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행복한 관계를 위해 집을 다시 디자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아이디어는 결코 우리의 머릿속에 떠오르지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은 집안 디자인이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더 행복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몇 가지 팁을 살펴보자.
‘신경건축학(neuroarchitecture)’이라는 용어가 익숙하게 들리는가? 많은 연구가 이 개념에 관해 더 많은 사실을 밝히고 있지만 아마 들어보지 못했을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집안 디자인이 감정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신경건축학의 원리
부부 모두의 웰빙을 보장하는 기능적인 집을 설계하려면 각자의 습관을 고려해야 한다.
더 행복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집을 다시 디자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신경건축학의 원리를 알아야 한다. 그렇다면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프라이버시, 재질 및 색상, 창문 및 조명, 가구 및 디자인과 같은 중요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상황에 대한 사전 분석을 수행하는 게 중요하다. 예를 들어, 두 파트너가 집에서 일하는 경우 조명이 중요한 측면이 될 것이다. 신경건축학에 따르면 조명이 밝은 공간은 사람들의 생산성을 높여준다고 한다.
더 읽어보기: 유해 성분을 따져봐야 하는 집안 물품
더 행복한 관계를 위해 집을 재디자인하기
이제 신경건축학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되었으니 더 행복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집을 다시 디자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이를 위해 반영해야 할 몇 가지 문제를 공유하고 필요한 사항에 따라 하나 또는 다른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친밀감 회복
친밀감을 주는 요소를 찾아보자. 이렇게 하면 친밀한 순간을 선호하게 된다.
관계에서 친밀감이 없다는 건 파트너와 수년 동안 함께 했다면 걱정할 만한 일이다. 성관계도 더는 빈번하지 않으며 조금씩 서로가 멀어지고 있는 것 같다. 이 상황이 심각하다고 생각된다면 상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집을 다시 디자인할 수도 있다.
이때 가장 먼저 집중할 수 있는 건 조명이다. 함께 시간을 보낼 때는 조명을 어둡게 하자. 어두운 조명은 친밀감을 높이기 때문이다. 또한, 양초를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양질의 시간을 함께 보내는 게 좋다.
더 적은 다툼
어쩌면 “어리석은” 다툼을 끝내려는 특정 목표를 위해, 더 행복한 관계를 갖기 위해 집을 다시 디자인하기 원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감정적 실수나 의사소통 문제 때문일 수 있지만, 우리는 웰빙을 위해 환경을 바꿀 수 있다. 이렇게 하려면 창문에 초점을 맞춰보자.
- 자연광을 차단하는 커튼을 제거하자.
- 깨끗한 풍경을 보려면 창문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게 필수적이다.
- 창문이 많이 없거나 전망이 좋은 창문이 없는 경우 눈에 잘 띄는 집안 내 공간에 풍경 그림을 걸어둘 수 있다.
- 날씨가 맑으면 햇빛이 들어오게 하자.
더 편안한 공간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조용하고 편안한 공간을 만들자.
더 행복한 관계를 갖기 위해 집을 다시 디자인하고 싶다면 위에서 말한 부분 외에도 분명 더 편안한 집을 원할 것이다. 편안함은 곧 웰빙으로 이어지며 이는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이를 위해 다음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실내에 식물을 추가하면 집이 더 편안하고 매력적으로 보인다.
- 벽을 녹색 또는 밝은 노란색으로 칠하면 스트레스 수준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쓰레기나 쓸모없는 물건을 쌓아두지 않으면 집이 평화롭게 느껴진다.
더 읽어보기: 효율적인 집 정리를 위한 11가지 팁
이러한 작은 팁은 행복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집을 다시 디자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집이 어지럽거나, 색상이 공격적이거나, 가구가 자신의 취향을 반영하지 않는다면 이는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소개한 단계를 따르고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모두 버리며 인공조명을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그리고 창문이 있다면 자연광이 들어오도록 하자. 이제 집안 내 환경이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겠는가?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Muratori, Marcela, Zubieta, Elena, Ubillos, Silvia, González, José Luis, & Bobowik, Magdalena. (2015). Felicidad y Bienestar Psicológico: Estudio Comparativo Entre Argentina y España. Psykhe (Santiago), 24(2), 1-18.
- Noriega, F. M., Rodríguez, M. Á. J., Heppell, S., & Bonet, N. S. (2016). Creando espacios de aprendizaje con los alumnos para el tercer milenio. Bordón. Revista de pedagogía, 68(1), 61-82.
- Pozos Gutiérrez, José Luis, Rivera Aragón, Sofía, Reyes Lagunes, Isabel, & López Parra, María Sughey. (2013). Escala de felicidad en la pareja: Desarrollo y validación. Acta de investigación psicológica, 3(3), 1280-1297. Recuperado en 08 de marzo de 2019, de http://www.scielo.org.mx/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2007-48322013000300008&lng=es&tlng=es.
- Sosenski, Susana, & López León, Ricardo. (2015). La construcción visual de la felicidad y la convivencia familiar en México: los anuncios publicitarios en la prensa gráfica (1930-1970). Secuencia, (92), 193-225. Recuperado en 08 de marzo de 2019, de http://www.scielo.org.mx/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186-03482015000200008&lng=es&tlng=es.
- Sutil, L., & Perán, J. (2012). Neuroarquitectura y comportamiento del consumidor: una propuesta de modelo de diseño. Barcelona: Revista de Universidad Rey Juan Carl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