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인체

조산의 징후와 증상

조산은 아기 생명을 위험하게 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 글에서는 조산의 징후와 증상에 대해 소개한다. 조산 징후가 있다면 빨리 병원에 가서 응급 조치를 하자. 

조산의 징후와 증상을 식별할 줄 아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아기가 저체중 상태로 태어나는 것은 아기 건강에 매우 위험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조산의 징후와 증상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아기가 임신 37주 이전에 태어나는 것이 조산이다. 나아가 34주 전에 태어나면 아기의 몸이 손상될 위험이 커져 이때 태어난 아기의 75%가 사망한다.

조산의 위험 요인

조산의 징후와 증상

임신 한 여성 중 모두가 조산 위험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서 주의해야할 조산 징후 및 증상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한다.

  • 조산 가족력: 가족 중 누군가가 조산을 했다면 조산할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더 신경써야 한다.
  • 쌍둥이 임신: 쌍둥이를 임신한 경우 조산 위험이 커진다. 쌍둥이를 임신 했다면 더 신경써서 태아를 관찰해야 한다.
  • 정상 체중 미만: 산모가 체중 관리를 하면 태아가 정상 체중 미만으로 태어나기 쉽다. 의사의 지시를 따르는 게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 요로 감염: 임신 중에 요로가 감염 되면 조산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신경써서 관찰해야 한다.

그 외 조산과 관련된 위험도 많다. 임산부가 흡연을 하는 경우나 양수의 양에 변화가 생긴 경우, 고혈압 병력이 있는 경우가 그렇다. 

더 읽어보기 : 임신 중에 피해야 할 11가지 습관

조산의 징후 및 증상

출산이 가까워졌다는 것을 말해주는 징후가 있다. 이런 징후가 나타나면 바로 응급실에 가보아야 한다.

  • 양수 터짐: 양수가 터졌으면 바로 병원에 가야한다. 양수가 터졌다는 것은 양막이 부러졌다는 뜻이다.
  • 자궁 수축: 규칙적으로, 10분에 한 번씩 자궁 수축이 있으면 곧 출산하게 된다는 뜻이다. 
  • 자궁 경련: 자궁 수축은 경미하지만 자궁에 통증이 있을 수 있다. 이 통증은 복통과 비슷해서 헷갈리기 쉽다. 특히 설사를 하는 경우 더 그렇다.
  • 질 분비물 변화: 질 분비물의 색깔 변화를 포함해 양이나 질감에 변화가 있다면 바로 병원에 가보아야 한다.

조산 위험이 있고 위에서 언급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결코 그냥 넘겨서는 안 된다. 아기가 눌린 것처럼 생식기에 요통이나 압박감이 생기는 것도 곧 분만할 때라는 것을 말해주는 신호이다.

더 읽어보기 : 출산 가방에 챙겨 가야 할 6가지

조산의 위험

조산의 징후와 증상

임산부는 건강 검진을 받으면 조산 관련 위험성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런 증상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조산을 하면 사망률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뒤늦게 후회하게 되는 일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어떤 증상이 있을 때 바로 병원에 가보아야 한다.

또 아기가 완전히 자라지 않아서 생기는 건강 문제도 예방할 수 있다. 조산 위험이 있는 산모는 담배를 피우지 말고, 충분히 휴식하며 건강 체중을 유지하는 게 좋다.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모두 다 해야 한다.

이 글에서 조산의 징후와 증상에 대해 이해했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조산 위험이 있다면 특히 더 신경써서 어떤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바로 병원에 가보도록 하자.

조산아는 바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경미한 요통이 있거나 자궁 내 압력이 느껴지거나 분비물에 변화가 생기면 바로 산부인과에 가보도록 하자. 

언제나 뒤늦게 후회하는 것보다 미리 예방하는 게 안전하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Laterra, C., Andina, E., & Di Marco, I. (2003). Guía de prácticas clínicas. Amenaza de parto prematuro. Revista del Hospital Materno Infantil Ramón Sardá22(1).
  • Ovalle, Alfredo, Kakarieka, Elena, Rencoret, Gustavo, Fuentes, Ariel, del Río, María José, Morong, Carla, & Benítez, Pablo. (2012). Factores asociados con el parto prematuro entre 22 y 34 semanas en un hospital público de Santiago. Revista médica de Chile140(1), 19-29.
  • Pohlmann, Flávia Conceição, Kerber, Nalú Pereira da Costa, Viana, Jackeline da Silva, Carvalho, Vanessa Franco de, Costa, Carolina Coutinho, & Souza, Catharine Silva de. (2016). Parto prematuro: enfoques presentes en la producción científica nacional e internacional. Enfermería Global15(42), 386-397. Recuperado en 31 de marzo de 2019, de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695-61412016000200014&lng=es&tlng=es.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