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하통과 연하곤란은 일련의 음식 섭취 관련 문제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 두 개념에는 오늘 이 글 전체에서 논의하겠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많은 사람이 두 용어를 혼동하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실제로 이 둘에 관해 더 많이 알게 되면 연하통과 연하곤란이 서로 관련이 있기는 해도 얼마나 다른지 깨닫게 될 것이다.
연하통이란?
먼저 연하통(odynophagia)의 개념에 대해 논의해 보자. 연구 위 식도 역류 질환이 올바르게 지적했듯이, 이는 사람들이 음식물을 삼킬 때 발생하는 통증(고형 음식, 액체 또는 타액)을 나타낸다. 그 특성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가벼운 통증: 상황에 따라 증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매우 가볍다.
- 만성: 어떤 경우에는 삼키는 동안 통증이 만성화되어 치료해야 하는 심각한 질병을 암시할 수 있다.
- 동시 수축: 해당 부위의 근육이 수축하여 통증을 유발한다.
원인
연하통은 일반적으로 인후염, 편도선염 또는 인후 부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감염과 같은 질병의 결과 때문에 나타난다. 하지만 연하통의 원인이 해결되면 이는 사라진다.
이는 이 고통스러운 삼킴이 만성화되는 다른 상황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어쩌면 중대한 문제, 예를 들어 궤양과 같은 문제에 대한 경고 신호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공연히 걱정하기 전에 위에서 언급한 증상 중 하나가 있으면 의사를 만나 문제를 배제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끈적한 타액은 왜 생길까
연하곤란은 무엇일까?
이제 연하통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되었으니 연하곤란(Dysphagia)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연하곤란의 경우 고체 음식과 액체 음식을 모두 삼키기 어렵다.
사실 음식은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목에 닿기 전에 여행을 멈춘다. 때때로 연하곤란 환자는 음식을 씹는 데 어려움을 겪어 일반적으로 “덩이” 또는 “덩어리”라고 하는 것을 형성할 수 있다.
연하곤란의 증상 중 일부는 연하통의 증상과 일치한다.
- 삼키는 고통(연하통): 이는 음식이나 음료가 정상적인 여행을 할 수 없는 이유다.
- 구체 감각: 이는 뻣뻣하고 단단한 인후 근육의 감각으로 인후가 좁아지는 불안증의 증상이다.
- 쉰 목소리: 이는 해당 부위의 근육 수축 때문이다.
- 역류: 삼키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이 입으로 다시 나오게 된다. 따라서 목을 통과하지 못한다.
- 구토: 삼키기 어려움 및 연하곤란이 유발하는 역류 때문이다.
원인
연하곤란의 원인 중 일부는 이완불능증(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희소 질환), 식도염(음식 알레르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 또는 해당 부위에 있는 종양의 존재다.
또한, 이러한 증상으로 의사를 찾아가면 의사는 가장 먼저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할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는 음식 조각이 이 불쾌한 문제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목 통증을 완화하는 자연 치유법
연하통과 연하곤란을 예방하는 방법
이제 연하통과 연하곤란의 차이점을 살펴보았으므로 증상이 비슷해 보이더라도 이를 예방하는 방법을 아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은 음식을 잘 씹고 삼키기 어려운 지나치게 많은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또한, 가능한 한 건강을 유지하고 이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인두염이나 기타 감염을 피하려면 좋은 습관을 지녀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것이 정상인지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의사를 만나는 것의 중요성을 빼놓을 수 없다. 궤양, 위식도 역류 또는 암을 조기에 발견하면 오랫동안 연하통과 연하곤란을 겪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amarero González, E. (2009). Consecuencias y tratamiento de la disfagia. Nutrición Hospitalaria, 2(2).
- Cedrón Cheng, Hugo, Tagle Arróspide, Martín, & Scavino Levy, Yolanda. (2008). Odinofagia como presentación inicial de esofagitis eosinofílica. Revista de Gastroenterología del Perú, 28(3), 270-273. Recuperado en 31 de enero de 2019, de http://www.scielo.org.pe/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022-51292008000300010&lng=es&tlng=es.
- FICA C., ALBERTO. (2003). Síndrome de mononucleosis infecciosa en pacientes adolescentes y adultos. Revista chilena de infectología, 20(4), 235-242. https://dx.doi.org/10.4067/S0716-10182003000400003
- Suárez-Escudero, J. C., Rueda Vallejo, Z. V., & Orozco, A. F. (2018). Disfagia y neurología:¿ una unión indefectible?. Acta Neurológica Colombiana, 34(1), 92-100.
- Anales Sis San Navarra vol.26 no.2 Pamplona may./ago. 2003. Enfermedad por reflujo gastroesofágico.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137-66272003000300008
- Rev. amer. med. respiratoria vol.12 no.3 CABA set. 2012. Evaluación y tratamiento de las alteraciones de la deglución. http://www.scielo.org.ar/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852-236X2012000300004
- MedlinePlus. Deglución dolorosa. https://medlineplus.gov/spanish/ency/article/003116.htm
- Manual Merck. Dificultad para tragar. https://www.merckmanuals.com/es-pr/hogar/trastornos-gastrointestinales/s%C3%ADntomas-de-los-trastornos-digestivos/dificultad-para-trag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