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알러지는 환경의 오염물질에 알러지가 있는 사람의 기관지에 염증이 생기면서 발생하는 증상이다. 밀집된 환경 오염물은 천식의 급성 발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천식과 봄 알러지는 어떤 연관이 있을까?
천식과 봄 알러지의 차이점
천식과 알러지 이 두 질환은 연관되어 있다. 오염물과 같은 알러지 유발 항원(알레르겐)은 천식 환자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
하지만 문제는 이것이 천식의 주 원인 중 하나라는 점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질환이 있는 있는 사람들에게 천식 발작을 촉발한다는 점도 문제이다.
‘천식’과 ‘알러지’라는 용어를 혼동해서도 안된다.
- 천식은 기관지의 부종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이다. 이것은 기관지가 자극을 받고 좁아지며 호흡을 어렵게 만든다.
- 반면, 알러지는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보통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다양한 물질에 대한 면역 반응이다.
천식의 발생
- 천식은 흔한 질환이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주요한 공공 보건 문제로 여겨진다.
- 이것이 어린 아이들에게 있어서 가장 흔한 질환이기 때문에 15세 이하의 어린이들에게 나타날 위험이 크다.
- 게다가 알러지로 인한 천식은 성인보다 어린이에게 더 흔하다.
치료의 중요성
천식 환자는 특히 봄에 필요한 예방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무엇보다도 오염물로 인해 이 시기에 나타나는 알러지에 대비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약이 천식이 있는 사람들의 삶을 방해해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환자들은 일상 생활에 맞도록 이런 약물의 양에 적응해야만 한다.
가장 흔한 치료 형태인 흡입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쉽게 볼 수 있다. 동시에 대부분의 최신 기종들은 천식 환자가 흡입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흡입기 사용이 더 쉽고 간단하다.
봄 알러지와 천식을 조절하기 위한 팁
살고 있는 지역이나 가려고 계획 중인 지역의 오염물 수준 예상치를 알아 보아야 한다.
천식과 봄 알러지가 잘 발생하는 사람들은 오염물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하므로 야외나 공원 등에 가는 것을 최소화 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밖에서 보내는 시간을 제한해야 하는데, 특히 해당 시기에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알러지 항원이 많은 환경에서는 특히 더 그렇다.
오염물 수준이 높을 때는 콘택트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또한 집을 환기시켜야 한다. 오염물이 집에 들어오는 위험이 가장 큰 때는 땅거미가 질 무렵이다.
차량과 에어컨의 오염물 필터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으며 잘 작동되고 있는지도 확인하자.
천식 진단
천식은 세부적인 호흡기 기능 검사로 진단할 수 있으며, 의사가 공기 흐름의 막힘을 분석할 것이다.
이런 검사 중에는 호흡기 기능, 기관지 확장, 기관지 유발 검사에 더해 피부 검사 및 분석, 혈액 내 알러지 유발 요소 검사 등이 있다.
천식 치료
천식을 치료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천식 발작을 유발하는 촉발 요인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알러지 항원의 접촉을 피하라.
천식이 있는 사람들은 천식 발작이 유발하는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대증 약물이라고 불린다.
이런 약물은 질병의 원인을 없애는 것은 아니지만,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두 가지 종류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 만성 천식을 위한 약은 포도당 염증을 완화하고 천식 발작을 방지한다.
- 급성 봄 알러지 발작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약물도 있는데, 여기에는 코르티코이드, 기관지 확장제, 테오필린 등이 있다.
알러지와 면역 치료 백신
백신은 환자에게 알러지 항원을 계속해서 주입해서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 항원에 대한 민감성을 줄이고, 없애기 위함이다.
- 이것은 향후의 천식 반응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한다.
- 치료에는 대부분의 경우 3-5년이 걸린다.
- 면역 치료는 오염물, 먼지, 진드기, 동물 상피 혹은 특정 곰팡이균 때문에 생기는 알러지성 천식을 완화한다.
- 세계보건기구는 이 치료를 알러지와 천식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인정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Jareño Esteban, J. J., Cisneros Serrano, C., García-Salmones Martín, M., López Viña, A., & Melero Moreno, C. (2009). Asma bronquial. Revista de Patologia Respiratoria. https://doi.org/10.1016/S1576-9895(09)70063-3
- Aguarón Pérez J et al. (2009). Gema 2009. Guía española para el manejo del asma. Área de Asma SEPAR. https://doi.org/10.1016/S0300-2896(15)32812-X
- OMS. (2013). OMS | Asma. WHO. https://doi.org/10.1007/s12467-016-0003-y
-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2015).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Global Obstructive Lung Disease. https://doi.org/10.1097/00008483-200207000-00004
- Vargas-Becerra, M. (2009). Epidemiología del asma. Neumología y Cirugía de Tór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