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질환

소아 당뇨병의 특성

소아 당뇨병은 만 5세 미만의 아이들에게 점점 더 흔해지고 있는 질병이다. 오늘은 이 질병은 무엇이며 또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자세히 알아보자.

소아 당뇨병의 특성

소아 당뇨병의 유형은 두 가지이지만, 가장 빈번한 유형은 바로 인슐린에 의존하므로 외부 인슐린 공급이 필요한 제1형 당뇨병이다. 전반적으로, 제1형 당뇨병이 만 14세 미만의 어린이에게서 진단된 당뇨병 사례의 90% 이상을 차지하므로  가장 일반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당뇨병은 췌장에서의 낮은 인슐린 생산을 특징으로 하는 내분비 시스템의 장애로, 혈액에 높은 수준의 당분(포도당)이 축적된다. 또 신체 자체가 더는 기능하지 않는 췌장 세포를 파괴하므로 이 병은 보통 자가 면역에 기원을 두고 있다. 다른 경우에는 인슐린 생산이 정상일 수 있지만, 결함으로 인해 세포가 제대로 인슐린을 사용할 수 없으며 주로 제2형 당뇨병의 경우에 그렇다.

소아 당뇨병의 진단 기준

소아 당뇨병의 진단은 공복 혈당 수준(혈당)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126mg/dl을 초과하면 안 된다. 이는 국제 소아 및 청소년 당뇨 협회 ADA-ISPAD 2014의 기준에 따른다.

공복 혈당이 높은 경우, 의사는 소아 당뇨병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검사를 수행한다. 반드시 어떤 유형의 당뇨병인지 알아내고, 고혈당증을 일으키는 다른 질병을 배제해야 한다. 왜냐면 이 질병의 치료법은 다르며 제시간에 진단하지 않을 경우 예후가 악화되기 때문이다.

진단 후 환자는 혈당 수준을 조절하기 위해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그래야 예후를 복잡하게 할 수 있는 케톤산증의 출현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발병 빈도 및 나이

소아 당뇨병은 제1형이 점점 더 일반화되는 추세며 보통 1세에서 만 14세 사이에 나타난다. 그리고 의사는 이 나이대 아이들 10만 명당 약 10~25건 정도로 소아 당뇨병을 진단한다. 그러나 만 5세 미만 어린이의 수가 최근 많이 증가했다.

더 읽어보기: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이요법

소아 당뇨병 제1형의 징후 및 증상

진단 오류를 피하고자 의사는 최소 이틀에 나눠서 혈당 수치를 측정한다. 그리고 그들은 다음의 경우를 제1형 소아 당뇨병 양성이라고 여긴다.

  • 혈당: 200 mg/dl 이상
  • 8시간 공복 후 혈당: 126 mg/dl 이상
  • 탄수화물 섭취 2시간 후의 혈당: 200 mg/dl 이상

소아 당뇨병 환자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증상을 보인다.

따라서 응급실에 찾아오는 소아 당뇨병 어린이의 경우 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

  • 다뇨증이 심해서 때때로 침대가 젖기도 한다.
  • 다갈증이 있다.
  • 케톤 혈증(당 대사가 부적절하여 산기가 축적됨)으로 인해 체중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
  • 때로는 비특이적인 복통과 구토가 있다.
  • 보통 열은 없다.
  • 졸음, 체중 감량 및 푹 꺼진 눈으로 인해 전반적인 상태가 악화한다.
  • 빠르고 얕게 호흡하며, 입을 통해 호흡해야 하므로 이는 혀 건조로 이어진다.
  • 숨을 쉴 때 케톤혈증으로 인해 녹색 사과 냄새가 난다.
  • 마지막으로, 보통 그들은 정상적인 혈압과 중심 맥박을 유지한다.

소아 당뇨병의 감별 진단

고혈당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이지만, 다음과 같은 다른 질병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고혈당증 및 당뇨증의 사례(소변에 포도당이 존재한다)
  • 뇌졸중
  • 정맥 주사
  • 혈액 내 나트륨 함량이 높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탈수

더 읽어보기: 탈수가 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

케톤산증을 나타내 보이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갑작스럽고 심한 복통
  • 아세틸살리신산(아스피린) 중독
  • 재발성 케톤시스성저혈당증

심각한 케톤산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아세틸살리신산(아스피린) 중독
  • 저혈당 혼수상태
  • 고삼투압 혼수상태
  • 뇌졸중
  • 젖산산증

소아 당뇨병의 치료

전반적으로, 이 질병의 치료는 대사 수준을 조절하고 급성 및 만성 합병증을 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증상은 소아 당뇨병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소아 당뇨병의 치료에 있어서 어린이와 가족의 훈련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질병을 통제하고 합병증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뇨병 치료에는 3가지 기본 사항이 있다.

다행히도 소아 당뇨병 치료는 최근 몇 년간 많은 발전을 거듭했다. 제약 산업은 모든 종류의 인슐린을 제공하고 있는데, 일부는 빠르고 일부는 느리게 작동한다. 따라서 상황에 맞게 소아 당뇨병을 더 잘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가능한 치료법의 발전 및 기대

운 좋게도 당뇨병에 관한 어린이의 올바른 훈련과 교육을 위해 큰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과제도 남아 있다.

  • 인슐린 투여 장치 단순화
  • 어린이들이 더 흥미를 느끼도록 교육 자료 편집하기
  • 소집 교육 과정, 워크숍 및 여름 학교(이를 통해 어린이는 자신의 질병을 인식하고 정상화할 수 있다)

또한, 우리가 곧 기대하고 있는 발전은 당뇨병 어린이의 삶을 한층 더 편안하게 해 줄 것이다. 전반적으로, 시스템 및 절차는 인슐린 공급의 오류 발생 횟수 및 빈도를 줄일 것이다. 그리고 환자의 삶을 향상하기 위한 새로운 유전자 요법의 발전과 인슐린 화합물의 합성을 기대할 수 있다.

당뇨병을 앓는 많은 아이가 있지만 당뇨병을 통제하는 것에 관해서는 장래가 밝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Bosch García, R. J., López Navarro, N., & Herrera Acosta, E. (2009). Tumores benignos de la mucosa oral. Piel, 24(2), 86–96. https://doi.org/10.1016/S0213-9251(09)70333-8
  • Causas que originan la lengua negra | Oral-B MX. (n.d.). Retrieved July 29, 2019, from https://www.oralb.com.mx/es-mx/salud-bucal-topicos/cuidado-bucal/causas-de-la-lengua-negra-y-vellosa
  • García Martínez, F. J., López Martín, I., & Segurado Rodríguez, M. A. (2015). Pigmentación de las papilas fungiformes linguales. Pediatría Atención Primaria, 17(67), e205–e207. https://doi.org/10.4321/S1139-76322015000400015
  • Hairy Tongue. (n.d.). Retrieved July 29, 2019, from https://www.aaom.com/hairy-tongue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