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은 혈류에 과도한 포도당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만성 질환이다. 가장 흔한 형태는 제2형 당뇨병으로, 신체가 인슐린을 최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때 나타난다.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자연 요법을 알고 있는가?
이러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완전한 계획을 세우려면 병원을 방문해야 하지만, 치료 계획을 보완하는 용도로 일부 자연 치료법을 준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 요법은 혈당치 조절을 촉진하는 약초 요법과 보충제이다. 한번 시도해 보자!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자연 요법
당뇨병은 완치 방법이 없으며 합병증으로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는 질환이다. 하지만 대부분 환자는 약물과 식습관의 변화로 병을 통제할 때 정상적인 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다.
의사는 혈당치와 혈당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을 평가하는 일을 담당할 것이다. 하지만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일부 치료제를 직접 만들 수도 있다. 지금부터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알로에 베라 주스
알로에 주스를 마시면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조절할 수 있다.
알로에 베라 잎에 있는 젤을 제2형 당뇨병을 조절하는 보충제로 활용할 수 있다. 알로에는 피토스테롤을 포함하고 있어, 천연 혈당 강하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주 섭취하면 높은 혈당치 조절을 촉진할 수 있다.
재료
- 알로에 베라 젤 2숟갈 (40g)
- 레몬즙 1숟갈 (15mL)
- 물 1/2컵 (100mL)
- 꿀 1숟갈 (15g)
준비 방법
- 먼저 모든 재료를 블렌더에 넣는다.
- 그런 다음 균일한 음료가 될 때까지 몇 분간 잘 갈아 준다.
- 적어도 일주일에 3차례 이상 빈속이나 오전 중반에 알로에 베라 주스를 마신다.
더 읽어보기: 꿀의 혈당지수와 당뇨병
귀리 물
귀리 물은 많은 인기를 얻게 된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자연 요법 중 하나이다. 귀리는 당뇨병 환자의 고혈당 조절과 지질 성분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특성은 상당량의 섬유질 함량에서 비롯된다.
재료
- 귀리 3숟갈 (60g)
- 물 2컵 (500mL)
- 계피 스틱 1개
준비 방법
- 먼저 귀리를 물 한 컵과 블렌더에 넣고 잘 갈아 준다.
- 그런 다음 남은 물 한 컵은 냄비에 붓고 귀리 혼합물을 추가한다.
- 약한 불에서 2~3분 동안 끓인다.
- 그런 다음 불을 끄고 계피 스틱을 넣는다.
- 음료를 우려낸 뒤 체에 거른다.
- 매일 2~3잔씩 섭취한다.
가시 선인장 스무디
가시 선인장은 높은 섬유질 함량으로 천천히 방출되는 당을 섭취할 수 있어 당뇨병 환자에게 유익하다.
가시 선인장은 식이 섬유와 항산화제 함량으로 인해, 제2형 당뇨병에 대한 가장 좋은 자연 요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특성은 당 대사를 촉진하고 혈중 축적을 줄인다. 유익한 다른 재료와 함께 스무디로 만들 것을 권장한다.
재료
- 가시를 제거한 가시 선인장 1개
- 알로에 베라 2숟갈 (40g)
- 오렌지 2개의 즙
- 물 1/2잔 (100mL)
준비 방법
- 먼저 가시 선인장을 썰어 블렌더에 넣는다.
- 나머지 재료를 넣고 몇 분간 갈아 준다.
- 균일한 음료가 완성되면 바로 마신다.
- 적어도 일주일에 3차례 이상 오전 중반에 섭취한다.
더 읽어보기: 혈당치 안정화에 좋은 5가지 약초 요법
마늘과 레몬
마늘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높은 혈당치 감소를 촉진할 수 있는 보충제이다. 마늘의 효과에 대한 증거는 한정적이지만, 인슐린 사용을 개선하여 당 대사에 도움이 된다는 자료가 있다.
재료
- 생마늘 1쪽
- 레몬 1/2개의 즙
준비 방법
- 먼저 마늘을 으깬 뒤 레몬즙과 섞는다.
- 매일 빈속에 섭취한다.
끝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자연 요법이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는 약물치료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연 요법을 시도하기 전에 먼저 의사와 상담을 하는 것이 좋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Suksomboon, N., Poolsup, N., & Punthanitisarn, S. (2016). Effect of Aloe vera on glycaemic control in prediabetes and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and Therapeutics. https://doi.org/10.1111/jcpt.12382
- Zhang, Y., Liu, W., Liu, D., Zhao, T., & Tian, H. (2016). Efficacy of aloe vera supplementation on prediabetes and early non-treated diabetic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utrients. https://doi.org/10.3390/nu8070388
- Hou Q, Li Y, Li L, et al. The Metabolic Effects of Oats Intak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trients. 2015;7(12):10369–10387. Published 2015 Dec 10. doi:10.3390/nu7125536
- Lammert, A., Kratzsch, J., Selhorst, J., Humpert, P. M., Bierhaus, A., Birck, R., … Hammes, H. P. (2008). Clinical benefit of a short term dietary oatmeal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severe insulin resistance: A pilot study. Experimental and Clinical Endocrinology and Diabetes. https://doi.org/10.1055/s-2007-984456
- Frati-Munari, A. C., Del Valle-Martínez, L. M., Ariza-Andraca, C. R., Islas-Andrade, S., & Chávez-Negrete, A. (1989). [Hypoglycemic action of different doses of nopal (Opuntia streptacantha Lemaire)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llitus]. Archivos de Investigación Médica.
- Shapiro, K., & Gong, W. C. (2002). Natural products used for diabetes. Journal of t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 1996). https://doi.org/10.1331/108658002763508515
- Eidi, A., Eidi, M., & Esmaeili, E. (2006). Antidiabetic effect of garlic (Allium sativum L.) in normal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hytomedicine. https://doi.org/10.1016/j.phymed.2005.09.010
- Wang, J., Zhang, X., Lan, H., & Wang, W. (2017). Effect of garlic supplement in the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od & Nutrition Research. https://doi.org/10.1080/16546628.2017.1377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