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의 학명은 ‘박쥐나방동충하초’이고 일부 곤충 유충에 기생하는 종이다. 티베트와 네팔의 산악 지대가 원산지이지만 중국 전통 의학 약재로도 인기다. 히말라야 비아그라라고도 알려진 동충하초 특성을 알아보자.
대중 문헌에 따르면 동충하초는 성 기능 강화제로 알려져 있다. 일부에서는 최음제 속성으로 추정되어 ‘히말라야 비아그라’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동충하초는 어떠한 식물이며 복용했을 때 인체에 어떠한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동충하초 정의와 특성
동충하초는 곤충 기생 균류의 일종으로 특정 유충에 기생하여 싹을 틔운다. 약 400가지 아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박쥐나방동충하초는 임상 목적으로 가장 탐나고 많이 연구된 종류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이 균류는 겨울 동안 미라가 되는 벌레에 싹을 틔운다. 그리고 봄이 오면 귀한 식물이 자라서 ‘히말라야 비아그라’ 또는 ‘히말라야 금’이라고 통칭한다.
네팔, 티베트, 부탄 또는 인도와 같은 국가에서는 온 가족이 생계를 위해 이 균류를 채집하는 일을 한다. 현재는 과도한 채집으로 인해 개체수가 상당히 줄었다 .
채집량이 줄면서 동충하초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중국에서는 동충하초 1kg에 최대 10만 유로를 지급하는 사람들이 있다. 동충하초 판매 금액은 연간 약 80억 유로라고 추산된다.
더 읽어보기: 발기를 유지하는 방법 4가지
동충하초 성질
‘Pharmacognosy Reviews’를 통해 보고된 포괄적인 과학적 검토에서는 동충하초가 면역 조절, 항염증, 항종양, 항산화, 항균 및 성기능 증진제로 사용되었다고 자세히 설명한다.
특히, 이 버섯에서 추출한 보충제는 남녀 모두의 성욕을 증가하고 테스토스테론 생성을 자극하며 정자 기형을 감소하고 운동성 정자 세포의 수를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보다 직접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지만 현재로서는 박쥐나방동충하초가 특히 남성의 성 기능 장애 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동충하초 보충제의 섭취는 신체 능력 향상과도 관련이 있다. 근력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아데노신삼인산(ATP)의 생성을 증가한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효과는 스포츠뿐만 아니라 성적 수준에서도 더 나은 성능을 의미하지만 더 결정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기타 가능한 용도
- 건강 및 의학의 대체 요법을 통해 공유된 연구에 따르면 박쥐나방동충하초는 조기 노화 예방 효과가 있다. 산화 스트레스와 세포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풍부한 항산화 성분 때문이다.
- 중국 전통 의학에서 동충하초 항종양제로 간주된다. 그러나 항암 치료제 확정된 것이 아니며 현재로서는 연구 대상이다. 증거에 따르면 폐, 결장, 피부 및 간암에 대한 잠재력이 있다.
- 일부 연구에서는 이 균류가 항당뇨병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당뇨병의 1차 선택 치료제는 아니다.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증거는 있다.
동충하초 안전성과 가능한 부작용
현재 동충하초의 인체 안전성에 관한 연구는 없다. 높은 가격과 희소성은 연구를 제한하지만 일화적 증거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이 먹으면 문제가 없다고 한다.
자연 상태에서 얻기가 매우 어려워서 ‘동충하초 CS-4′라는 합성 형태가 개발되기도 했다. 천연 약물로 간주되며 1,000mg~3,000mg 용량으로 임상 환경에서 사용된다.
무엇을 기억해야 할까?
동충하초는 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히말라야 비아그라로 알려져 있다. 정자의 질과 성욕이 증진한다는 연구가 있지만 더 확실한 증거가 필요하다.
또한 조기 노화 방지, 고혈당 조절 및 항종양 잠재력 같은 다른 효과도 있다. 그러나 희소성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충분한 증거가 판명되지 못했다.
동충하초 보충제나 천연 공급원에 대한 접근은 특권의 문제다. 높은 가격을 지불할 수 있는 선택된 소수만이 동충하초를 먹을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Biswa, Vashkar & Ali, Raju & Pradhan, Durga & Boro, Nitisha & Baro, Tikendrajit & Das, Debajani & Subba, Robin & Das, Puja & Das, Sandeep. (2022). Molecular characterization, microscopic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Ophiocordyceps sinensis from Sikkim, India.
-
Jiraungkoorskul K, Jiraungkoorskul W. Review of Naturopathy of Medical Mushroom, Ophiocordyceps Sinensis, in Sexual Dysfunction. Pharmacogn Rev. 2016 Jan-Jun;10(19):1-5. doi: 10.4103/0973-7847.176566. PMID: 27041868; PMCID: PMC4791983.
- Nagata, Akira & Tajima, Taeko & Uchida, Masayuki. (2006). Supplemental anti-fatigue effects of Cordyceps sinensis (Tochu-Kaso) extract powder during three stepwise exercise of human. Japanese Journal of Physical Fitness and Sports Medicine. 55. S145-S152. 10.7600/jspfsm.55.S145.
- Yamaguchi N, Yoshida J, Ren LJ, Chen H, Miyazawa Y, Fujii Y, Huang YX, Takamura S, Suzuki S, Koshimura S, et al. Augmentation of various immune reactivities of tumor-bearing hosts with an extract of Cordyceps sinensis. Biotherapy. 1990;2(3):199-205. doi: 10.1007/BF02173520. PMID: 2206772.
- Lee HH, Lee S, Lee K, Shin YS, Kang H, Cho H. Anti-cancer effect of Cordyceps militaris in human colorectal carcinoma RKO cells via cell cycle arrest and mitochondrial apoptosis. Daru. 2015 Jul 4;23(1):35. doi: 10.1186/s40199-015-0117-6. PMID: 26141646; PMCID: PMC4491205.
- Wu JY, Zhang QX, Leung PH. Inhibi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extract of Cordyceps sinensis mycelium on various cancer cells in culture and B16 melanoma in C57BL/6 mice. Phytomedicine. 2007 Jan;14(1):43-9. doi: 10.1016/j.phymed.2005.11.005. Epub 2006 Jan 19. PMID: 16423520.
- Lo HC, Tu ST, Lin KC, Lin SC. The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the fruiting body of Cordyceps in diabetic rats induced by nicotinamide and streptozotocin. Life Sci. 2004 Apr 23;74(23):2897-908. doi: 10.1016/j.lfs.2003.11.003. PMID: 15050427.
- Lin B, Li S. Cordyceps as an Herbal Drug. In: Benzie IFF, Wachtel-Galor S, editors. Herbal Medicine: Biomolecular and Clinical Aspects. 2nd edition. Boca Raton (FL): CRC Press/Taylor & Francis; 2011. Chapter 5.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92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