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증식 주기는 복잡하면서 흥미롭다. 반생물인 바이러스는 세포가 없으며 스스로 증식할 수도 없다. 바이러스가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유기체 세포 안에서 복제해야 하며 목적을 이루면 그 세포를 파괴해버린다.
바이러스 증식 형태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형태는 다음 두 가지다.
- 용균성 생활사
- 용원성 생활사
용균성 생활사는 숙주 세포에 침입하자마자 유전 물질을 바꾸고 빠르게 숙주 세포를 파괴하는 방식을 말한다.
반대로 용원성 생활사는 숙주 세포의 DNA에 침투하여 감염한 세포와 비슷한 구조로 자신을 바꾸고 숨기 때문에 조용히 개체 수를 늘릴 수 있다.
바이러스 증식 단계
바이러스는 핵산과 단백질로만 구성되어서 매우 작은 크기의 반생물이라는 사실을 기억하자. 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생명체나 무생물로 구분하지 않지만 증식과 유전적 변이 같은 생명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는 하다.
바이러스는 유전 물질과 그 물질을 거의 항상 둘러싸고 있는 단백질과 당분 껍질로 구성된다. 숙주 세포를 발견한 바이러스는 세포핵까지 침입하여 편의대로 이용하면서 개체 수를 늘린다.
더 읽어보기: 바이러스가 진화하는 방법
바이러스 흡착 및 침입 단계
바이러스 증식 첫 단계에서 바이러스는 물리적인 충돌을 거쳐서 감염할 숙주 세포에 붙는다. 흡착 과정은 본인 또는 타인의 재채기 같은 과정을 거쳐 임의로 발생한다.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의 수용체 자리에 붙으면 그다음 단계인 침투를 진행한다. 침투당한 숙주 세포는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과 융합 또는 상호 작용을 한다.
숙주 세포가 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막이 깨지는 순간을 놓치지 않고 바이러스는 마치 주사하듯 유전 정보를 침투시킨다.
바이러스 증식 및 조합 단계
바이러스가 침입한 숙주 세포를 장악한 후에는 개체 수 증식이 가능하다. 증식은 바이러스 스스로 유전 물질을 복제하면서 발생하는데 이때 새로운 바이러스가 탄생하기도 한다.
바이러스는 그 종류만큼 다양한 방식으로 증식하며 필요한 성분을 조합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성분 조합 방식이 달라지면 기존 바이러스와 전혀 다른 종류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방출 단계
마지막 단계인 방출은 세포외에서 발생한다. 새로 생긴 바이러스는 숙주를 찾아서 이동하고 같은 증식 방법으로 개체 수를 늘린다.
숙주 세포의 막이 찢어지면서 완전한 바이러스 입자가 방출될 수도 있다. 지질막이 있는 바이러스는 출아법으로 방출되는데 출아법이란 세포막외에 바이러스가 형성되어 숙주 세포 전체를 감싸는 방식을 뜻한다.
이미 설명했듯이 증식 마지막 단계에서 바이러스는 세포막을 찢고 숙주 세포를 파괴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더 많은 세포를 감염하는 것이다.
계속 바이러스를 처리하면서 숙주의 면역체계가 손상되면 면역력을 높이는 약물을 먹어야 한다. 약물치료로도 면역체계가 회복하지 않으면 감염이 악화되어 사망까지 이를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코로나19와 알레르기, 감기의 차이점
바이러스 증식 주기를 왜 알아야 할까?
바이러스 증식 주기를 알면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실적으로 항바이러스제가 많지 않으니 바이러스 증식 예방이 무척 중요하다. 바이러스성 질환은 감기처럼 가벼운 종류부터 AIDS나 코로나 19처럼 심각한 종류가 있기 때문이다.
바이러스 증식에 관해 정확히 알아야만 해당 백신과 약 같은 적절한 치료법을 발견하고 현명하게 병에 대처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Gomez-Lucia, E., Doménech, A., Benítez, L., Prieto, C., Simarro, I., & LePoder, S. (2019). Virus animales, su transmisión y enfermedades que producen, un MOOC para todos. VetDoc. Revista de Docencia Veterinaria, 3, 39-40.
- Vílchez, Glenda, and Guillermina Alonso. “Alcances y limitaciones de los métodos de epidemiología molecular basados en el análisis de ácidos nucleicos.” Revista de la Sociedad Venezolana de microbiología 29.1 (2009): 6-12.
- Mora, Nancy J., and Julieta Farina. “Propuesta de enseñanza del modelo de membrana celular basada en un modelo analógico y teatralización.” Revista d’innovació docent universitària: RIDU 11 (2019): 4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