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é syndrome)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길랑-바레 증후군은 근육을 약하게 만드는 일종의 신경병증이다. 이 병은 Landry 상승 마비라고도 알려져 있다. 근육의 약화는 시간이 지나면서 악화될 수 있다.
신경초(탈수초) 통증의 원인은 자가면역 문제인 경향이 있다. 이 증상은 다리의 약화로 시작되고, 그 다음에는 약화 증상이 상체까지 진행된다.
염증으로 유발되는 이 신경병증은 근육 약화가 특징적이다. 그리고 종종 이 증상은 감염, 수술, 예방접종 이후 며칠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더 읽어보기: 요로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8가지 권장 사항
길랑-바레 증후군은 어떤 증상을 보이나?

길랑-바레 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은 자기 자신의 신경에 대한 체내 면역시스템의 반응이다. 그렇기 때문에 즉시 의학적 도움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증상이 아주 빠르게 악화될 수 있다. 증상은 다음을 포함한다.
- 일반적인 근육 약화
- 감각의 손실(일부의 경우)
증상이 발생하고 약 8주만에 질병은 해결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 증상을 앓는 사람들의 약 30%는 몇 년 후에 재발하기도 한다. 이에 비추어 보았을 때, 치료가 환자를 더욱 빠르게 회복시켜준다는 것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치사율을 보자면, 환자의 2%만이 사망하게 된다.
길랑-바레 증후군은 어떻게 진단하나?

이 질병의 진단은 증상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의사는 신체검사를 하고 병력을 검토하는 인터뷰를 한다. 그 후, 의사는 환자의 건강을 상세히 판단하기 위해서 일련의 철저한 테스트를 거친다. 이 경우, 반응의 손실을 검사할 수 있는 신경 검사가 아주 유용하다.
더 읽어보기: 절대 치유되지 않는 상처: 학대받은 여성의 신경심리학
길랑-바레 증후군은 어떻게 치료하나?

환자에게 처방되는 첫 치료는 입원이다. 그 이유는 증상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이며, 호흡기 근육에 영향을 미치면 사망을 할 수 도 있다.
이런 이유로 길랑-바레 증후군 치료는 호흡 보조 및 생명 보조장치의 사용을 기반으로 한다. 병원에서는 근력과 움직임을 유지하기 위한 물리 치료를 통해서 궤양의 발생을 예방해야 한다.
치료는 또한 감염을 예방하고 다음 내용을 모니터링하는데 집중한다.
게다가 길랑-바레 증후군 치료는 정맥 내의 면역 글로불린과 관련이 있다. 혈장 사혈(별도의 장치를 사용해서 혈액을 필터링하는 방법)은 좋은 옵션이다. 이 치료의 안전성은 신뢰할 수 있다. 그리고 입원의 기간을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하는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다.
약리학적 치료를 받는 동안,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증상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길랑-바레 증후군 치료에는 권장되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Organización Mundial de la salud. (2016). OMS | Síndrome de Guillain–Barré. WHO.
- General, C. de S. (2016). Diagnóstivo y Tratamiento del Síndrome de Guillain-Barré en el Segundo y Tercer Nivel de Atención. Catálogo Maestro de Guías de Práctica Clínica.
- Eelco F.M. Wijdicks EFM, K. C. (2017). Síndrome de Guillain Barré. IntraMed. https://doi.org/10.1016/j.chiabu.2008.05.007
- Síndrome de Guillain-Barré. https://www.mayoclinic.org/es-es/diseases-conditions/guillain-barre-syndrome/symptoms-causes/syc-20362793