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아 » 임신

착상 전 유전 진단

착상 전 유전 진단은 난자와 배아에 대한 연구다. 이 글을 읽고 더욱 자세히 알아보자.

착상 전 유전자 진단

착상 전 유전 진단(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은 체외수정 전 자연 임신이 불가능한 여성에게 실시되는 절차다. 오늘 이 글에서 ‘착상 전 유전 진단’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이것이 임신을 어떻게 돕는지, 착상 성공을 위해 의사들이 해야 할 방법들에 대해 소개한다.

착상 전 유전 진단이란?

착상 전 유전 진단

착상 전 유전 진단은 기본적으로 난자와 배아에 대한 연구로, 유산 또는 건강하지 못한 태아로 자라날 가능성이 있는 배아의 착상을 피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이는 보조생식(또는 생식보조의료: 체외 수정 등 의학적 도움을 받은 생식)의 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여성이 자연적으로 임신을 하면, 건강한 배아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착상 전 유전 진단은 다운 증후군이나 터너 증후군 등의 질환을 가지고 태어날 가능성을 예방한다.

더 읽어보기: 터너 증후군의 증상, 진단 그리고 치료

방법

난자를 여성의 자궁에 착상시키기 전에, 의사들은 착상 전 유전 진단을 시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체외 수정을 통해 수정된 난자들을 유리 시험관에 넣고 난자의 발달 분석을 위해 3~5일을 기다린다.

이후, 배아들을 상대로 생체검사를 실시해 유전적 문제를 발견해 낸다. 검사 결과를 토대로 의사들은 건강한 배아 3개를 골라 여성의 자궁에 착상시킨다.

“여성이 임신하지 않으면? 똑같은 과정을 또 거쳐야 하나?” 같은 질문이 가장 흔하다.

물론 그렇지 않다. 착상을 위해 건강한 3개의 배아가 선택되기는 하지만, 또 다른 건강한 배아들이 많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다음 시술을 위해 의사들이 배아 후보군들을 보관하기도 한다.

더 읽어보기: 45세에도 자연 임신이 가능할까?

유용한 기술

체외 수정

이 기술은 심각한 유전병의 가족력이 있는 부부들에게 특히 도움이 된다.

여성의 자연 임신이 불가능할 때만 체외 수정을 통한 유전 진단을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유전병의 위험이 있는 임신의 경우에도 이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 진단을 통해 의료 전문가들이 건강한 배아를 선택하여 부모와 태어날 아이의 인생을 바꿀 수도 있는 유전 질환의 부담을 덜어준다.

하지만 이 기술에 관해 첨예한 논쟁이 있다.

착상 전 유전 진단 기술에 관한 윤리

배아 처리에 관해 아직도 윤리적인 반대가 존재한다.

인간 배아에 내재하는 인간의 존엄성과 자연계의 질서 유지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착상 전 유전 진단을 통해 전문가들이 유전 질환을 배제하는 가장 건강한 배아를 선발하는 과정이 이 모든 것을 거스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는 물론 우리가 유념해야 할 건강한 논제다.

이 진단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건강한 아이를 기르고 싶은 마음에서일 것이다.

자신의 의지 없이 유전질환을 갖고 태어나 누려야 할 삶을 살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이 기술이 존재한다.

이 기술을 취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지는 열려있다. 자연 임신이 불가능하거나 유전 질환의 가능성 때문에 아이를 가지기 두려워하는 사람들에게는 말이다.

유전병의 가족력을 가지고 있다면, 여러분은 이 유전 진단 기술을 실시할 것인가? 이 기술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한가?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Alvarado Marambio, José Tomás, & Santos Alcántara, Manuel J.. (2018). Ethical Problems with the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of Human Embryos. Acta bioethica, 24(1), 75-83. https://dx.doi.org/10.4067/S1726-569X2018000100075
  • López, Paul W., López, Rosmary, Noriega, Luis G., & Sepúlveda, Soledad. (2013). Diagnóstico genético preimplantacional: análisis de aneuploidías únicas. Anales de la Facultad de Medicina, 74(1), 11-14. Recuperado en 19 de abril de 2019, de http://www.scielo.org.pe/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025-55832013000100003&lng=es&tlng=es.
  • Moya-González, Marina, & Ramón-Fernández, Francisca. (2018). El diagnóstico genético preimplantacional: aspectos jurídicos en el derecho español. Revista de Derecho Privado, (34), 87-121. https://dx.doi.org/10.18601/01234366.n34.04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