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에서 쇠 맛이 나는 원인

입안에서 이상하게 쇠 맛이 난 적 있지 않은가? 이상한 이 맛은 의학적 문제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시간이 지났는데도 사라지지 않으면 병원에 가보는 게 좋다.

입에서 쇠 맛이 나는 것은 사실 정말 일반적인 증상이며,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말해주는 지표로 볼 수 있다. 이런 상태가 일시적일 수 있고, 아니면 좀 더 심각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그 원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쇠 맛이 생기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이로 인해 입맛이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입에서 쇠 맛이 나는 원인

특정한 약물

Pills can be what causes a metallic taste

치료를 시작할 때 입에서 쇠 맛이 느껴질 수 있다. 이런 경우라면 병원에 가서 증상을 설명하고, 부작용이 없는 다른 약으로 바꿔 달라고 말해보자. 

이런 증상을 야기시킬 수 있는 약물은 다음과 같다.

  • 항생제
  • 항우울제
  • 신장 결석에 사용되는 약
  • 칼슘 양을 균형맞추기 위해 사용하는 화합물
  • 고혈압 치료제

더 읽어보기: 치아 미백에 효과적인 10가지 식품

구강 및 치아 상태가 나쁠 때

치아 위생 상태도 이런 증상을 야기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또 치석이 많이 쌓이면 치은염이 생길 수 있다. 치은염은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세포를 파괴하는 감염이다.

입안에서 나는 쇠 맛을 없애기 위해서는 구강 상태를 깨끗하게 잘 유지해야 한다.

임신

Pregnancy and metal taste go hand in hand.

임신 첫 달에 입안에서 쇠 맛이 난다고 호소하는 여성들이 많다. 체내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것이다. 특히 임신 초기에 그렇다. 시간이 좀 지나면 사라질 것이다.

알레르기나 감염

입안과 혀가 어떤 알레르기와 곰팡이에 감염되면 입맛에 변화가 생긴다. 입 에서 맛을 느끼는 데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알레르기도 이것과 관련되어 있다. 점액뿐만 아니라 비충혈로 인해서도 이런 증상이 생긴다.

신경계 문제

The nervous system
맛의 감각을 제어하는 뇌 영역의 불균형도 이런 증상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무기질의 양이 많은 것

체내 무기질(철 또는 구리)이 너무 과다해도 입안에서 쇠 맛이 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연이 결핍되거나 너무 과해도 입안에서 쇠 맛이 날 수 있다. 혈액 속 무기질 양을 검사해 보는 것이 좋다.

독성 물질

Stop toxic agents

벤젠, 코발트, 바니시 같은 독성 물질을 흡입해도 이런 쇠 맛이 날 수 있다. 너무 많이 흡입했을 때 그렇다.

입안에서 쇠 맛이 나는 또 다른 이유들

  • 식중독, 특히 생선이나 해산물 식중독
  • 비타민 및 무기질 결핍 

더 읽어보기: 비타민 C 결핍 증상 8가지

입안에서 나는 쇠 맛을 없애는 방법

소금물로 가글하기

소금의 소염 성분 덕분에 소금물로 가글하면 입안에서 쇠 맛이 나는 원인인 입안의 박테리아를 없애고, 잇몸을 치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효과도 있다.

  • 식사 후 치아에 남아 있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 막힌 목구멍과 비강을 뚫어준다.

감귤류 과일

감귤류 과일을 먹으면 타액 분비가 자극된다. 그리고 입안에서 쇠 맛이 나는 것도 최소화할 수 있다. 오렌지, 레몬, 자몽 등을 먹으면 된다.

구강을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매일 2-3회 치아와 혀를 닦는 것이 좋다. 또 가글은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칫솔에 베이킹 소다와 소금을 약간 묻혀 이빨을 닦으면 세균을 없앨 수 있다.

충분한 수분 공급

매일 7-8 잔의 을 마시면 몸이 필요로 하는 수분을 공급하고, 몸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입안이 건조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캔디

민트나 유칼립투스, 감초 맛의 사탕도 입안의 쇠 맛을 없애 줄 것이다. 그리고 입안의 수분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마찬가지로 카더몬이나 정향 조각을 씹으면 입안이 상쾌해지고, 더 시원해질 것이다.

이렇게 해도 별로 나아지지 않는다면 병원에 가보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Lawless, H. T., Schlake, S., Smythe, J., Lim, J., Yang, H., Chapman, K., & Bolton, B. (2004). Metallic taste and retronasal smell. Chemical Senses. https://doi.org/10.1093/chemse/bjh003
  • Davies, S. J. C., Underhill, H. C., Abdel-Karim, A., Christmas, D. M., Bolea-Alamanac, B. M., Potokar, J., … Prime, S. S. (2016). Individual oral symptoms in burning mouth syndrome may be associated differentially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cta Odontologica Scandinavica. https://doi.org/10.3109/00016357.2015.1100324
  • IJpma, I., Renken, R. J., ter Horst, G. J., & Reyners, A. K. L. (2015). Metallic taste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Cancer Treatment Reviews. https://doi.org/10.1016/j.ctrv.2014.11.006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