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 분만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유도 분만은 인공적으로 진통을 오게 하여 분만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산부인과 의사의 판단에 따른 특정 상황에 시행하며 절차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번 글에서는 유도 분만과 관련하여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살펴볼 것이다.
진통이 저절로 오는 자연 분만과 달리, 유도 분만은 약물 투여를 통해 진통을 인공적으로 오게 한다. 따라서 분만을 자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진통이 저절로 오기까지 기다리는 것을 권하기는 하지만, 유도 분만을 하는 편이 나은 경우도 있다. 유도 분만을 권하는 경우는 다양하며, 분만 과정은 의사의 지시와 감독하에 이루어진다.
유도 분만은 언제 권장되는가?
- 양수가 일찍 터진 경우: 양수가 터지면 일반적으로 진통이 시작된다. 그런데 양수가 예정보다 일찍 터지면 진통이 시작되지 않는다. 12~24시간이 지나도 진통이 없으면,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사가 유도 분만을 권할 수 있다.
- 지연 임신: 임신 기간이 42주 이상 지속하면, 아직 진통이 오지 않았더라도 의사가 유도 분만을 권할 수 있다.
- 산모의 질병: 산모가 당뇨, 고혈압 등의 질병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산모의 건강을 위해 유도 분만을 하는 편이 낫다.
- 태변이 있는 경우: 태아가 위험할 수 있으므로, 유도 분만을 하는 편이 낫다.
- 거대아: 태아의 무게가 4.5k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태아뿐만 아니라 산모에게 위험할 수 있으니, 의사가 유도 분만을 권할 수 있다.
- 사산: 안타깝게도 유도 분만을 해야 한다.
어떤 경우든, 산모와 태아의 상황을 자세히 검진한 후, 의사가 유도 분만을 시행할지 아닐지를 결정할 것이다.
더 읽어보기: 임신 중 고혈압의 증상과 치료
유도 분만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유도 분만을 하기로 했다면, 인공적으로 진통을 오게 하는 과정이 시작된다. 이 과정은 2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 자궁 경부 숙화
분만을 유도하려면, 우선 자궁 경부가 적어도 2~3cm는 열려야 한다. 따라서 의사는 프로스타글란딘(자궁을 자극하는 호르몬)을 투여하여 자궁 경부가 열리게 한다.
그러나 자궁 경부가 알맞은 정도로 열리기까지는 프로스타글란딘 투여 후부터 12~24시간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산모가 휴식을 취하고 이튿날 유도와 분만을 준비할 수 있게끔 밤에 투여하는 경우가 많다.
두 번째 단계: 양막 파수 또는 옥시토신
자궁 경부가 열리면, 의사는 진통을 촉진하기 위해 양막을 터뜨린다. 그러나 양막을 터뜨린 후에도 진통이 시작되지 않는다면, 옥시토신을 투여할 수 있다.
옥시토신은 자궁 평활근의 수축을 유발하는 호르몬으로 정맥 주사로 조금씩 투여한다. 동시에 산모와 태아의 심박 수와 진통을 확인한다.
보통, 소량부터 투여하여 의사의 지시에 따라 투여량을 늘린다. 옥시토신을 투여하면 진통이 갑자기 또 극심하게 올 수 있어 산모와 태아가 고통스러울 수 있다. 따라서 의사가 모든 과정을 자세히 통제해야 한다.
이 두 단계가 끝나면, 제왕절개가 필요한 경우가 아닌 이상 분만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유도 분만의 위험성
산모에게 가장 큰 위험은 긴 과정에서 온다. 실제로 유도 분만의 긴 과정이 산모에게 피로 를 유발하거나 약물 투여로 인한 고열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프로스타글라틴 투여 후 자궁 경부가 3cm 열리기까지는 24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겠다. 게다가 옥시토신을 투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며 출산까지의 분만 과정을 생각한다면 긴 과정이 아닐 수 없다.
한편, 이 과정 동안 자궁 속 태아도 편안하지 않을 수 있다. 유도 분만으로 인해 위험이 생겼을 경우에는 제왕절개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늘 그런 것은 아니며, 유도 분만의 대부분은 별다른 위험 없이 질 분만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니 유도 분만을 해야 하는 경우라도 겁먹지 말자. 과정은 길겠지만, 주치의가 모든 단계를 이끌어줄 것이다. 몇 시간 후면 마침내 당신의 아기를 품에 안을 수 있을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Tenore J (2003). «Methods for cervical ripening and induction of labor». Am Fam Physician 67 (10): 2123-8
- Järvelin, M. R., Hartikainen‐Sorri, A. and Rantakallio, P. (1993), Labour induction policy in hospitals of different levels of specialisation.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100: 310-315. doi:10.1111/j.1471-0528.1993.tb12971.x
- A Metin Gülmezoglu et al. “Induction of labour for improving birth outcomes for women at or beyond term”,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 6: CD004945.
- Ekaterina Mishanina et al. “Use of labour induction and risk of cesarean deliv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MAJ. 2014 Jun 10; 186(9): 665–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