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트 오브 어스'의 페드로 파스칼 몸매를 완성한 운동 루틴
페드로 파스칼은 ‘라스트 오브 어스’의 ‘조엘’ 역할 덕분에 이제 인터넷상의 ‘아빠’로 유명하다. 적대적이지만 보호 본능이 있는 매력적인 남성으로 변신한 것 외에도 페드로 파스칼 몸매 변화도 큰 화제가 되었다.
‘나르코스,’ ‘만달로리안,’ ‘왕좌의 게임,’ ‘킹스맨’ 등 파스칼의 작품을 지켜본 사람들은 배우가 연기에 진심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리고 48세라는 나이에도 역할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최근작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페드로 파스칼 운동 루틴이 궁금하다면 이 글을 자세히 읽자. 칠레 배우처럼 몸매를 단련하고 싶다면 이 글에서 소개할 루틴을 연습해 보자.
맡은 역할에 헌신하는 페드로 파스칼
페드로 파스칼의 운동 루틴을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파스칼이 연기에 얼마나 헌신적인지부터 이야기하겠다. 파스칼은 ‘라스트 오브 어스’ 에서 액션 장면을 직접 연기하기 때문에 더 노력했지만 ‘만달로리안’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조엘’을 연기하기 위해 칠레 배우는 유명한 유명 트레이너인 데이비드 히긴스를 찾아갔고 ‘킹스맨: 골든 서클’을 위해 처음으로 함께 운동했다.
히긴스는 역할과 파스칼의 한계를 염두에 두고 운동 루틴을 설계했다. 무적일 것만 같은 ‘사라의 아빠’는 사실 48세라는 사실을 명심하자.
파스칼의 나이에 혹시 다칠까 봐 어떤 신체 활동도 하지 않고 가만히 서 있기만 하면 건강에 좋지 않다. 전문가들은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성인이 더 건강한 삶을 살고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낮다고 말한다.
페드로 파스칼은 아직 노인이 아니지만 지금 내리는 건강 선택은 앞으로 몇 년 동안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현재의 모습을 보면 그러한 결정이 파스칼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운동은 노화를 조절하는 능력이 있다. 지금 하는 운동이 장기적으로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뜻이다.
더 읽어보기: 고혈압 환자를 위한 운동 루틴
집에서 따라 할 수 있는 페드로 파스칼 루틴
파스칼의 건강 상태와 ‘조엘’ 역할을 위한 특정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데이비드 히긴스는 코어에 초점을 맞춘 맨몸 운동과 가동성 운동으로 구성한 맞춤 루틴을 설계했다.
파스칼을 ‘조엘’로 만든 운동에 관해 설명하기 전에 모든 것은 파스칼의 정신적 헌신 때문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파스칼의 트레이너에 따르면 배우가 기절하지 않도록 계속 격려했다고 한다.
1. 섀도복싱
섀도복싱은 복싱 기술을 활용하여 몸을 움직이면서 공중에서 일련의 펀치를 수행하며 운동하는 동안 자기 그림자와 싸우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스포츠 전문가들은 워밍업으로 그리고 최고의 펀치를 연습하기 위해 섀도복싱을 수행한다.
고강도 운동인 섀도복싱은 유산소 능력을 향상하고 호흡기를 강화한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파스칼은 섀도복싱 연습을 60초씩 5세트 수행한다.
2. 줄넘기
줄넘기는 페드로 파스칼 훈련 루틴의 일부인 심혈관 운동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 한 발 뛰기
- 앞뒤로 다리 벌려서 뛰기
- 2단 뛰기와 높이 뛰기
- 무릎을 번갈아서 올리며 뛰기
- 점핑 잭 뛰기
실제로 조합은 간단하거나 복잡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훈련 루틴에 심혈관 운동인 줄넘기를 포함하면 조정력, 속도, 민첩성과 심폐 지구력이 향상된다.
근력 운동 전에 준비 운동으로도 적합한 줄넘기를 페드로 파스칼 루틴에서는 50회 반복을 5세트 수행한다.
3. 페드로 파스칼 루틴: 푸시업
푸시업은 배를 대고 엎드려서 손바닥으로 바닥을 짚고 등을 곧게 편 상태로 팔을 쭉 뻗는다. 목은 항상 중립 위치에 두고 팔꿈치를 몸에 붙인 상태로 몸이 바닥에 닿을 때까지 팔을 구부린다.
