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하통과 연하곤란은 일련의 음식 섭취 관련 문제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 두 개념에는 오늘 이 글 전체에서 논의하겠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많은 사람이 두 용어를 혼동하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실제로 이 둘에 관해 더 많이 알게 되면 연하통과 연하곤란이 서로 관련이 있기는 해도 얼마나 다른지 깨닫게 될 것이다.
연하통이란?
먼저 연하통(odynophagia)의 개념에 대해 논의해 보자. 연구 위 식도 역류 질환이 올바르게 지적했듯이, 이는 사람들이 음식물을 삼킬 때 발생하는 통증(고형 음식, 액체 또는 타액)을 나타낸다. 그 특성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가벼운 통증: 상황에 따라 증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매우 가볍다.
- 만성: 어떤 경우에는 삼키는 동안 통증이 만성화되어 치료해야 하는 심각한 질병을 암시할 수 있다.
- 동시 수축: 해당 부위의 근육이 수축하여 통증을 유발한다.
원인
연하통은 일반적으로 인후염, 편도선염 또는 인후 부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감염과 같은 질병의 결과 때문에 나타난다. 하지만 연하통의 원인이 해결되면 이는 사라진다.
이는 이 고통스러운 삼킴이 만성화되는 다른 상황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어쩌면 중대한 문제, 예를 들어 궤양과 같은 문제에 대한 경고 신호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공연히 걱정하기 전에 위에서 언급한 증상 중 하나가 있으면 의사를 만나 문제를 배제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끈적한 타액은 왜 생길까
연하곤란은 무엇일까?
이제 연하통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되었으니 연하곤란(Dysphagia)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연하곤란의 경우 고체 음식과 액체 음식을 모두 삼키기 어렵다.
사실 음식은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목에 닿기 전에 여행을 멈춘다. 때때로 연하곤란 환자는 음식을 씹는 데 어려움을 겪어 일반적으로 “덩이” 또는 “덩어리”라고 하는 것을 형성할 수 있다.
연하곤란의 증상 중 일부는 연하통의 증상과 일치한다.
- 삼키는 고통(연하통): 이는 음식이나 음료가 정상적인 여행을 할 수 없는 이유다.
- 구체 감각: 이는 뻣뻣하고 단단한 인후 근육의 감각으로 인후가 좁아지는 불안증의 증상이다.
- 쉰 목소리: 이는 해당 부위의 근육 수축 때문이다.
- 역류: 삼키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이 입으로 다시 나오게 된다. 따라서 목을 통과하지 못한다.
- 구토: 삼키기 어려움 및 연하곤란이 유발하는 역류 때문이다.
원인
연하곤란의 원인 중 일부는 이완불능증(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희소 질환), 식도염(음식 알레르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 또는 해당 부위에 있는 종양의 존재다.
또한, 이러한 증상으로 의사를 찾아가면 의사는 가장 먼저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할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는 음식 조각이 이 불쾌한 문제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목 통증을 완화하는 자연 치유법
연하통과 연하곤란을 예방하는 방법
이제 연하통과 연하곤란의 차이점을 살펴보았으므로 증상이 비슷해 보이더라도 이를 예방하는 방법을 아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은 음식을 잘 씹고 삼키기 어려운 지나치게 많은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또한, 가능한 한 건강을 유지하고 이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인두염이나 기타 감염을 피하려면 좋은 습관을 지녀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것이 정상인지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의사를 만나는 것의 중요성을 빼놓을 수 없다. 궤양, 위식도 역류 또는 암을 조기에 발견하면 오랫동안 연하통과 연하곤란을 겪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Camarero González, E. (2009). Consecuencias y tratamiento de la disfagia. Nutrición Hospitalaria, 2(2).
- Cedrón Cheng, Hugo, Tagle Arróspide, Martín, & Scavino Levy, Yolanda. (2008). Odinofagia como presentación inicial de esofagitis eosinofílica. Revista de Gastroenterología del Perú, 28(3), 270-273. Recuperado en 31 de enero de 2019, de http://www.scielo.org.pe/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022-51292008000300010&lng=es&tlng=es.
- FICA C., ALBERTO. (2003). Síndrome de mononucleosis infecciosa en pacientes adolescentes y adultos. Revista chilena de infectología, 20(4), 235-242. https://dx.doi.org/10.4067/S0716-10182003000400003
- Suárez-Escudero, J. C., Rueda Vallejo, Z. V., & Orozco, A. F. (2018). Disfagia y neurología:¿ una unión indefectible?. Acta Neurológica Colombiana, 34(1), 92-100.
- Anales Sis San Navarra vol.26 no.2 Pamplona may./ago. 2003. Enfermedad por reflujo gastroesofágico.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137-66272003000300008
- Rev. amer. med. respiratoria vol.12 no.3 CABA set. 2012. Evaluación y tratamiento de las alteraciones de la deglución. http://www.scielo.org.ar/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852-236X2012000300004
- MedlinePlus. Deglución dolorosa. https://medlineplus.gov/spanish/ency/article/003116.htm
- Manual Merck. Dificultad para tragar. https://www.merckmanuals.com/es-pr/hogar/trastornos-gastrointestinales/s%C3%ADntomas-de-los-trastornos-digestivos/dificultad-para-trag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