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결절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성대에 위치한 양성적인 성장이다. 장기간 과도하게 목소리를 사용한 결과로 나타난다.
이 질환의 성장과 발병은 염증으로부터 시작하여 딱딱하게 굳은 뒤 혹으로 변한다. 가능한 한 빨리 이 질병을 발견하고 치료를 받으려면 성대결절의 증상을 인지하는 것이 결정적이다.
성대결절의 원인
- 소리를 지르기
- 과도한 목구멍 청소
- 만성 기침
- 목소리 변조
- 말을 너무 많이 하기
- 부자연스러운 톤으로 노래하기
과도한 성대 사용과 관련된 모든 것들은 점진적인 부상을 일으킨다. 이는 염증을 유발하며 최종적으로는 성대결절이 발생한다.
가장 흔한 성대결절 증상
1. 허스키한 목소리
음성의 강도가 낮아지면 목소리가 살짝 혹은 매우 허스키하게 들릴 수 있다. 산소를 잘 조절하지 못해 문장을 끝마치기도 전에 산소를 다 쓰거나 말을 할 때 산소가 충분하지 않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2. 목소리가 닳은 느낌
성대결절 환자들은 인두 및 후두가 건조해서 목구멍을 청소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3. 목 근육 긴장
탈수부터 과체중, 나쁜 자세,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인들이 근육 긴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증상은 영향을 받은 부위의 근육이 막혀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문제이다.
성대결절이 있는 사람은 목 주변 부위가 매우 당기는 느낌이 들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두통 및 기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관련 글: 목 통증에 대한 5가지 천연 요법
4. 기침
성대결절이 생기면 인두에 이물감이 박힌 느낌이 들 수 있다. 기침 또한 매우 고통스러워질 수 있다. 짧은 시간 동안 지속적해서 기침을 한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5. 목소리 및 신체의 피로감
신체가 있는 힘껏 노력 해야 할 때면 피로는 당연히 이를 뒤 따라온다. 음성이 고갈되면 피로감이 나타난다.
성대결절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
성대결절 진단
2~3주가 지나도 쉰 목소리가 지속된다면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성대결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병력, 신체검사 및 의사와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의사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진행할 수도 있다.
- 신경학적 검사
- 이비인후과 의사(목구멍, 코, 귀 의학에 전문적인 의사)가 실시한 검사
- 언어 병리학 또는 치료사가 실시하는 음성 검사.
- 의사는 성대 움직임을 검사하기 위해 간헐적인 빛을 사용한 후두경 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성대결절 치료
성대결절 치료는 적절한 목소리 관리 단계, 의약품 또는 수술 등이 있을 수 있다.
외과 수술
수술은 성대에 생긴 혹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된다. 혹이 매우 크거나 생긴 지 오래되었을 때 이 수술을 받게 된다.
약물 치료
일부 경우에는 성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약물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치료제에는 위식도역류, 알레르기 및 갑상선 치료제가 포함된다.
목소리 관리
이 치료법은 성대를 남용하지 않고 건강한 음색 및 음량을 사용하며 듣기 좋은 목소리를 위해 호흡을 하고 적절한 구강 위생에 대해 배우는 것으로 구성된다.
기타 치료법
- 성대를 완전하게 쉬도록 하자.
- 혹이 작거나 굳지 않은 경우에는 항염증 스테로이드로 치료할 수 있다.
- 성대의 기능을 회복하고 결절이 다시 생기지 않도록 음성 운동을 해보자.
성대결절 예방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목소리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말자.
- 직업이 가수, 교사, 방송 진행자 등이라면 목소리를 쉴 시간이 필요하다.
- 자신감 있고 차분하게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말하기 기술을 배워보자.
- 어린 나이 때부터 성대에 긴장이 생기면 문제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부모는 아이들에게 적절한 방법으로 목소리를 사용하는 기술을 가르쳐야 한다.
- 비강 및 인후 자극 및 해로운 습관은 제거하는 것이 좋다.
- 의심스러운 점이 있다면 의사와의 상담을 예약해보자. 아프지 않고 간단한 검사만으로도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주요 이미지 제공 : http://wikihow.com/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Gereige, R., & Cunill-De Sautu, B. (2011). Throat Infections. Pediatrics in Review. https://doi.org/10.1542/pir.32-11-459
- Altman, K. W. (2007). Vocal Fold Masses.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https://doi.org/10.1016/j.otc.2007.05.011
- Johns, M. M. (2003). Update on the et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f vocal fold nodules, polyps, and cysts.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and Head and Neck Surgery. https://doi.org/10.1097/00020840-200312000-00009
- Naunheim, M. R., & Carroll, T. L. (2017). Benign vocal fold lesions.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https://doi.org/10.1097/MOO.0000000000000408
- Thompson, L. D. R. (2013). Larynx: Nodules and polyps. Ear, Nose and Throat Jour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