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에서 가장 긴 근육, 넙다리 빗근

넙다리 빗근을 통해 다리를 굽히거나 안쪽으로 회전하는 동작과 같은 기본적인 다리 움직임을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이른바 '거위발'의 일부인 이러한 해부학적 구조에 어떤 손상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신체에서 가장 긴 근육: 넙다리 빗근

허벅지의 일부인 넙다리 빗근은 많은 사람이 들어본 적 없지만 신체에서 가장 긴 근육이다. 사람들은 가장 긴 근육이 대퇴근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제로 넙다리 빗근 길이가 더 길다.

이러한 근육의 주된 기능 중 하나는 바로 굽힘 동작이다. 이러한 근육의 배열을 통해 자리에 앉아 다리를 꼬는 것과 같은 특정한 자세를 할 수 있다. 문제는 다른 근육과 마찬가지로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며, 하반신의 모든 이동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넙다리 빗근은 무엇일까?

앞서 언급했듯이, 넙다리 빗근은 허벅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근육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장골극의 상부 및 전방 부위에서 시작되어 정강이뼈의 상부 부위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 교차한다.

정강이뼈에서는 가장 안쪽 부위와 위쪽 부위에 삽입된다. 대퇴골의 내측과를 지나 삽입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허벅지를 따라 이어지는 일종의 곡선 근육이다. 넙다리 빗근에 연결된 가장 끝부분은 실제로 힘줄이다.

이는 소위 거위발의 일부이며, 반힘줄근, 내측 직근 및 넙다리 빗근의 말단 힘줄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부위는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부상에 매우 취약하다.

일부 사람들의 경우, 넙다리 빗근이 있는 정상적인 위치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관련 정보는 <Chilean Magazine of Anatomy>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에 기재되어 있다. 의료 전문가는 특히 수술이나 치료를 할 때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넙다리 빗근은 신체에서 가장 긴 근육이다. 골반에서 무릎으로 이어질 때 특정한 곡선에서 중간 키의 성인의 경우 약 55cm로 측정된다. 심지어 60cm에 도달할 수도 있다.

넙다리 신경은 신경 분포를 수행한다. 또한 넓적다리 동맥이 이를 통과하여 산화된 혈액을 다리의 가장 말단 부위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신체에서 가장 긴 근육인 넙다리 빗근은 무엇일까

55~60cm 길이의 넙다리 빗근은 신체에서 가장 긴 근육이다.

넙다리 빗근의 기능

스페인 왕립아카데미에서 설명했듯이, 넙다리 빗근의 영어 단어인 ‘sartorius’는 재봉사를 의미하는 라틴어인 sartor에서 유래되었다. 그 이름은 무작위로 지어진 것이 아니라, 고대 재봉사의 전형적인 자세인 다리를 꼬는 동작을 넙다리 빗근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붙여졌다.

넙다리 빗근은 횡문 유형의 골격근이다. 다시 말해, 평활근과 달리 자신의 의지로 수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활근은 소화계의 일부이며 무의식적으로 수축한다.

넙다리 빗근의 주된 기능은 다리 굴곡이다. 근육의 배열을 상상해 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근육을 수축하면 하부 다리를 엉덩이 쪽으로 위로 당길 수 있다. 또한 엉덩이를 바깥쪽으로 회전하거나 무릎을 구부리는 것과 같은 다른 움직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다리의 내부 회전이나 거상의 일부이기도 하다.

넙다리 빗근 통증의 주된 원인

다른 근육군과 마찬가지로, 넙다리 빗근의 통증은 일반적으로 외상성 손상이나 지나친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또한 부기, 발적, 민감도 증가와 같은 다른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외상성 손상은 근육 부위에 대한 직접적인 타격으로 발생하는 문제로, 장골극 또는 중앙 및 안쪽 허벅지에 타격을 가하면 이러한 통증이 있을 수 있다. 거위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외상이 거위발에 영향을 미치면 주변 근육에 손상을 가해 다른 동작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실제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은 외상성 통증이나 손상은 힘줄염이나 활액낭염과 관련된 손상만큼 흔하지 않다.