푸시업은 견갑대(견갑골 및 쇄골), 대흉근, 소흉근, 삼각근, 전거근, 쇄골하근과 같은 근육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손을 벌리는 정도에 따라 삼두근 활성화가 더 많거나 적다.
푸시업은 가슴과 상지를 강화하는 것 외에도 코어 근력도 향상하는데 페드로 파스칼은 이 운동을 20회씩 5세트 수행한다.
더 읽어보기: COPD 환자를 위한 신체 및 호흡 운동 13가지
4. 스쿼트
스쿼트는 하체 운동에 중점을 두어 대퇴사두근, 종아리 및 둔근과 같은 근육을 강화하며 등과 복근 단련에도 도움이 된다.
이 운동을 실행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균형을 유지하면서 다리를 벌리고 선다. 몸통은 똑바로 유지하되 허리에 힘을 주지 않는다.
- 투명 의자에 앉는 것처럼 엉덩이를 내리고 무릎을 구부린다.
- 팔을 앞으로 뻗으면 균형을 잡기가 더 쉽다.
- 원래 위치로 돌아가서 운동을 반복하자.
연구에 따르면 스쿼트는 운동선수든 아마추어든 하체 근략과 더 큰 운동 능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본 운동이다. 페드로 파스칼 루틴에는 스쿼트가 15회씩 5세트를 포함한다.
5. 턱걸이
파스칼은 턱걸이로 운동 강도를 조금 더 높인다. 운동의 복잡성 때문에 10회씩 5세트만 반복한다.
턱걸이는 철봉에 매달려서 자기 체중을 들어 올리는 운동이다. 집에서 해보고 싶다면 철봉을 단단히 고정한 후 실행한다.
이제 철봉 앞에 서서 손바닥이 앞을 향하도록 철봉을 어깨너비로 잡고 매달린다. 그런 다음 몸을 위로 당기고 턱을 철봉 위에 둔다.
신체의 다른 부위에 작용할 목적으로 할 수 있는 수많은 턱걸이 변형이 있다. 그들 중 하나는 행잉 레그 레이즈 역시 철봉 운동의 변형으로 파스칼은 20회씩 3세트를 반복한다.
철봉에 매달려서 다리를 들어 올리고 편다는 차이가 있다. 이 운동은 복근을 단련하는 동시에 팔 근육까지 강화할 수 있다.
페드로 파스칼 루틴을 따라 할 준비가 됐는가?
‘라스트 오브 어스’에서 페드로 파스칼이 선보인 운동 루틴은 체육관 한정이 아닌 어디서나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담당 트레이너는 훈련이 필요할 때는 촬영일에도 맨몸 운동을 했다고 말한다.
웨이트나 기구가 없어도 파스칼처럼 운동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전문가의 지도하에 건강한 식단까지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Ceballos Gurrola, O., Bermúdez J., Medina Rodríguez, R. (2012). Actividad física y calidad de vida en adultos mayores. 1-139. http://eprints.uanl.mx/4476/
- Jara, L. (2015). Efectos del ejercicio en adultos mayores. Rev. Hosp. Clin. Univ. Chile, 293-299. https://pesquisa.bvsalud.org/portal/resource/pt/biblio-831262
- Lagos, S. E. C. (2017). Influencia del salto de cuerda en la coordinación, velocidad, agilidad y resistencia cardiorrespiratoria (Doctoral dissertation, Instituto Politecnico de Leiria (Portugal)). https://search.proquest.com/openview/f5355c3804600209bdd71ff0afd28c90/1?pq-origsite=gscholar&cbl=2026366&diss=y
- López, A. P., Cerrato, D. V., & Varela, J. B. (2017). Sedentarismo y actividad física. Revista de Investigación y Educación en Ciencias de la Salud (RIECS), 2(1), 49-58. https://riecs.es/index.php/riecs/article/view/17
- Ramírez, L. H. C., & Avella, R. E. (2015). La sentadilla: Un ejercicio fundamental en la actividad física y el deporte. Revista digital: Actividad Física y Deporte, 1(1), 9.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8670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