야간 제어는 달성하기가 더 어렵고 시간도 더 오래 걸린다. 따라서 야간 야뇨증은 만 6세까지 어린이에게 매우 흔하다.
더 읽어보기: 소아 과민성 방광의 원인 및 치료
야뇨증 진단의 척도, 빈도
현재 의사들은 여러 가지 진단 기준을 가지고 있는데, 모두 야뇨증 문제의 빈도에 달려 있다.
야뇨증 진단을 받으려면 일주일에 한두 번 이 문제가 발생해야 한다. 좋은 진단과 치료를 받으려면 각 사례를 개별적으로 평가하는 게 중요하다.
또한, 그 치료와 빈도는 만 5세 아동 및 십대에게서 같지 않다. 어린아이들의 경우 이 문제는 정상이지만, 십대의 경우 한 번의 문제 발생으로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야간 야뇨증의 원인
이 문제는 거의 항상 잠자는 동안 아이가 방광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한다. 아이는 방광이 가득 찬 것을 알지 못한 채 무의식적으로 소변을 본다.
그리고 소수의 경우 이 현상은 다른 질병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이나 비뇨기 계통의 다른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야뇨증은 낮 동안에도 발생하며 치료 방법이 매우 다르다.
더 읽어보기: 소변 검사의 종류 및 진단
야뇨증 치료
대부분의 경우 이 상황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5세 미만의 어린이에게서 이 문제가 발생하면 그것은 정상적이고 일시적인 문제로 간주한다. 아이들이 더 크면 저절로 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이들이 이 문제를 더 적게 경험하도록 도울 수 있는 특정 지침이 있다. 이 지침은 실제로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문제의 원인을 설명하는 행동 치료를 구성한다. 이렇게 하면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를 수 있는 몇 가지 팁은 다음과 같다.
- 자녀에게 그 상황을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하자. 자녀에게 비뇨기계가 작동하는 방식 때문에 그것이 정상이라는 사실을 알려 주자.
- 아이를 꾸짖거나 당황하게 하지 말자.
- 밤에 아이를 깨우지 말자. 그리고 또한 아이가 물을 마시는 양을 제한하지 말자.
- 화장실에 가는 일정을 짜는 것을 추천한다. 그렇게 하면 아이들이 방광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 자녀에게 낮에는 더 많이 마시고, 취침 시간에는 더 적게 마셔야 한다고 설명하자.
- 사실 기저귀를 사용하는 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자녀를 혼란스럽게 하고 방광 조절 방법을 배우지 못하게 할 뿐이다.
약물은 가장 극단적인 경우에만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약물은 소변을 보고 싶은 충동을 줄이거나 수면을 조절하기 위해 쓰인다.
결론적으로 야간 야뇨증은 어린아이들에게 흔하지만, 주의를 기울이는 게 중요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행동 요법과 지속적인 가족의 지원이 중요하다.
또한, 전문가와 함께 각 사례를 검토하는 게 중요하다. 그들은 이면에 다른 문제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Becker, R. E. (2013). Nocturnal enuresis. In Parasomnia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https://doi.org/10.1007/978-1-4614-7627-6_20
- Ramakrishnan, K. (2008). Evaluation and treatment of enuresis. American Family Physician.
- Brown, M. L., Pope, A. W., & Brown, E. J. (2011). Treatment of primary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A review.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https://doi.org/10.1111/j.1365-2214.2010.01146.x
- Deshpande, A. V., & Caldwell, P. H. Y. (2012). Medical management of nocturnal enuresis. Pediatric Drugs. https://doi.org/10.2165/11594870-000000000-00000
- Glazener CMA, Evans JHC, Peto RE. Intervenciones conductuales y educativas complejas para la enuresis nocturna en niños (Revisión Cochrane traducida). En: La Biblioteca Cochrane Plus, 2007 Número 3. Oxford: Update Software Ltd. Disponible en: http://www.update-softwa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