더 읽어보기: 거위발 건염의 증상 및 치료

거위발 힘줄염 및 활액낭염

힘줄염은 일부 힘줄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이다. 다리를 절뚝이거나, 내부에서 통증이 느껴지거나, 통증이 심하면 다리를 움직이지 못할 수도 있다.

한편 활액낭염은 활액낭에 염증이 생긴 상태이다. 다른 관절의 윤활막과 마찬가지로, 체액으로 가득 찬 구멍이다. 이는 뼈와 힘줄 사이의 마찰을 완충하여 움직임 중 발생하는 손상을 줄인다.

힘줄염과 활액낭염 모두 운동선수에게 매우 흔히 발생하는 부상이다. 특히 달리기 선수나 이러한 무릎 부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운동을 하는 사람은 더 그렇다.

과도한 노력 또는 훈련 부족으로 인한 부상

과도한 노력은 근육에 긴장이나 지나친 힘을 가하는 훈련을 할 때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일부 섬유가 찢어질 수 있다. 과도한 노력은 흔히 훈련 부족과 관련이 있다.

넙다리 빗근 통증의 다른 원인

흔하지는 않지만, 석회화로 인해 넙다리 빗근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Semergen-Family Medicine>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석회화는 과거에 발생한 외상에서 비롯된다.

넙다리 빗근 강화

넙다리 빗근을 강화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우선 근력 운동은 미적 수준뿐 아니라 건강 수준에서도 수많은 이점을 선사한다. 예를 들면 신진대사의 속도를 높이고, 휴식을 취할 때 더 많은 칼로리를 연소하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다리 근육은 전체 체중을 지탱하며, 우리가 자연스럽게 걷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넙다리 빗근은 다리를 구부리고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몸을 굽히고 싶을 때 필수적이다.

따라서 의사는 건강한 사람에게 하체 근력 운동을 할 것을 권장한다. 헬스장에서든 집에서든 이러한 근육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운동이 있다. 그중 한 가지를 꼽자면 스쿼트가 있다.

스트레칭도 또 다른 필수적인 기둥이다. 넙다리 빗근의 경우, 근육을 스트레칭하려면 다리를 반대 위치로 옮겨야 한다. 스트레칭을 할 때는 위험한 물체가 없는 안전한 바닥에 눕는 것이 좋다. 위쪽 다리를 쭉 펴고 엉덩이를 안쪽으로 회전해야 한다.

더 읽어보기: 스트레칭을 위한 최고의 동작

신체에서 가장 긴 근육: 넙다리 빗근

넙다리 빗근에 외상이 발생하면 근육이 부어 올라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병원 방문

다른 근육과 마찬가지로, 넙다리 빗근에 불편함이 느껴지면 전문가와 상담을 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증이나 불편함이 사라지도록 그대로 방치한다면 힘줄염과 같은 병리로 이어질 수 있다.

허벅지 아래에 플라스틱 소재로 된 작은 운동용 롤러를 놓고 움직이면 긴장을 없앨 수 있다. 이처럼 유용한 도구는 여러 스포츠 용품 매장에서 구할 수 있다. 롤러를 바닥에 놓고 위로 올라간 뒤 허벅지를 눌러가면서 롤러를 굴려 보자.

끝으로 넙다리 빗근을 자주 강화하고 스트레칭해야 한다는 점도 꼭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면 과도한 노력이나 훈련 부족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Sánchez, J. Á. S., González, E. B., Alonso, J. G., & Martín, L. S. (2007). Post-traumatic dystrophic calcification isolated from the sartorius muscle. Semergen, 33(6), 315–317. https://doi.org/10.1016/S1138-3593(07)73903-5
  • sartorio | Definición |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 RAE – ASALE. (n.d.). Retrieved November 21, 2020, from https://dle.rae.es/sartorio
  • Garbelotti, J. S., Rodrigues, C. F. S., Nobeschi, L., Seiji, F., & Olave, E. (1999). VARIACION ANATOMICA DEL MUSCULO SARTORIO. Revista Chilena de Anatomía, 17(1), 95–97. https://doi.org/10.4067/s0716-98681999000100014
  • Rodríguez, Álvaro López, and Federico del Castillo González. “Anatomía e histología de músculos y tendones.” lesiones músculo-tendinosas: 11.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